"네이버 살까, 카카오 살까"…고민땐 포트폴리오를 봐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업구조 달라…차별적 접근을
성장성 중시한다면 카카오 베팅"
성장성 중시한다면 카카오 베팅"
“네이버냐, 카카오냐.”
플랫폼 업종을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고민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지난해 코로나19 수혜주로 주목받으면서 한 해 동안 시가총액이 각각 37.3%, 161.9% 늘었다. 하지만 플랫폼주는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코스피 상승 랠리에서 소외됐다. 그럼에도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다만 두 회사는 사업 구조에서 차이가 있는 만큼 차별적 접근이 요구된다.
네이버는 13일 3.29% 오른 31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카카오는 0.66% 떨어진 45만4500원으로 마감했다. 지난해 11~12월 코스피지수가 26.7% 오르는 동안 네이버는 3.10% 떨어졌다. 카카오도 13.03% 오르는 데 그쳤다.
하지만 올 들어 카카오가 상승폭을 키우면서 네이버도 뒤따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스피 전체의 밸류에이션이 높아지면서 플랫폼주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작아졌다”며 “대부분 사업에서 매출 고성장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실적 시즌을 맞아 관심을 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건은 어떤 종목을 선택할 것인가다. 전문가들은 매출 구성에 우선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네이버는 검색 플랫폼에서 나오는 광고 등이 올해 전체 매출의 52.8%를 차지한다. 네이버쇼핑으로 대표되는 커머스 부문 매출 비중은 20.6%다. 핀테크(12.7%), 콘텐츠(8.6%) 등이 뒤를 따른다. 카카오는 콘텐츠(게임·음악) 부문 비중이 48.6%로 가장 많다. 카카오톡 등 톡비즈 사업이 26.4%를 차지한다. 모빌리티·핀테크 등 신사업은 13.3%다. 두 회사 모두 장기 성장성이 높지만 광고 업황에 주목한다면 네이버, 콘텐츠와 신사업 성과를 중시한다면 카카오를 선택하라는 조언이 나오는 근거다.
두 회사를 보는 증권사들의 시각은 비슷한 듯 다르다. 네이버는 기존 사업 부문의 고성장세가, 카카오는 신사업의 적자폭 축소가 투자 포인트로 꼽힌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플랫폼 업종을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고민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지난해 코로나19 수혜주로 주목받으면서 한 해 동안 시가총액이 각각 37.3%, 161.9% 늘었다. 하지만 플랫폼주는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코스피 상승 랠리에서 소외됐다. 그럼에도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다만 두 회사는 사업 구조에서 차이가 있는 만큼 차별적 접근이 요구된다.
네이버는 13일 3.29% 오른 31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카카오는 0.66% 떨어진 45만4500원으로 마감했다. 지난해 11~12월 코스피지수가 26.7% 오르는 동안 네이버는 3.10% 떨어졌다. 카카오도 13.03% 오르는 데 그쳤다.
하지만 올 들어 카카오가 상승폭을 키우면서 네이버도 뒤따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스피 전체의 밸류에이션이 높아지면서 플랫폼주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작아졌다”며 “대부분 사업에서 매출 고성장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실적 시즌을 맞아 관심을 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건은 어떤 종목을 선택할 것인가다. 전문가들은 매출 구성에 우선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네이버는 검색 플랫폼에서 나오는 광고 등이 올해 전체 매출의 52.8%를 차지한다. 네이버쇼핑으로 대표되는 커머스 부문 매출 비중은 20.6%다. 핀테크(12.7%), 콘텐츠(8.6%) 등이 뒤를 따른다. 카카오는 콘텐츠(게임·음악) 부문 비중이 48.6%로 가장 많다. 카카오톡 등 톡비즈 사업이 26.4%를 차지한다. 모빌리티·핀테크 등 신사업은 13.3%다. 두 회사 모두 장기 성장성이 높지만 광고 업황에 주목한다면 네이버, 콘텐츠와 신사업 성과를 중시한다면 카카오를 선택하라는 조언이 나오는 근거다.
두 회사를 보는 증권사들의 시각은 비슷한 듯 다르다. 네이버는 기존 사업 부문의 고성장세가, 카카오는 신사업의 적자폭 축소가 투자 포인트로 꼽힌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