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10兆 이어 독일도 17兆 푼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럽 각국 대규모 부양책
佛, EU 차원 대응책 요구
EU정상 긴급 화상회의 열어
佛, EU 차원 대응책 요구
EU정상 긴급 화상회의 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심각한 유럽 각국도 잇따라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또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 정상들은 10일 긴급 화상회의를 열었다.
독일 정부는 9일(현지시간) 코로나19 피해 기업을 위한 지원책과 124억유로(약 17조원) 규모의 정부 투자안을 발표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재무장관은 “경제를 안정시키고 일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할 것”이라며 “기업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독일의 이번 대책은 지난 8일 밤 대연정 3자 회담에서 7시간의 논의 끝에 나온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자금난을 겪는 기업들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실업률 급증을 막기 위한 기존 지원책을 확대하는 게 골자다. 또 베를린시는 2021~2024년 도로, 철도, 주택 등 공공시설을 건설하는 데 매년 31억유로씩 총 124억유로를 추가 지출하기로 했다.
앞서 이탈리아는 코로나19가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75억유로(약 10조원)를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에 예산이 쓰일 전망이다. 당초 이탈리아 정부는 36억유로 규모의 예산을 편성할 방침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자 이를 두 배 이상으로 늘렸다.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EU 차원의 경기 부양책을 요구하고 있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현 상황에선 EU 수준의 공동 대응이 요구된다”며 “강력한 조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세페 콘테 이탈리아 총리는 “이탈리아는 이번 사태를 막기 위해 모든 인적, 경제적 자원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금까지 유럽의 조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할 때 그들이 지출한 200억유로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며 “산업계와 경제학자들은 더 많은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탈리아의 경제 위기 우려가 커지면서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와 독일 10년 만기 국채(분트)의 수익률 격차(스프레드)는 8일 2%포인트 이상 확대됐다. 작년 8월 이후 최고치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독일 정부는 9일(현지시간) 코로나19 피해 기업을 위한 지원책과 124억유로(약 17조원) 규모의 정부 투자안을 발표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재무장관은 “경제를 안정시키고 일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할 것”이라며 “기업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독일의 이번 대책은 지난 8일 밤 대연정 3자 회담에서 7시간의 논의 끝에 나온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자금난을 겪는 기업들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실업률 급증을 막기 위한 기존 지원책을 확대하는 게 골자다. 또 베를린시는 2021~2024년 도로, 철도, 주택 등 공공시설을 건설하는 데 매년 31억유로씩 총 124억유로를 추가 지출하기로 했다.
앞서 이탈리아는 코로나19가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75억유로(약 10조원)를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에 예산이 쓰일 전망이다. 당초 이탈리아 정부는 36억유로 규모의 예산을 편성할 방침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자 이를 두 배 이상으로 늘렸다.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EU 차원의 경기 부양책을 요구하고 있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현 상황에선 EU 수준의 공동 대응이 요구된다”며 “강력한 조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세페 콘테 이탈리아 총리는 “이탈리아는 이번 사태를 막기 위해 모든 인적, 경제적 자원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금까지 유럽의 조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할 때 그들이 지출한 200억유로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며 “산업계와 경제학자들은 더 많은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탈리아의 경제 위기 우려가 커지면서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와 독일 10년 만기 국채(분트)의 수익률 격차(스프레드)는 8일 2%포인트 이상 확대됐다. 작년 8월 이후 최고치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