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유가에 지지율 미끌…다급한 바이든, 사우디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휘발유값 갤런당 5弗 첫 돌파
원유 공급 확대 요구하는 대신
'카슈크지 사건' 눈감아 줄수도
원유 공급 확대 요구하는 대신
'카슈크지 사건' 눈감아 줄수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할 예정이다. 미국 휘발유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갤런당 5달러를 넘어서자 원유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사우디와의 관계 회복에 나서는 것이란 분석이다.
12일(현지시간) 악시오스 등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달 14~15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이어 사우디를 방문할 계획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 대통령이 처음으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만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바레인 이집트 요르단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 등의 지도자와도 잇달아 만난다.
이는 오는 11월 치러질 중간선거를 염두에 둔 행보로 풀이된다. 지난 11일 미국 휘발유 가격은 사상 최초로 갤런(약 3.8L)당 5달러를 넘어섰다. 유가 상승은 전방위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인플레이션과 경제 문제 탓에 바이든의 지지율은 추락하고 있다.
사우디는 1940년대부터 미국의 오랜 우방이었다. 2018년 사우디의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크지 피살 사건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악화했다. 빈 살만 왕세자가 암살 배후로 지목되자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사우디를 (국제사회의) 왕따로 만들겠다”고 했다. 지난해 2월엔 사우디로의 미국 무기 수출을 금지했다.
최근 유가가 치솟자 바이든 대통령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수차례 원유 증산을 요구했다. 사우디는 호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러시아가 참여한 OPEC+ 합의를 고수했다. 빈 살만 왕세자 입장에선 러시아에 마음이 기울 수밖에 없다. 카슈크지 피살 사건 직후 2018년 12월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서방국가 정상들은 왕세자를 외면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만이 그에게 악수를 청하고 대화를 나눴다. 빈 살만 왕세자는 올 들어 푸틴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과 잇달아 통화하며 러·중과 가까운 행보를 보였다.
바이든의 사우디 방문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 내에선 휘발유 가격 때문에 인권 문제가 퇴행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8~10일 치러진 미주 정상회의에선 독재를 이유로 남미 3국을 배제해놓고 사우디와 화해하는 것은 이율배반이란 지적도 나왔다. WSJ는 “인권을 중시해 온 바이든 대통령이 고유가 압박을 완화하려 사우디의 언론인 암살 사건을 덮으려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12일(현지시간) 악시오스 등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달 14~15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이어 사우디를 방문할 계획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 대통령이 처음으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만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바레인 이집트 요르단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 등의 지도자와도 잇달아 만난다.
이는 오는 11월 치러질 중간선거를 염두에 둔 행보로 풀이된다. 지난 11일 미국 휘발유 가격은 사상 최초로 갤런(약 3.8L)당 5달러를 넘어섰다. 유가 상승은 전방위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인플레이션과 경제 문제 탓에 바이든의 지지율은 추락하고 있다.
사우디는 1940년대부터 미국의 오랜 우방이었다. 2018년 사우디의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크지 피살 사건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악화했다. 빈 살만 왕세자가 암살 배후로 지목되자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사우디를 (국제사회의) 왕따로 만들겠다”고 했다. 지난해 2월엔 사우디로의 미국 무기 수출을 금지했다.
최근 유가가 치솟자 바이든 대통령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수차례 원유 증산을 요구했다. 사우디는 호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러시아가 참여한 OPEC+ 합의를 고수했다. 빈 살만 왕세자 입장에선 러시아에 마음이 기울 수밖에 없다. 카슈크지 피살 사건 직후 2018년 12월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서방국가 정상들은 왕세자를 외면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만이 그에게 악수를 청하고 대화를 나눴다. 빈 살만 왕세자는 올 들어 푸틴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과 잇달아 통화하며 러·중과 가까운 행보를 보였다.
바이든의 사우디 방문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 내에선 휘발유 가격 때문에 인권 문제가 퇴행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8~10일 치러진 미주 정상회의에선 독재를 이유로 남미 3국을 배제해놓고 사우디와 화해하는 것은 이율배반이란 지적도 나왔다. WSJ는 “인권을 중시해 온 바이든 대통령이 고유가 압박을 완화하려 사우디의 언론인 암살 사건을 덮으려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