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토론토대학교
​​​​​​​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토론토대학교 ​​​​​​​
2012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연구실에서 교수와 학생 두 명이 실험을 하고 있다. 꽃, 강아지, 자동차 등 수천 장의 사진을 컴퓨터가 스스로 구별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의 시초인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work)' 기술이 탄생한 순간이다.

그로부터 11년 뒤. 이 연구를 이끈 제프리 힌턴 교수(75)는 "일생을 후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10년 넘게 몸담았던 구글에는 지난달 사직서를 냈다. 힌턴 교수는 AI로 인한 부정확한 오류의 범람, 일자리 상실 등의 위험을 언급하며 "내가 하지 않았으면 다른 누군가가 했을 것"이란 말로 스스로를 위로했다.

힌턴 교수는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AI 기술이 머지않아 고용 시장을 뒤흔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AI는 힘들고 단조로운 일을 없애줄 수 있다"라며 "그보다 더한 것을 앗아갈 수 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 외에도 거짓 사진과 동영상, 텍스트로 인한 '탈진실' 현상, 킬러 로봇 등을 AI의 부작용으로 꼽았다.

힌턴 교수는 AI의 개발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로봇이 실제로 사람보다 더 똑똑해질 수 있었다고 믿은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나도 그랬다"라며 "30년에서 50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더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힌턴 교수는 지난해 구글과 오픈AI가 개발한 인공지능이 이전보다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는 걸 보면서 생각이 바뀌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떤 면에서는 AI가 인간의 뇌보다 훨씬 더 나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힌턴 교수는 구글이 지난해까지 인류에 해로운 기술은 공개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적절한 관리자'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마이크로소프트 등 AI 후발주자 등이 뛰어들면서 이러한 질서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힌턴 교수는 "기술 거인들이 멈출 수 없는 경쟁에 갇혀버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들이 AI를 제어할 수 있을지 파악하기 전까지 개발을 더욱 확장시켜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제프리 힌턴 교수(오른쪽부터)가 2012년 함께 인공신경망 기술을 개발한 제자인 알렉스 크리세프스키, 일리야 수츠케버와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연구실에서 찍은 사진. 토론토대
제프리 힌턴 교수(오른쪽부터)가 2012년 함께 인공신경망 기술을 개발한 제자인 알렉스 크리세프스키, 일리야 수츠케버와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연구실에서 찍은 사진. 토론토대
힌턴 교수는 1972년 에든버러대학교 대학원생 시절부터 신경망을 연구해왔다. 1980년 카네기멜론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나 국방부로부터 연구비를 받기 꺼리며 토론토대학교로 적을 옮겼다. 2012년 대학원생 일리야 수츠케버와 알렉스 크리셰프스키와 인공신경망 기술을 개발했고, 이후 설립한 DNN리서치 주식회사가 2013년 구글에 인수됐다. 힌턴 교수는 구글 부사장으로 영입됐다. 2018년 컴퓨터공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튜링 상'을 받았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