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公기관 외국산 PC·SW 모두 뜯어낸다…트럼프 제재에 '맞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년 안에 중국산으로 교체 지시
델·HP·MS 같은 미국 기업 겨냥
'기술 굴기' 꺾으려는 美에 반격
델·HP·MS 같은 미국 기업 겨냥
'기술 굴기' 꺾으려는 美에 반격
중국 정부가 모든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 3년 안에 외국산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자국산으로 교체하도록 지시했다. 델과 HP의 PC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 운영체제(OS) 등 미국 기업 제품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 미국이 국가안보를 이유로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와 ZTE 등을 제재하자 비슷한 방법으로 대응에 나섰다는 분석도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올해 초 중국 최고 권력기관인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중국 정부에 이 같은 지시를 내렸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구체적으로 내년에 각 부처와 공공기관 컴퓨터의 30%를 우선 바꾸고 2021년에는 50%, 2022년엔 나머지 20%를 교체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퇴출되는 외국산 컴퓨터는 최소 2000만 대에서 최대 30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바뀌는 컴퓨터 비중의 앞글자를 따서 이 계획을 ‘3·5·2 정책’이라고 이름 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FT는 이번 명령은 기밀사항이었지만 중국 사이버 보안회사 두 곳의 직원을 통해 내용을 확인했다고 취재 과정을 밝혔다. 또 이번 정책이 중국 정부가 2017년 만든 사이버 보안법에 따라 정부 각 부처와 핵심 인프라 운영자들이 ‘안전하고 통제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안보 위협’을 들어 화웨이, ZTE 등 중국 기업 제품 사용을 막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대한 맞불 차원으로도 해석된다. 미 상무부는 지난 5월 국가안보를 이유로 화웨이를 제재 리스트에 올려 미국 기업이 화웨이와 거래하려면 정부 승인을 받도록 했다. 또 지난달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국가안보 위협을 내세워 미국 중소 무선통신업체와 브로드밴드(광대역통신) 제공 업체들이 연방정부 보조금을 화웨이와 ZTE의 장비 구매와 유지 비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미국 컨설팅업체 유라시아그룹의 폴 트리올로 연구원은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 제재로 인해 중국 기업이 받는 위협을 없애기 위한 것”이라며 “중국 정보기술(IT) 업체의 공급망을 더욱 강력하게 지원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번 조치로 미국 기업이 받는 충격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투자회사 제프리스에 따르면 미국 기술기업들이 중국에서 매년 벌어들이는 수입은 약 1500억달러에 달하는데 매출의 대부분은 민간 부문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국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들은 대부분 중국 레노버의 데스크톱 PC를 사용하고 있다. 레노버는 2005년 미국 IBM의 PC사업 부문을 인수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레노버 컴퓨터의 속을 들여다보면 프로세서 칩은 미국 인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삼성전자 제품이다.
전문가들은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국산화가 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자체 OS인 ‘기린’을 보유하고 있지만 MS의 윈도와 비교하면 여전히 기능에 한계가 많기 때문이다. 정부 차원의 국산화 지시가 민간 기업에까지 이어지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막대한 교체 비용 때문에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FT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기술 굴기를 꺾으려고 하자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첫 반격 조치를 내놓았다”며 “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의 일환이지만 글로벌 공급사슬이 미국과 중국으로 양분될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올해 초 중국 최고 권력기관인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중국 정부에 이 같은 지시를 내렸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구체적으로 내년에 각 부처와 공공기관 컴퓨터의 30%를 우선 바꾸고 2021년에는 50%, 2022년엔 나머지 20%를 교체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퇴출되는 외국산 컴퓨터는 최소 2000만 대에서 최대 30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바뀌는 컴퓨터 비중의 앞글자를 따서 이 계획을 ‘3·5·2 정책’이라고 이름 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FT는 이번 명령은 기밀사항이었지만 중국 사이버 보안회사 두 곳의 직원을 통해 내용을 확인했다고 취재 과정을 밝혔다. 또 이번 정책이 중국 정부가 2017년 만든 사이버 보안법에 따라 정부 각 부처와 핵심 인프라 운영자들이 ‘안전하고 통제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안보 위협’을 들어 화웨이, ZTE 등 중국 기업 제품 사용을 막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대한 맞불 차원으로도 해석된다. 미 상무부는 지난 5월 국가안보를 이유로 화웨이를 제재 리스트에 올려 미국 기업이 화웨이와 거래하려면 정부 승인을 받도록 했다. 또 지난달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국가안보 위협을 내세워 미국 중소 무선통신업체와 브로드밴드(광대역통신) 제공 업체들이 연방정부 보조금을 화웨이와 ZTE의 장비 구매와 유지 비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미국 컨설팅업체 유라시아그룹의 폴 트리올로 연구원은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 제재로 인해 중국 기업이 받는 위협을 없애기 위한 것”이라며 “중국 정보기술(IT) 업체의 공급망을 더욱 강력하게 지원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번 조치로 미국 기업이 받는 충격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투자회사 제프리스에 따르면 미국 기술기업들이 중국에서 매년 벌어들이는 수입은 약 1500억달러에 달하는데 매출의 대부분은 민간 부문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국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들은 대부분 중국 레노버의 데스크톱 PC를 사용하고 있다. 레노버는 2005년 미국 IBM의 PC사업 부문을 인수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레노버 컴퓨터의 속을 들여다보면 프로세서 칩은 미국 인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삼성전자 제품이다.
전문가들은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국산화가 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자체 OS인 ‘기린’을 보유하고 있지만 MS의 윈도와 비교하면 여전히 기능에 한계가 많기 때문이다. 정부 차원의 국산화 지시가 민간 기업에까지 이어지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막대한 교체 비용 때문에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FT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기술 굴기를 꺾으려고 하자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첫 반격 조치를 내놓았다”며 “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의 일환이지만 글로벌 공급사슬이 미국과 중국으로 양분될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