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오일쇼크(석유파동)가 촉발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악몽이 다시 어른거리고 있다. 주요 산유국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원유값이 뛰어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침체 우려를 낮추는 동시에 물가를 잡아야 하는 세계 각국의 셈법이 복잡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970년대 세계는 두 차례의 오일쇼크를 겪었다. 제4차 중동전쟁이 발발한 1973년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을 돕는 나라를 대상으로 원유 수출을 중단했다. 이듬해 12월 유가는 전년 동기 대비 세 배 넘게 상승해 배럴당 11.5달러에 이르렀다. 1979년에는 이란혁명이 터지면서 원유 생산량이 급감했다. 1980년 4월 유가는 1년 전보다 두 배가량 뛰어올라 배럴당 39.5달러를 찍었다.

유가 상승세는 물가 전반으로 퍼졌다. 1976년 초 5%를 밑돌았던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1979년 11%까지 치솟았다. ‘인플레이션 파이터’로 유명한 폴 볼커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등장했을 때가 이 당시다. 지미 카터 미 대통령이 지명한 그는 경기 침체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도 급속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볼커는 취임 당시 연 11% 수준이었던 기준금리를 2년 만인 1981년 연 19%까지 끌어올렸다. 그 결과 물가 상승률은 4%대(1982년 말)로 내려갔다. 유럽 국가들도 단계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해 1980년대 물가 안정화에 성공했다.

오일쇼크와 닮은꼴인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지면서 기준금리 인상을 둘러싼 각국 중앙은행의 고민이 깊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높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기존 계획대로 기준금리를 높여야 하지만 섣부르게 나섰다가는 경기 침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2차 오일쇼크 당시 미국이 초고금리 정책을 펼쳤을 때도 단기적으로는 실업률이 높아지는 부작용을 겪었다. 가디언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고 있지만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예고된 기준금리 인상이 연기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고 전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