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월가가 기대하는 인플레이션 완화는 아시아의 몫?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월스트리트 따라잡기
미국 월가의 시선이 아시아로 향하고 있다. 주요 아시아 국가들의 무역량 감소 및 수출 가격 하락이 관찰되고 있어서다. 월각 일각에서는 아시아 제품의 수출가격 하락이 글로벌 인플레이션 완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이란 분석도 내놓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 금리 인상에 제동을 걸 수 있는 변수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덩달아 증시활황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27일 WSJ(월스트리트 저널)와 CEIC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5월까지의 이전 12개월간 수출액은 지난 9월 기준 이전 12개월간 수출액과 비교해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은 14%, 싱가포르는 6%, 일본은 4%, 중국은 3% 수출액이 줄어들었다.
수요 감소로 인한 수출 감소가 가격 약세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으로부터의 지난 5월 미국 수입 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6.3%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물가는 2%, 동남아시아 10개국으로부터의 수입물가는 3.7% 하락했다.
수입물가의 하락은 가구, 가전제품, 텔레비전, 스포츠 장비, 컴퓨터, 스마트폰 등 아시아에서 주로 공급되는 미국 내 다양한 상품의 가격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입 물가 완화가 계속돼, 미국의 고 인플레이션이 잡힌다면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기조가 멈출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월가가 향후 아시아발 수입물가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다. 이렇게 되면 최근까지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어진 나스닥 및 S&P500의 상승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다만, 아시아의 '물가 완화 역할론'은 단기적 현상일뿐 현재 벌어지고 있는 아시아 내 공급망 갈등은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라고 설명하는 시각도 있다.
코로나 19 이전 중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글로벌 무역에 편입되면서 상품, 서비스, 노동, 자본 시장이 광범위하게 통합됐고, 글로벌 물가 하락에 큰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 미중 무역 갈등와 같은 탈 세계화 흐름이 관찰되면서 이러한 현상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아시아 각국은 베트남 및 인도 등으로 공장을 이전하고 있다.
또 각국 정부는 자국에 대한 공장 증설 즉 인쇼어링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반도체·친환경 기술 제품 등 전략 산업에 보조금을 지급해 투자와 일자리를 국내로 유치하고 있다. 무역 분열이 제조업체의 비용을 증가시켜 결국엔 인플레이션 진정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기와 증시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닐 셰어링 런던 캐피탈 이코노믹스 그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세계화의 황금기, 그리고 그와 관련된 디스인플레이션 압력은 이제 사라졌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27일 WSJ(월스트리트 저널)와 CEIC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5월까지의 이전 12개월간 수출액은 지난 9월 기준 이전 12개월간 수출액과 비교해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은 14%, 싱가포르는 6%, 일본은 4%, 중국은 3% 수출액이 줄어들었다.
수요 감소로 인한 수출 감소가 가격 약세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으로부터의 지난 5월 미국 수입 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6.3%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물가는 2%, 동남아시아 10개국으로부터의 수입물가는 3.7% 하락했다.
수입물가의 하락은 가구, 가전제품, 텔레비전, 스포츠 장비, 컴퓨터, 스마트폰 등 아시아에서 주로 공급되는 미국 내 다양한 상품의 가격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입 물가 완화가 계속돼, 미국의 고 인플레이션이 잡힌다면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기조가 멈출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월가가 향후 아시아발 수입물가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다. 이렇게 되면 최근까지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어진 나스닥 및 S&P500의 상승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다만, 아시아의 '물가 완화 역할론'은 단기적 현상일뿐 현재 벌어지고 있는 아시아 내 공급망 갈등은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라고 설명하는 시각도 있다.
코로나 19 이전 중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글로벌 무역에 편입되면서 상품, 서비스, 노동, 자본 시장이 광범위하게 통합됐고, 글로벌 물가 하락에 큰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 미중 무역 갈등와 같은 탈 세계화 흐름이 관찰되면서 이러한 현상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아시아 각국은 베트남 및 인도 등으로 공장을 이전하고 있다.
또 각국 정부는 자국에 대한 공장 증설 즉 인쇼어링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반도체·친환경 기술 제품 등 전략 산업에 보조금을 지급해 투자와 일자리를 국내로 유치하고 있다. 무역 분열이 제조업체의 비용을 증가시켜 결국엔 인플레이션 진정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기와 증시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닐 셰어링 런던 캐피탈 이코노믹스 그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세계화의 황금기, 그리고 그와 관련된 디스인플레이션 압력은 이제 사라졌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