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장기침체 '경고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핵심 경기지표 10개 중 7개 하강·둔화
통계청, 경기순환시계 분석
올해 '상저하고' 물 건너갈 수도
통계청, 경기순환시계 분석
올해 '상저하고' 물 건너갈 수도
국내 경기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지표 10개 중 생산, 소비, 투자 등 7개 지표가 하강 또는 둔화 국면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가 여전히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한국 경제가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런 예상이 빗나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기순환시계’에 따르면 핵심 10개 지표 중 광공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수출액, 수입액 등 5개 지표가 올 1월 기준 하강 국면에 진입했다. 설비투자지수와 취업자 수는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상승·회복 국면에 들어선 지표는 서비스업생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건설기성액 등 3개뿐이었다. 경기순환시계는 대표적 경기지표 10개가 각각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경기순환 국면 중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작년 1월만 해도 경기순환시계를 구성하는 10개 지표 중 하강·둔화 국면에 놓인 지표는 5개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해 9월엔 하강·둔화 국면에 있는 지표가 7개로 늘어난 데 이어 10월과 11월엔 각각 9개, 12월엔 8개를 기록했다. 올 들어선 그나마 7개로 줄었지만 여전히 경기 흐름이 바뀌었다고 보긴 이르다.
특히 수출액, 광공업생산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등 주요 지표는 2, 3월에 더 나빠졌다. 예컨대 광공업생산지수는 지난 2월 99.2를 기록해 2020년 8월 이후 2년6개월 만에 기준치(100) 밑으로 떨어졌다.
경기순환시계 구성지표는 아니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데 쓰이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2월 98.5를 기록해 8개월째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대부분 지표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정부도 뾰족한 대응 수단이 없어 올 하반기 경기 상저하고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9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기순환시계’에 따르면 핵심 10개 지표 중 광공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수출액, 수입액 등 5개 지표가 올 1월 기준 하강 국면에 진입했다. 설비투자지수와 취업자 수는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상승·회복 국면에 들어선 지표는 서비스업생산지수, 소비자기대지수, 건설기성액 등 3개뿐이었다. 경기순환시계는 대표적 경기지표 10개가 각각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경기순환 국면 중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작년 1월만 해도 경기순환시계를 구성하는 10개 지표 중 하강·둔화 국면에 놓인 지표는 5개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해 9월엔 하강·둔화 국면에 있는 지표가 7개로 늘어난 데 이어 10월과 11월엔 각각 9개, 12월엔 8개를 기록했다. 올 들어선 그나마 7개로 줄었지만 여전히 경기 흐름이 바뀌었다고 보긴 이르다.
특히 수출액, 광공업생산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등 주요 지표는 2, 3월에 더 나빠졌다. 예컨대 광공업생산지수는 지난 2월 99.2를 기록해 2020년 8월 이후 2년6개월 만에 기준치(100) 밑으로 떨어졌다.
경기순환시계 구성지표는 아니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데 쓰이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2월 98.5를 기록해 8개월째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대부분 지표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정부도 뾰족한 대응 수단이 없어 올 하반기 경기 상저하고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