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강등' 美정크론, 3년 만에 최대치…커지는 '적신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럽서도 "기업하기 어렵다"
'경기동향 바로미터' PMI, 8개월만에 최저
'경기동향 바로미터' PMI, 8개월만에 최저
신용등급이 강등된 미국 정크론 규모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 이후 3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변동금리를 채택한 정크론을 발행한 부실 기업들의 차입비용이 급상승함에 따라 미국 경기에 본격적으로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JP모간은 24일(현지시간) "올해 2분기(4~6월)에만 미국 정크론의 신용등급 강등 건수가 120건에 달했다"며 "금액 기준으로는 3년 만에 가장 많은 1360억달러 규모"라고 밝혔다. 정크(junk)본드는 '쓰레기'라는 단어 뜻 그대로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부도 위험이 큰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다.
투기등급 이하 기업들이 자산을 담보로 일으킨 대출상품인 레버리지론(정크론) 등도 정크본드의 일종으로 묶이지만, 정크론은 통상 변동금리를 따른다는 점에서 둘은 차이가 있다.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중앙은행(Fed)의 고강도 긴축(금리 인상)으로 인해 시중 금리도 오르면서 정크론 채무를 지닌 부실 기업들의 빚 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몇 주 동안 신용등급이 강등된 미국 기업으로는 아스펜 덴탈 매니지먼트, 메드데이터, 콘플루언스 테크놀로지스 등이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조4000억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정크론 시장이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고 전했다.
정크론의 신용등급이 급격히 강등되는 것은 최근 몇 년간 해당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데 따른 반작용이라는 분석이다. 사모펀드 운용사 등은 코로나19 당시 초저금리 특수를 누리며 정크론 투자를 대폭 늘렸다. 하지만 긴축 이후 역풍을 맞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TCW의 신용연구책임자 스티브 퍼디는 "정크론을 발행한 기업은 금리가 변동하는 즉시 전체 자본 구조와 부채 규모 등에 즉각적인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신용등급 강등은 부실 기업들이 차환 등을 위해 새로운 채권을 발행하려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출 기관으로선 채무불이행 위험을 보상하기 위해 더 큰 프리미엄을 요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마저 정크론을 외면하게 만들어 더 가파른 붕괴를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CLO는 정크론을 모아 위험 범주에 따라 분류한 후 투자자들에게 트랜치 형태로 판매하는 파생상품이다.
FT는 "정크론 시장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것은 고정금리로 인해 부실 기업들이 금리 상승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벌고 있는 정크본드 등 하이일드 채권 시장의 상대적 안정세와는 대조적"이라고 전했다. 신규 발행이 줄어드는 등 정크본드 시장의 규모 자체가 축소되고 있는 데다, 정크본드 발행 기업의 신용등급 상향 조정 사례가 잇따르는 것도 정크본드 가격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크론 시장과 정크본드 시장의 확연한 차이는 부도율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6월 30일 기준 정크론 부도율이 4%로 전월인 5월(3.7%)과, 전년 동월(1.4%)에서 모두 대폭 늘었다"고 밝혔다. 이에 비해 정크본드의 채무불이행률은 5월의 1.4%에서 6월에는 1.7%로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FT는 "추가적인 신용등급 강등과 디폴트의 가능성은 Fed의 정책 대응에 달려 있다"며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과 고용 데이터의 완화 등에 따라 (Fed가 정책을 전환할 것이란 기대감에) 경기 둔화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유럽의 7월 HCOB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9로 8개월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PMI는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50을 밑돌 경우 경기 축소를 의미한다. 유럽 기업들이 역내 경제가 이르면 올해 하반기에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는 의미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JP모간은 24일(현지시간) "올해 2분기(4~6월)에만 미국 정크론의 신용등급 강등 건수가 120건에 달했다"며 "금액 기준으로는 3년 만에 가장 많은 1360억달러 규모"라고 밝혔다. 정크(junk)본드는 '쓰레기'라는 단어 뜻 그대로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부도 위험이 큰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다.
투기등급 이하 기업들이 자산을 담보로 일으킨 대출상품인 레버리지론(정크론) 등도 정크본드의 일종으로 묶이지만, 정크론은 통상 변동금리를 따른다는 점에서 둘은 차이가 있다.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중앙은행(Fed)의 고강도 긴축(금리 인상)으로 인해 시중 금리도 오르면서 정크론 채무를 지닌 부실 기업들의 빚 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몇 주 동안 신용등급이 강등된 미국 기업으로는 아스펜 덴탈 매니지먼트, 메드데이터, 콘플루언스 테크놀로지스 등이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조4000억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정크론 시장이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고 전했다.
정크론의 신용등급이 급격히 강등되는 것은 최근 몇 년간 해당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데 따른 반작용이라는 분석이다. 사모펀드 운용사 등은 코로나19 당시 초저금리 특수를 누리며 정크론 투자를 대폭 늘렸다. 하지만 긴축 이후 역풍을 맞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TCW의 신용연구책임자 스티브 퍼디는 "정크론을 발행한 기업은 금리가 변동하는 즉시 전체 자본 구조와 부채 규모 등에 즉각적인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신용등급 강등은 부실 기업들이 차환 등을 위해 새로운 채권을 발행하려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출 기관으로선 채무불이행 위험을 보상하기 위해 더 큰 프리미엄을 요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마저 정크론을 외면하게 만들어 더 가파른 붕괴를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CLO는 정크론을 모아 위험 범주에 따라 분류한 후 투자자들에게 트랜치 형태로 판매하는 파생상품이다.
FT는 "정크론 시장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것은 고정금리로 인해 부실 기업들이 금리 상승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벌고 있는 정크본드 등 하이일드 채권 시장의 상대적 안정세와는 대조적"이라고 전했다. 신규 발행이 줄어드는 등 정크본드 시장의 규모 자체가 축소되고 있는 데다, 정크본드 발행 기업의 신용등급 상향 조정 사례가 잇따르는 것도 정크본드 가격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크론 시장과 정크본드 시장의 확연한 차이는 부도율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6월 30일 기준 정크론 부도율이 4%로 전월인 5월(3.7%)과, 전년 동월(1.4%)에서 모두 대폭 늘었다"고 밝혔다. 이에 비해 정크본드의 채무불이행률은 5월의 1.4%에서 6월에는 1.7%로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FT는 "추가적인 신용등급 강등과 디폴트의 가능성은 Fed의 정책 대응에 달려 있다"며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과 고용 데이터의 완화 등에 따라 (Fed가 정책을 전환할 것이란 기대감에) 경기 둔화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유럽의 7월 HCOB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9로 8개월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PMI는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50을 밑돌 경우 경기 축소를 의미한다. 유럽 기업들이 역내 경제가 이르면 올해 하반기에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는 의미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