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이 경기 둔화에 대응해 소비 효과가 큰 자동차와 전자제품 구매 진작 정책을 내놨다.

중국의 거시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21일 '자동차 소비 촉진에 관한 조치'와 '전자제품 소비 촉진에 관한 조치'를 잇따라 발표했다. '제로 코로나' 해제 이후에도 부진한 고가 소비재 구매를 활성화해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자동차 소비 정책은 노후 차량 교환을 지원하고 전기차 등 신에너지 충전소 같은 관련 시설을 확대하며 신용대출을 늘리는 내용 등 10개 조치로 구성됐다. 노후 차량 보상판매를 통해 조기 폐차를 적극 유도하고 중고차 시장 육성을 가속해 거래와 등록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공공 부문에는 신에너지차 차량 구매를 높일 것을, 자동차 기업에는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모델을 개발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하라고 주문했다. 발개위는 "자동차 소비 촉진은 중국의 소비를 안정시키고 산업망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개위와 공업정보화부 등 7개 부서가 마련한 전자제품 소비 정책은 기술 혁신으로 소비자가 사고 싶은 제품을 만들고, 에너지 소모가 큰 낡은 제품을 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하도록 유도한다는 게 골자다. 각 지방정부에 농촌 지역을 담당하는 친환경 전자제품 판매팀을 구성해 전시 판매 활동을 전개하고 낡은 제품을 교환할 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한편 판매 및 유통 시스템도 개선하라고 당부했다.

중국의 올 2분기 경제성장률은 작년 상하이 봉쇄 등으로 인한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망치(7%대 초반)보다 낮은 6.3%에 그쳤다. 특히 내수 경기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6월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이 3.1%로 5월의 12.7%에서 급락했다. 자동차 소비는 1.1% 감소했다.

중국은 미국과의 갈등이 깊어지자 내부에서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내수 소비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와 3년 간의 '제로 코로나' 여파로 소비 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이에 중국 상무부를 비롯한 경제부처 13곳은 지난 18일 가계 소비 진작 11개 정책을 발표했다. 이어 19일에는 공산당과 국무원(행정부)이 민간경제 활성화 종합 지침을 내놓기도 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