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개방 그 후
코스피 쥐락펴락하는 외인
국내 주식보유액 170배 급증
전체 시가총액의 28% 보유
1992년 1월 1일자 한국경제신문 지면에 이런 기사가 실렸다.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을 살 수 있게 됐다는 소식이었다. 이틀 뒤인 1월 3일 그해 첫 주식 거래가 시작됐다. 외국인이 주식을 사들이며 서울 여의도 증권거래소 전자게시판은 새빨갛게 달아올랐다. 국내 상장된 766개 종목 중 512개가 상한가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 투자 한도에 막혀 실제 체결된 매수 주문은 68억6500만원어치였지만 외국인이 쏟아낸 매수 주문은 1060억원어치에 달했다. 종합주가지수는 624.23으로 13.31포인트(2.2%) 뛰어올랐다.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이렇게 시작됐다. 내년이면 한국 자본시장이 개방된 지 30년이 된다. 그새 외국인은 증시를 움직이는 강력한 주체로 자리잡았다.
외국인 비중 얼마나 늘었나
1992년 말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보유액은 4조1000억원에 불과했지만 작년 말 기준 764조3000억원으로 170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이 사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주식 보유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4.9%에서 2004년 말 40.1%까지 늘었다가 작년 말 31.4%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는 지난달 말 기준 734조1000억원으로 전체 시총 대비 비중이 28.3%다.한국 시장이 열린 첫날 3분의 2가 넘는 주식을 상한가로 밀어올린 외국인은 30년간 영향력을 키워왔다. 올해 10월 국내 증시 거래대금의 23.8%를 그들이 차지했다. 최근 증시 부진도 외국인 매도 때문이다.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외국인은 국내 주식을 30조원어치 가까이 팔아치웠다. 반도체를 비롯한 국내 주력 제조업의 업황 및 중국 경기 둔화 우려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금융당국은 외국인 매매동향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다. 1992년 자본시장 개방과 함께 외국인 투자 등록제를 도입했다. 외국인 및 외국법인 등이 국내에 상장된 증권을 취득·처분하려면 금감원에 인적사항 등을 등록해야 한다. 외국 국적으로,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 및 외국법인 등이 대상이다. 국내 증시 점검, 외국인 투자 한도 관리를 위한 제도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한국을 선진국 지수에 편입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이 제도를 꼽고 있다. 사실상 외국인에 대한 진입장벽이라는 주장이다.
외국인이 사랑한 그때 그 주식
어떤 주식은 외국인이 더 사고 싶어도 사지 못한다. 외국인 취득 한도 때문이다. 1992년 자본시장 개방 이후 점차 제한을 풀다가 국제통화기금(IMF) 요구로 1998년 일반법인에 대해서는 한도를 아예 없앴다. 다만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대한항공, KT, SBS를 비롯한 30여 개 종목은 자본시장법 등에 따라 지금도 외국인 취득 한도를 두고 있다. 기간산업을 보호하겠다는 취지다.투자 한도에도 불구하고 1998년 외국인 순매수 1위 종목은 한국전력이었다. 현재 종목별 외국인 순매수·순매도 순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시점은 1998년이다. 그해 외국인은 한국전력을 5878만4000주, 1조2742억3200만원어치 순매수했다. 당시 한국전력은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1위 종목이었다.
지금은 사라진 기업들도 한때 외국인의 사랑을 받았다. 1998년 외국인 순매수 3위 종목은 대우의 핵심 계열사인 대우중공업이었다. 14위 메디슨은 한국 벤처 신화였다. 고(故)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초대회장이 창업한 회사로, 국내 최초로 초음파 영상진단기를 개발했다. 이후 무리한 투자 등으로 부도가 났다.
한국 증시 뒤흔드는 외국인의 정체는
‘자본시장 선진화의 불씨’ 또는 ‘경영권을 위협하는 기업 사냥꾼’.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둘로 나뉜다. 박광우 한국증권학회장(KAIST 금융전문대학원장)은 “외국인 투자자들을 단일한 존재로 볼 게 아니라 명암을 함께 봐야 한다”며 “외국계 자본이 국내 기업들의 경영권을 위협하고 한국 규제의 사각지대를 파고든 사례가 있는 반면 기업지배구조 개선 등에 기여한 경우도 적지 않다”고 했다.외국계 펀드 소버린이 SK 주식 14.99%를 사들여 최대주주가 된 뒤 그룹을 뒤흔든 ‘소버린 사태’는 자본시장 개방 30년간 가장 극적인 사건으로 꼽힌다. 이 사태는 SK를 비롯한 대기업이 지배구조 개편을 서두르는 계기가 됐다.
한국 증시는 ‘아시아 현금인출기(ATM)’이라는 오명도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등 해외 유동성 위기가 올 때마다 국내 증시에서 외국 자본이 급격히 빠져나가고, 송금을 위해 외환 수요가 늘면서 외환 시장까지 뒤흔드는 일이 반복돼왔다.
반면 외국인들이 저(低) 주가수익비율(PER) 종목을 쓸어담으면서 국내 투자가들이 선진 기법에 눈을 떴다는 평가도 있다. 자본시장 개방은 공시 규정 등 국내 증시 관련 제도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추는 기회가 됐다.
올해는 외국인의 귀환을 기다리기보다 해외 증시에 투자하는 ‘서학개미’도 크게 늘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1월 국내 개인투자자의 외화 주식 보유액은 790억달러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년 전보다 5.4배 늘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