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직전까지 갔던 美-이란 갈등…갑자기 '소강국면' 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복대신 '경제 제재' 택한 미국
대미 공격 '수위 조절'한 이란
대미 공격 '수위 조절'한 이란
미국의 이란 군부 거물 제거와 이란의 이라크 내 미군기지 공격으로 전쟁 직전까지 갔던 미·이란 갈등이 소강 국면에 들어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군사력 사용을 원치 않는다”며 반격 대신 경제제재를 택하면서다. 일단 트럼프 대통령이 확전을 피해 한발 물러선 모양새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이란도 확전을 원치 않는 기색이 역력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면전을 피한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미군 사망자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견에서 “간밤 이란의 공격으로 다친 미국인은 아무도 없다”고 했다. 미군 사망자가 있었다면 여론상 트럼프 대통령도 그대로 물러서기 어려울 수 있었다.
둘째, 미국은 이란의 추가 공격이 없을 것이라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견에서 “이란이 물러서는 것처럼 보인다”고 했다. 전날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이번 공격을 ‘자위적 방어’로 명명하며 “우리는 긴장 고조나 전쟁을 원치 않는다”고 했다.
셋째, 미국이 반격하면 전쟁이 중동 전역으로 번질 가능성을 염려했다. 이란은 전날 “미국이 이란을 공격하면 다음 표적은 두바이와 (이스라엘)하이파”라고 위협했다. 미국으로선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이란이 공격하면 신속하고, 완전하고, 비례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반격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일단 자신의 말을 뒤집었다.
넷째, 재선에 미칠 영향이다. 미국 경제와 증시는 현재 호황을 구가하고 있다. 미·이란 간 전면전이 발발하면 경제와 증시가 흔들린다. 정치적으로 전쟁이 재선에 유리할 것이란 계산을 할 순 있지만 ‘경제를 망쳤다’는 비난에 직면하면 재선 가도에 불확실성이 커질 위험이 있다.
다섯째, 지금 한발 물러나도 그다지 나쁠 게 없다는 계산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테러 모의’ 등을 이유로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의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제거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이란의 테러 기도를 저지했다고 내세울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여차하면 무력을 쓸 수 있다’는 걸 행동으로 보여줬다. 일각에서 제기된 ‘트럼프의 위협은 말뿐’이란 비판은 쏙 들어갔다. 오히려 여기서 더 나가면 ‘무모하다’는 비난을 들을 우려가 있다.
이란도 ‘솔레이마니 피살’에 보복 차원에서 미군 기지를 공격했지만 도발 수위를 조절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공격 지점이다. 이란이 공격한 이라크 내 미군기지 아인 알아사드와 에르빌은 미군 밀집 지역이 아니다. 일각에선 정조준했느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이란 혁명수비대가 공격 한 시간 전쯤 이라크 총리에게 공격 계획을 구두로 통보했고, 이라크가 미국에 이를 전달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미군이 사전에 대비할 시간을 줬다는 것이다.
이란 지도부는 솔레이마니 폭살에 따른 반미 여론이 고조돼 뭐라도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렇다고 세계 최강 미군과 정면대결을 벌였다간 정권이 붕괴될 위험이 있다. 미국에 보복을 가하면서도 실질적 피해는 주지 않는 선에서 도발을 자제한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란혁명수비대는 9일 “이번 공격은 미국인의 인명을 살상하려는 것이 아니라 미군 장비를 파괴하는 게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란의 보복이 여기서 멈출 것이라고 단정하긴 아직 이르다.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간밤에 우리는 미국의 뺨을 한 대 때렸을 뿐”이라며 “보복이라고도 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아미르알리 하지지데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은 “솔레이마니 장군의 피에 대한 적절한 보복은 미군을 중동에서 내쫓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금융시장은 전면전을 피했다는 점에서 안도하고 있다. 한때 배럴당 65달러까지 치솟았던 서부텍사스원유(WTI)는 6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브렌트유도 72달러 근처까지 뛰었다가 65달러대로 하락했다. 8일 뉴욕증시에선 나스닥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다우지수와 S&P500지수도 일제히 상승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트럼프 대통령이 전면전을 피한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미군 사망자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견에서 “간밤 이란의 공격으로 다친 미국인은 아무도 없다”고 했다. 미군 사망자가 있었다면 여론상 트럼프 대통령도 그대로 물러서기 어려울 수 있었다.
둘째, 미국은 이란의 추가 공격이 없을 것이라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견에서 “이란이 물러서는 것처럼 보인다”고 했다. 전날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이번 공격을 ‘자위적 방어’로 명명하며 “우리는 긴장 고조나 전쟁을 원치 않는다”고 했다.
셋째, 미국이 반격하면 전쟁이 중동 전역으로 번질 가능성을 염려했다. 이란은 전날 “미국이 이란을 공격하면 다음 표적은 두바이와 (이스라엘)하이파”라고 위협했다. 미국으로선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이란이 공격하면 신속하고, 완전하고, 비례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반격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일단 자신의 말을 뒤집었다.
넷째, 재선에 미칠 영향이다. 미국 경제와 증시는 현재 호황을 구가하고 있다. 미·이란 간 전면전이 발발하면 경제와 증시가 흔들린다. 정치적으로 전쟁이 재선에 유리할 것이란 계산을 할 순 있지만 ‘경제를 망쳤다’는 비난에 직면하면 재선 가도에 불확실성이 커질 위험이 있다.
다섯째, 지금 한발 물러나도 그다지 나쁠 게 없다는 계산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테러 모의’ 등을 이유로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의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제거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이란의 테러 기도를 저지했다고 내세울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여차하면 무력을 쓸 수 있다’는 걸 행동으로 보여줬다. 일각에서 제기된 ‘트럼프의 위협은 말뿐’이란 비판은 쏙 들어갔다. 오히려 여기서 더 나가면 ‘무모하다’는 비난을 들을 우려가 있다.
이란도 ‘솔레이마니 피살’에 보복 차원에서 미군 기지를 공격했지만 도발 수위를 조절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공격 지점이다. 이란이 공격한 이라크 내 미군기지 아인 알아사드와 에르빌은 미군 밀집 지역이 아니다. 일각에선 정조준했느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이란 혁명수비대가 공격 한 시간 전쯤 이라크 총리에게 공격 계획을 구두로 통보했고, 이라크가 미국에 이를 전달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미군이 사전에 대비할 시간을 줬다는 것이다.
이란 지도부는 솔레이마니 폭살에 따른 반미 여론이 고조돼 뭐라도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렇다고 세계 최강 미군과 정면대결을 벌였다간 정권이 붕괴될 위험이 있다. 미국에 보복을 가하면서도 실질적 피해는 주지 않는 선에서 도발을 자제한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란혁명수비대는 9일 “이번 공격은 미국인의 인명을 살상하려는 것이 아니라 미군 장비를 파괴하는 게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란의 보복이 여기서 멈출 것이라고 단정하긴 아직 이르다.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간밤에 우리는 미국의 뺨을 한 대 때렸을 뿐”이라며 “보복이라고도 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아미르알리 하지지데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은 “솔레이마니 장군의 피에 대한 적절한 보복은 미군을 중동에서 내쫓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금융시장은 전면전을 피했다는 점에서 안도하고 있다. 한때 배럴당 65달러까지 치솟았던 서부텍사스원유(WTI)는 6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브렌트유도 72달러 근처까지 뛰었다가 65달러대로 하락했다. 8일 뉴욕증시에선 나스닥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다우지수와 S&P500지수도 일제히 상승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