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의 비명…식당 1300곳 폐업, 공무원 2만2000명 해고 위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봉쇄령 5개월 맨해튼 현장 르포
요식업 일자리 16만개 사라져
미술관·헬스장 재개장에도 텅텅
은행들은 예약 고객만 응대
뉴욕시, 세금 부족에 재정난
"이젠 경제를 먼저 생각할 때"
요식업 일자리 16만개 사라져
미술관·헬스장 재개장에도 텅텅
은행들은 예약 고객만 응대
뉴욕시, 세금 부족에 재정난
"이젠 경제를 먼저 생각할 때"
“더 이상 버틸 수 없다.”
지난 주말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만난 식당·카페 주인, 체육관 운영자 등 자영업자들은 입을 맞춘 듯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 3월 봉쇄령을 내린 지 5개월여 만에 경제 수도가 유령도시로 전락했다며 한탄했다.
뉴욕은 지난 17일부터 볼링장 등 일부 체육시설 영업을 허가한 데 이어 24일엔 미술관 박물관 수족관 등의 재개장을 허용했다. 하루 1만 명을 넘던 확진자가 500~600명 수준으로 확 떨어진 덕분이다. 하지만 오랜만에 재개장한 탓인지 방문객이 많지 않았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엔 관람객이 2~3명에 불과한 전시실이 적지 않았다. 실내 카페는 문을 닫은 상태였고, 직원 한 명이 생수만 팔고 있었다. 이 미술관은 봉쇄령 이후 전체 직원의 20%인 80여 명을 해고했다. 한 직원은 “지금은 예약 회원만 입장이 가능하다”며 “최대 수용능력 대비 25%까지 받을 수 있지만 다 차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내 헬스장 중 문을 연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 대부분 전화조차 받지 않았다. 뉴욕주에서 재개장을 허용했지만 시 차원에서 환기시설 구비 등 갖가지 규제를 내걸고 있어서다. 내부 시설을 점검하고 있던 맨해튼의 ‘X93 피트니스’ 관계자는 “문을 다시 열더라도 회원들은 무조건 마스크를 쓴 채 운동해야 한다”며 “다음주부터 1주일에 이틀만 개장할 계획”이라고 했다.
금융 중심지 위상에 걸맞지 않게 은행들도 극도로 몸을 사렸다. 웰스파고 등 은행 지점들은 예약하지 않은 고객이 찾을 때마다 정문에서 돌려보내고 있었다.
가장 심각한 건 식당과 카페다. 수개월째 실내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배달·포장 서비스 확대는 물론 야외 테이블을 설치하고 있지만 한계가 분명해 보였다. 뉴욕 내 2만5000여 개 식당·주점 중에서 야외 영업이 가능한 곳은 절반도 안 된다는 게 뉴욕시 접객업협회 측 설명이다.
미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3월 이후 뉴욕에서만 식당 1300여 곳이 부도를 냈다. 사라진 식객업 일자리는 16만 개에 달한다. 비교적 고급인 A레스토랑 주인은 “임차료는 그대로인데 매출은 작년 대비 30% 수준”이라며 “뉴욕엔 추위가 일찍 찾아오기 때문에 야외 영업도 곧 접어야 할 것 같다”고 걱정했다.
뉴욕에서 사람이 몰리는 곳은 따로 있었다. 대형 할인점과 공원이다. 코스트코 타깃 월마트 등에는 입장 대기 줄이 길었다. 재택근무 장기화의 영향이다. 센트럴파크도 마찬가지였다. 공원 내 어린이 놀이시설엔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였다. 최근 영업을 재개한 안경점 앞에도 긴 줄이 형성됐다. 안경 체인점인 와비파커 직원은 “그동안 안경을 구입하지 못했던 소비자들이 한꺼번에 몰린 것 같다”고 말했다.
뉴욕 경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뉴욕시도 심각한 재정난에 빠졌다. 세금이 턱없이 부족해져서다. 지금 상태로는 향후 2년간 공무원 2만2000여 명을 해고할 수밖에 없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1970년대 초 이후 약 50년 만에 봉착한 재정 위기다.
부동산업체 릴레이티드컴퍼니의 제프 블라우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월스트리트저널 기고에서 “미국의 엔진 뉴욕이 존망의 위기에 처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고 있지만 이젠 경제를 먼저 생각해야 할 때”라고 호소했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
지난 주말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만난 식당·카페 주인, 체육관 운영자 등 자영업자들은 입을 맞춘 듯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 3월 봉쇄령을 내린 지 5개월여 만에 경제 수도가 유령도시로 전락했다며 한탄했다.
뉴욕은 지난 17일부터 볼링장 등 일부 체육시설 영업을 허가한 데 이어 24일엔 미술관 박물관 수족관 등의 재개장을 허용했다. 하루 1만 명을 넘던 확진자가 500~600명 수준으로 확 떨어진 덕분이다. 하지만 오랜만에 재개장한 탓인지 방문객이 많지 않았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엔 관람객이 2~3명에 불과한 전시실이 적지 않았다. 실내 카페는 문을 닫은 상태였고, 직원 한 명이 생수만 팔고 있었다. 이 미술관은 봉쇄령 이후 전체 직원의 20%인 80여 명을 해고했다. 한 직원은 “지금은 예약 회원만 입장이 가능하다”며 “최대 수용능력 대비 25%까지 받을 수 있지만 다 차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내 헬스장 중 문을 연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 대부분 전화조차 받지 않았다. 뉴욕주에서 재개장을 허용했지만 시 차원에서 환기시설 구비 등 갖가지 규제를 내걸고 있어서다. 내부 시설을 점검하고 있던 맨해튼의 ‘X93 피트니스’ 관계자는 “문을 다시 열더라도 회원들은 무조건 마스크를 쓴 채 운동해야 한다”며 “다음주부터 1주일에 이틀만 개장할 계획”이라고 했다.
금융 중심지 위상에 걸맞지 않게 은행들도 극도로 몸을 사렸다. 웰스파고 등 은행 지점들은 예약하지 않은 고객이 찾을 때마다 정문에서 돌려보내고 있었다.
가장 심각한 건 식당과 카페다. 수개월째 실내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배달·포장 서비스 확대는 물론 야외 테이블을 설치하고 있지만 한계가 분명해 보였다. 뉴욕 내 2만5000여 개 식당·주점 중에서 야외 영업이 가능한 곳은 절반도 안 된다는 게 뉴욕시 접객업협회 측 설명이다.
미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3월 이후 뉴욕에서만 식당 1300여 곳이 부도를 냈다. 사라진 식객업 일자리는 16만 개에 달한다. 비교적 고급인 A레스토랑 주인은 “임차료는 그대로인데 매출은 작년 대비 30% 수준”이라며 “뉴욕엔 추위가 일찍 찾아오기 때문에 야외 영업도 곧 접어야 할 것 같다”고 걱정했다.
뉴욕에서 사람이 몰리는 곳은 따로 있었다. 대형 할인점과 공원이다. 코스트코 타깃 월마트 등에는 입장 대기 줄이 길었다. 재택근무 장기화의 영향이다. 센트럴파크도 마찬가지였다. 공원 내 어린이 놀이시설엔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였다. 최근 영업을 재개한 안경점 앞에도 긴 줄이 형성됐다. 안경 체인점인 와비파커 직원은 “그동안 안경을 구입하지 못했던 소비자들이 한꺼번에 몰린 것 같다”고 말했다.
뉴욕 경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뉴욕시도 심각한 재정난에 빠졌다. 세금이 턱없이 부족해져서다. 지금 상태로는 향후 2년간 공무원 2만2000여 명을 해고할 수밖에 없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1970년대 초 이후 약 50년 만에 봉착한 재정 위기다.
부동산업체 릴레이티드컴퍼니의 제프 블라우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월스트리트저널 기고에서 “미국의 엔진 뉴욕이 존망의 위기에 처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고 있지만 이젠 경제를 먼저 생각해야 할 때”라고 호소했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