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포스코 양대 노동조합 중 하나인 포스코지회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 탈퇴 절차를 밟고 있다. 금속노조가 포스코 직원의 권익 향상을 외면하고 조합비만 걷는다는 불만이 팽배해진 영향이다.

2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금속노조 포항지부 포스코지회는 지난 28일부터 금속노조 탈퇴를 위한 조합원 투표를 벌이고 있다. 산별노조인 금속노조 지회 형태의 조직을 기업형 노조로 전환하는 안건에 관한 투표다. 투표는 30일까지 이뤄지며 개표 결과도 이날 나온다. 전체 조합원 264명 중 과반이 참석하고 참석자의 3분의 2가 찬성하면 가결된다. 포스코지회의 금속노조 탈퇴 투표는 이번이 두 번째다. 3~4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탈퇴 찬반투표를 한 결과 찬성률 66.9%로 안건이 가결됐다. 하지만 상급단체인 금속노조가이의를 제기했고, 고용노동부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재투표가 이뤄지고 있다.

포스코지회는 가결을 자신했다. 지회는 의견문을 통해 “금속노조가 조직 형태 변경은 불법이라는 근거 없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며 “대다수 포스코 조합원은 탈퇴를 찬성한다”고 말했다.

포스코 노조 "민노총, 태풍 피해 외면…우릴 ATM 취급"

금속노조는 포스코지회의 탈퇴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내 최대 철강업체인 포스코가 가진 상징성 때문이다. 금속노조의 공식 입장은 ‘탈퇴 불가’다. 노조 규약상 개인별 탈퇴만 가능하며, 하부 조직인 지회 단위의 집단 탈퇴는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징계’ 카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집단 탈퇴를 막기 위해 포스코 조합원들이 선출한 지회장과 수석부지회장, 사무장을 제명하고 대의원들에게도 징계를 내렸다. 업계 관계자는 “대의원에 대한 징계를 미리 내린 것은 포스코지회가 정족수를 채우는 것을 방해하겠다는 의도”라며 “정족수에 미달하면 투표의 효력이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회는 금속노조 ATM이 아니다”

포스코지회는 최근 입장문을 통해 “금속노조는 지회가 금속노조를 위해 일하고 금속노조를 위해 존재하기를 원한다”고 비판했다. 합법적으로 투표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직원들이 직접 뽑은 노조 임원을 대상으로 징계를 내리는 등 폄훼를 일삼고 있다는 주장이다. 한 조합원은 “금속노조는 포스코지회를 조합비를 내는 ATM으로만 보고 있다”며 “이번 태풍피해 복구 때도 아무런 지원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포스코 노조는 1988년 처음 결성됐지만 3년 후인 1991년 노조 간부의 비리로 와해됐다. 그러다가 2018년 복수노조로 재출범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소속인 포스코노조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소속인 포스코지회가 활동 중이다. 조합원 6000여 명이 소속된 한국노총 계열 포스코노조가 제1노조로, 단체교섭권을 보유하고 있다. 당초 3300여 명으로 출범한 민주노총 포스코지회는 포항과 광양지부를 합쳐 500명가량으로 줄어든 것으로 추산된다. 사용자가 임금에서 조합비를 미리 공제해 노조에 납부하는 ‘체크오프’ 인원 기준이다.

노조원 수와 관련, 민주노총은 사측을 의식해 현금 납부, 자동이체 등 방식으로 조합비를 납부하는 ‘비밀 조합원’까지 합해 계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사측이 포스코지회를 강성노조로 규정하고 ‘노조 와해’를 조직적으로 시도하면서 조합원들이 어쩔 수 없이 다른 노조로 옮기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포스코노조와 포스코지회는 조직 규모를 늘리기 위해 조합원 유치 활동을 적극적으로 벌여왔다.

민주노총 연쇄 탈퇴 잇따르나

포스코지회 탈퇴가 현실화하면 다른 업종 노조의 민주노총 산별노조 탈퇴가 잇따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지난해 10월 GS건설과 쌍용건설이 민주노총 건설기업노조를 탈퇴한 데 이어 지난 4월엔 금융감독원 노조가 사무금융노조 탈퇴를 선언했다. 금속노조의 최대 규모 지회인 대우조선해양 원청노조도 지난 7월 민주노총 금속노조 탈퇴를 시도했다. 당시 51일간의 하청노조 파업에 염증을 느낀 대우조선 노조는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 탈퇴 찬반을 묻는 조합원 투표를 개최했다. 탈퇴 찬성률이 52.7%로 참석자 3분의 2를 넘기지 못해 부결되기는 했지만, 찬성이 절반이 넘을 정도로 조합원들의 호응이 높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민주노총에 가입한 근로자는 113만4000명이다. 전체 노조 가입 근로자 중 40.4%에 해당한다. 근소하게나마 한국노총(115만4000명·41.1%)에 뒤지고 있는 모습이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 근로자 중 상당수가 민주노총에 반감을 가지고 있다는 게 노동계의 설명이다.

한 대기업 노무담당 관계자는 “MZ세대는 철저한 성과주의를 내세우며 회사가 공정하게 실적에 따라 몫을 분배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며 “정치 구호를 앞세운 기존 노조의 행태에 반발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강경민/곽용희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