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떨 땐 오르고, 어떨 땐 떨어지고"…'감자'란 무엇일까 [류은혁의 기업분석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상·유상·차등감자에 대한 A to Z
두산인프라코어 내리고, 웅진씽크빅은 오르고
차등감자, 대주주 경영 실패 책임 묻는 수단
두산인프라코어 내리고, 웅진씽크빅은 오르고
차등감자, 대주주 경영 실패 책임 묻는 수단
현대중공업그룹으로 편입된 두산인프라코어가 최근 주식 액면가를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낮추는 5대 1 무상감자에 이은 8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소액주주들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경영실패에 대한 책임을 주주들에게 떠넘긴다는 이유에서다. 두산인프라코어 주가도 이달 들어 10% 넘게 급락했다.
감자는 말 그대로 자본(資本)을 감소(減少)시키는 것이다. 회사의 규모와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자본을 굳이 줄이려는 이유는 회사 자본보다 결손금이 많은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그래서 감자에 나서는 기업은 일반적으로 적자 규모가 커서 자본 잠식에 들어간 부실한 회사가 많다.
여기에 주가 희석까지 일어날 수 있는 유상증자까지 겹친다면 이는 투자심리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다. 이번 두산인프라코어의 결정에 따라 회사의 자본금은 크게 줄어들며, 유상증자로 주식가치도 희석되게 된다.
지난해 웅진씽크빅이 유상감자를 결정하면서 주가가 대폭 오른 적이 있다. 당시 웅진씽크빅은 보통주 1677만주를 강제 소각한다고 공시했다. 자본금은 감자 전 671억원에서 감자 후 587억원으로 감소한다고 밝혔다. 유상소각대금은 주당 2975원이었다.
감자는 외부 자금의 유입 없이 회계 장부의 자본 계정을 조정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방식이다. 보통 감자를 추진하는 기업은 주식 숫자를 줄인다. 자본금은 액면가에다 발행주식수를 곱해 산정하는데, 주식수를 줄여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감자는 방식에 따라 책임경영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때 활용되는 방식이 차등감자이다. 이 방식은 대주주에게 경영 실패의 책임을 묻는 대표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대주주 몫의 자본금을 100대 1 등 큰 폭으로 줄여 지분율을 낮추는 동시에 일반 주주는 10대 1, 5대 1 등 작은 비율로 주식을 병합해 감자의 손해를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6년 현대상선(현 HMM)은 당시 대주주였던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7대 1 차등 감자를 결정, 현대상선의 경영정상화 의지를 보여줬다. 현 회장의 지분율은 20.93%에서 3.64%로 떨어지며 대주주가 산은 등 채권단으로 바뀌었다.
당시 아시아나항공이 재무건전성 위기에 대한 책임이 있는 대주주 지분에 대한 차등감자가 아닌 모든 주주의 주식에 대한 균등감자를 결정한 탓이다. 아시아나항공은 감자를 검토할 당시 아시아나항공에 수조원의 세금이 투입됨에 따라 경영책임이 있는 대주주의 지분을 완전히 소각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공시에 나오는 감자 방법과 감자 사유를 주의 깊게 살펴보라고 조언한다. 특히 공시 보고서에 나온 감자 사유가 '주주 가치 제고'인지 '재무구조 개선'인지 가장 먼저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통상 기업이 감자를 실시하는 것은 재무상황이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감자 방식과 사유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며 "일부 기업들이 무상감자 직후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이유는 감자를 진행한 뒤 유상증자를 실시하면 자금 확보가 더 수월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류은혁 한경닷컴 기자 ehryu@hankyung.com
감자는 말 그대로 자본(資本)을 감소(減少)시키는 것이다. 회사의 규모와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자본을 굳이 줄이려는 이유는 회사 자본보다 결손금이 많은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그래서 감자에 나서는 기업은 일반적으로 적자 규모가 커서 자본 잠식에 들어간 부실한 회사가 많다.
여기에 주가 희석까지 일어날 수 있는 유상증자까지 겹친다면 이는 투자심리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다. 이번 두산인프라코어의 결정에 따라 회사의 자본금은 크게 줄어들며, 유상증자로 주식가치도 희석되게 된다.
무상감자와 유상감자 차이는?
감자는 무조건 악재일까, 사실 감자 결정으로 주가가 급등한 사례도 있다. 여기서 활용되는 감자는 '유상감자'이다. 유상감자는 회사가 일정한 보상을 주고 주식을 소각해 투자금 회수 등의 수단이다. 무상과 유상의 차이는 말 그대로 감자로 주식을 소각하면서 주주들에게 돈을 주느냐 안주느냐의 차이이다.지난해 웅진씽크빅이 유상감자를 결정하면서 주가가 대폭 오른 적이 있다. 당시 웅진씽크빅은 보통주 1677만주를 강제 소각한다고 공시했다. 자본금은 감자 전 671억원에서 감자 후 587억원으로 감소한다고 밝혔다. 유상소각대금은 주당 2975원이었다.
감자는 외부 자금의 유입 없이 회계 장부의 자본 계정을 조정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방식이다. 보통 감자를 추진하는 기업은 주식 숫자를 줄인다. 자본금은 액면가에다 발행주식수를 곱해 산정하는데, 주식수를 줄여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감자는 방식에 따라 책임경영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때 활용되는 방식이 차등감자이다. 이 방식은 대주주에게 경영 실패의 책임을 묻는 대표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대주주 몫의 자본금을 100대 1 등 큰 폭으로 줄여 지분율을 낮추는 동시에 일반 주주는 10대 1, 5대 1 등 작은 비율로 주식을 병합해 감자의 손해를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6년 현대상선(현 HMM)은 당시 대주주였던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7대 1 차등 감자를 결정, 현대상선의 경영정상화 의지를 보여줬다. 현 회장의 지분율은 20.93%에서 3.64%로 떨어지며 대주주가 산은 등 채권단으로 바뀌었다.
차등감자는 뭘까…감자방식에 따라 효과도 달라
반면 차등감자를 하지 않아 논란에 휘말리는 기업도 있다. 지난해 아시아나항공이 관리종목 지정 위기를 피하기 위해 균등 무상감자에 나서자 2대주주인 금호석유화학은 물론 소액주주까지 반대의 목소리를 높인 적이 있다.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경영실패 책임을 왜 다른 주주들이 균등하게 떠안아야 하느냐는 지적이 잇따랐다.당시 아시아나항공이 재무건전성 위기에 대한 책임이 있는 대주주 지분에 대한 차등감자가 아닌 모든 주주의 주식에 대한 균등감자를 결정한 탓이다. 아시아나항공은 감자를 검토할 당시 아시아나항공에 수조원의 세금이 투입됨에 따라 경영책임이 있는 대주주의 지분을 완전히 소각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공시에 나오는 감자 방법과 감자 사유를 주의 깊게 살펴보라고 조언한다. 특히 공시 보고서에 나온 감자 사유가 '주주 가치 제고'인지 '재무구조 개선'인지 가장 먼저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통상 기업이 감자를 실시하는 것은 재무상황이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감자 방식과 사유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며 "일부 기업들이 무상감자 직후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이유는 감자를 진행한 뒤 유상증자를 실시하면 자금 확보가 더 수월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류은혁 한경닷컴 기자 ehry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