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코로나 대응 위해 한·미 통화스와프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서 먼저 제기된 한·미 통화스와프 필요성…WSJ "국제 금융시장 안정 위해 필요"
미국 월가에서 한·미 통화스와프가 이뤄져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여파로 흔들리는 국제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다. 미 중앙은행(Fed)은 현재 유럽연합(EU)과 영국, 일본, 캐나다, 스위스 등 5개국과만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Fed의 시장 안정책'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10년만에 발생한 금융시장 패닉을 가라앉히기위해 Fed가 한국과 중국, 대만, 홍콩, 호주와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무역이 많은 이들 국가와의 스왑은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 수요를 안정시키는 데 필요하다는 얘기다. 통화스와프는 외환위기 등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계약을 말한다.
WSJ은 “Fed는 EU 등과 맺고 있는 스와프 계약을 한국 등 다른 시장경제 국가로 확장할 수 있다”며 "필요한 경우 이들 중앙은행이 자국 은행들에 달러를 공급하도록 장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존 그린우드 인베스코(런던) 수석경제학자와 스티브 행크 존스홉킨스대 응용경제학 교수도 이날 WSJ에 '코로나바이러스 패닉을 완화하는 법'이란 칼럼을 싣고 비슷한 내용을 주장했다. 이들은 “미국과 무역량이 많은 아시아 시장에서 달러 조달의 어려움이 생기면 미국 머니마켓 시장에서 즉각 불안이 나타난다”며 “이런 불안을 진정시키려면 금리 인하, 양적완화 등도 필요하지만 스와프협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통해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을 제거해야 패닉은 사라지고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Fed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한국을 비롯한 14개 중앙은행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한 중앙은행간 공조 차원이었다. 당시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을 뛰어넘는 등 ‘제2의 외환위기’가 우려되던 상황에서 Fed와 맺은 300억 달러의 통화스와프는 위기 탈출에 큰 역할을 했다.
Fed는 위기 국면이 수습되자 2010년 2월 14개국과의 스와프 계약을 모두 종료시켰다. 다만 그해 5월 EU 등 5개국과만 상시 형태의 계약을 다시 맺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주요 신흥국들이 위기를 맞았을 때 유동성 조달 수단 중 통화스와프가 신속성, 비용 등의 측면에서 가장 유용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Fed의 시장 안정책'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10년만에 발생한 금융시장 패닉을 가라앉히기위해 Fed가 한국과 중국, 대만, 홍콩, 호주와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무역이 많은 이들 국가와의 스왑은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 수요를 안정시키는 데 필요하다는 얘기다. 통화스와프는 외환위기 등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계약을 말한다.
WSJ은 “Fed는 EU 등과 맺고 있는 스와프 계약을 한국 등 다른 시장경제 국가로 확장할 수 있다”며 "필요한 경우 이들 중앙은행이 자국 은행들에 달러를 공급하도록 장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존 그린우드 인베스코(런던) 수석경제학자와 스티브 행크 존스홉킨스대 응용경제학 교수도 이날 WSJ에 '코로나바이러스 패닉을 완화하는 법'이란 칼럼을 싣고 비슷한 내용을 주장했다. 이들은 “미국과 무역량이 많은 아시아 시장에서 달러 조달의 어려움이 생기면 미국 머니마켓 시장에서 즉각 불안이 나타난다”며 “이런 불안을 진정시키려면 금리 인하, 양적완화 등도 필요하지만 스와프협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통해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을 제거해야 패닉은 사라지고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Fed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한국을 비롯한 14개 중앙은행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한 중앙은행간 공조 차원이었다. 당시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을 뛰어넘는 등 ‘제2의 외환위기’가 우려되던 상황에서 Fed와 맺은 300억 달러의 통화스와프는 위기 탈출에 큰 역할을 했다.
Fed는 위기 국면이 수습되자 2010년 2월 14개국과의 스와프 계약을 모두 종료시켰다. 다만 그해 5월 EU 등 5개국과만 상시 형태의 계약을 다시 맺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주요 신흥국들이 위기를 맞았을 때 유동성 조달 수단 중 통화스와프가 신속성, 비용 등의 측면에서 가장 유용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