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
-
보편관세 일단 보류…"준비되면 빠르게 실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운 10~20% 보편관세 부과 계획은 꺼내지 않았다. 취임사에서 “미국 근로자와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즉각 무역 시스템 점검을 시작하고 대외수입청을 설립해 외국에 관세와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했지만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
2025.01.21 18:14
-
취임 첫날 관세부과 보류한 트럼프…'신중모드'에 달러 1%대 하락 [트럼프 2기 개막]
취임 첫날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할 것으로 예상됐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달러 인덱스가 하락했다. 관세 보류로 멕시코 페소와 캐나다 달러 가치는 상승했다. ○3주 만에 최저치 나타낸 달러인덱스20일(현지시간) 트럼프 ...
2025.01.21 07:30
-
日 금리인상 임박…세계 금융시장 또 요동치나
일본은행(BOJ)이 이달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시장에서는 엔 캐리 청산 공포가 다시금 확산하고 있다. 지난해 7월 말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의 경제 둔화 신호와 겹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쳤던 ‘블랙 먼데이’가 또다...
2025.01.19 14:52
-
페소 강세 타고 브라질로 몰리는 아르헨티나 여행객
아르헨티나 페소화가 브라질 헤알화 대비 강세를 보이며 브라질이 아르헨티나 여행객들로 북적이고 있다.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인들은 국내에서는 세 자릿수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강세를 띠고 있는 페소 덕분에 상대적으로 소비 여력이...
2024.12.22 13:40
-
브라질, 환율방어 위해 이틀간 150억弗 투입
브라질과 인도를 비롯한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자국 통화가치가 급락하자 줄지어 시장 개입에 나섰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스탠스로 돌변하면서 신흥국 통화정책을 좌지우지하는 양상이다.19일(현지시간) 브라질 중앙은행은 헤알화 환율이 사상 최고치인 ...
2024.12.20 17:51
-
힘 못쓰는 신흥국 통화…원화 방어 비상
미국 중앙은행(Fed)이 내년부터 금리 인하폭과 속도를 줄이기로 하자 신흥국 통화 가치가 곤두박질쳤다.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돼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 헤알화와 인도 루피화 가치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MSCI 신흥시...
2024.12.20 17:50
-
'위기의 캐나다'…정치 혼란까지 겹치며 캐나다달러 최저치 추락
캐나다달러 가치가 2020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재무장관이 재정 문제를 둘러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갈등으로 사임을 발표한 지 하루 만이다. 재무장관 사임 여파 지속17일(현지시간) 캐나다달러 환율은 달러당 1.43...
2024.12.18 09:04
-
트럼프 당선 후 强달러 지속…신흥국 통화 하락폭 2년만 최대
강(强)달러를 넘어선 ‘킹달러’가 지속되면서 달러 대비 신흥국 통화 가치가 2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광범위한 고율 관세 부과 예고와 재정정책 완화 전망 등에 힘입어 달러 가치가 급등했고, ...
2024.12.13 09:22
-
도이치방크 "내년 달러 대비 신흥국 통화 약세…韓이 제일 취약"
글로벌 투자은행 도이치방크가 내년에 미국 달러화 대비 아시아 신흥시장 통화의 약세를 전망했다. 특히 한국 원화가 가장 취약한 통화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봤다.9일(현지시간) 외환금융 전문 매체 FX스트리트에 따르면 도이치방크는 최근 "내년에 EMFX(신흥시장 외환) ...
2024.12.10 13:51
-
블룸버그 "탄핵 부결로 韓 자산 변동성 확대…내수 침체 우려"
월가에서는 주말 사이 벌어진 대한민국의 급박한 정치 상황에 주목하며 한국 자산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고 있다.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트레이더들은 한국 자산의 지속적인 변동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주말 동안 고조된 정치적 위기로...
2024.12.09 09:00
-
러시아 루블화 2년 만에 최악인데…푸틴, 몰래 웃는 이유
러시아 루블화 가치가 자국 은행에 대한 미국 제재의 영향으로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 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6일(현지시간) 국제 외환시장에서 루블화는 1주 전보다 4.87% 오른 달러 당 105.49루블에 거래됐다. 이날 한때 107루블을 돌...
2024.11.27 12:06
-
'강달러·약유로'…'1달러=1유로화' 패리티 시대 열리나?
국제 통화 전략가들은 빠르면 내년에 달러와 유로화의 패리티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즉 1달러와 1유로 가치가 동등해지는 것이다. 유로는 역사적으로 달러보다 높은 가치를 유지해왔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달러 현물 지수는 0.4% 상승했으며 유로는 ...
2024.11.12 21:24
-
美 금리 인하, 中 부양책 기대에…신흥국 지수 상승세
미국 중앙은행(Fed)이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후 신흥국 통화와 증시가 강세를 보였다.7일(현지시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 통화지수는 멕시코 페소화와 헝가리 포린트화 강세를 보이며 0.2% 상승했다. 개발도상국 증시를 추적하는...
2024.11.08 14:22
-
트럼프 '관세 폭탄' 우려…'대미수출 1위' 멕시코 페소 급락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주요 무역 파트너국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란 예상에 이웃 국가 멕시코의 페소화 가치가 달러 대비 급락(환율 상승)했다.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이날 미국 동부 시간 오전 1시 44분경 1달러당 달러·페소 환율은 20.80...
2024.11.07 12:28
-
"탄약은 충분"…달러 치솟기 전 6조4000억弗 장전해둔 아시아
아시아 주요국들이 강달러에 대비해 6조4000억달러(약 8820조원)에 이르는 외환을 비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아시아 국가들의 외환보유고가 방어벽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
2024.11.01 13:59
-
엔화 또다시 뛴다 … 유로화도 강세
미국 중앙은행(Fed)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을 계기로 엔화와 유로화 가치가 동반 상승하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로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 영향이다. 금리가 내려가면 통상 통화 가치가 떨어진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가 약 1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주저앉...
2024.09.18 18:10
-
엔 캐리 지고, 스위스 프랑 캐리 뜬다
엔화 강세로 대폭 축소된 엔 캐리 트레이드를 대신해 ‘스위스프랑’ 캐리 트레이드가 뜨고 있다.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투자자들은 지난달 초 엔 캐리 트레이드가 대규모로 청산되기 이전까지 140억달러(약 18조7000억원)의 엔화 쇼트(매도) 포지션을 취했으나 같은 달 30일 기...
2024.09.04 18:02
-
엔화로 재미 본 큰손들, 요즘 눈독 들이는 '이것' [이슈+]
엔화 강세로 대폭 축소된 엔 캐리트레이드를 대신해 '스위스 프랑' 캐리트레이드가 부상하고 있다. 엔화 대비 낮은 변동성, 스위스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 스위스 중앙은행(SNB)의 프랑 약세 선호 등이 그 이유로 꼽힌다. '엔 캐리&...
2024.09.03 09:45
-
中 '서방 제재' 러 밀착…위안화 국제결제 최대
중국이 지난달 국제 거래에서 사용한 위안화 결제액 규모가 올해 들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2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이 국제 거래에서 사용한 통화 중 위안화 비중이 53%에 달했다. 2021년 7월 기록한 40%와 비교해 3년 만에 10%포인트 넘게 늘어난 것이다. FT는 러시아의 위안화 사용이 급증한 것이 주요 이유라고 분...
2024.08.30 18:04
-
英 베일리 "인플레 승리 선언 이르다"…파운드화 29개월만 최고치
미국과 영국의 중앙은행 총재들이 금리 인하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이면서 영국 파운드화 가치가 2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비둘기파적 발언을 내놓은 제롬 파월 의장과 달리 상대적으로 매파적인 기조를 보인 베일리 총재의 발언이 외환 시장에 반영되면서다.◆파운드 ...
2024.08.28 09:5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