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꿈의 배터리' 전고체 전기차 세계 최초 공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폭발 위험 적고 주행거리 개선
2030년까지 16조 대규모 투자
2030년까지 16조 대규모 투자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를 공개했다. 2030년까지 자동차 배터리 개발에 1조5000억엔(약 15조8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전기차 시장에 뒤늦게 진출한 도요타가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을 통해 본격적인 기술 경쟁에 뛰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도요타자동차는 7일 자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로 달리는 전기차의 모습(사진)을 공개했다. 자막엔 “세계 최초의 전고체 배터리 장착 프로토타입 자동차”라며 “정식으로 번호판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고체 형태로 바꾼 차세대 배터리다. 에너지 밀도가 높아 1회 충전으로도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다. 현재 판매되는 전기차에 장착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온도에 영향을 적게 받아 폭발이나 화재 위험성이 낮다는 장점도 있다. 안전성을 이유로 전기차 구입을 꺼리는 소비자들의 심리적 거부감을 줄여주는 것이다.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도요타 전기차는 지난해 6월 처음 개발됐다. 같은 해 8월 도요타는 이 차량으로 공식 번호판을 받았다. 시험 운행도 했다. 도요타는 “당시 확보한 주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을 개선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요타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0년대 전반에 상용화한다는 기존 계획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또한 차량과 배터리를 하나의 덩어리로 개발해 배터리 비용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도요타는 이날 대대적인 배터리 투자 계획도 발표했다.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도요타는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차에 장착하는 배터리 생산과 개발을 위해 2030년까지 1조5000억엔을 투자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요타와 파나소닉이 공동출자한 배터리 부문 자회사 프라임플래닛에너지&솔루션(PPES)은 일본 효고현과 중국 다롄 공장에서 생산 라인을 확충할 예정이다.
마에다 마사히코 도요타 최고기술경영자(CFO)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차량은 신재생에너지가 널리 이용되는 지역에서 중요하다”며 “도요타가 차량 라인업을 탄소 배출 저감 차량으로 준비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도요타자동차는 7일 자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로 달리는 전기차의 모습(사진)을 공개했다. 자막엔 “세계 최초의 전고체 배터리 장착 프로토타입 자동차”라며 “정식으로 번호판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고체 형태로 바꾼 차세대 배터리다. 에너지 밀도가 높아 1회 충전으로도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다. 현재 판매되는 전기차에 장착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온도에 영향을 적게 받아 폭발이나 화재 위험성이 낮다는 장점도 있다. 안전성을 이유로 전기차 구입을 꺼리는 소비자들의 심리적 거부감을 줄여주는 것이다.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도요타 전기차는 지난해 6월 처음 개발됐다. 같은 해 8월 도요타는 이 차량으로 공식 번호판을 받았다. 시험 운행도 했다. 도요타는 “당시 확보한 주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을 개선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요타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0년대 전반에 상용화한다는 기존 계획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또한 차량과 배터리를 하나의 덩어리로 개발해 배터리 비용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도요타는 이날 대대적인 배터리 투자 계획도 발표했다.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도요타는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차에 장착하는 배터리 생산과 개발을 위해 2030년까지 1조5000억엔을 투자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요타와 파나소닉이 공동출자한 배터리 부문 자회사 프라임플래닛에너지&솔루션(PPES)은 일본 효고현과 중국 다롄 공장에서 생산 라인을 확충할 예정이다.
마에다 마사히코 도요타 최고기술경영자(CFO)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차량은 신재생에너지가 널리 이용되는 지역에서 중요하다”며 “도요타가 차량 라인업을 탄소 배출 저감 차량으로 준비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