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려주지 않겠다" 이재용 선언…준법감시위 존재감 각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 초 출범 당시 '이재용 재판 감형용' 비판도
반신반의에도 이재용 대국민 사과 이끌어냈다
반신반의에도 이재용 대국민 사과 이끌어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이 6일 자녀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재벌 상속을 포기한다는 선언이어서 주목된다. 올해 초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출범한 지 4개월 만에 경영권 승계에 대한 전향적 변화를 이끌어낸 것이다.
이 부회장은 이날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사과를 통해 “저와 삼성을 둘러싸고 제기된 많은 논란은 근본적으로 승계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제는 경영권 승계 문제로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분명히 약속드린다”면서 “제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 대해 “삼성전자는 기업 규모로 보나 IT(정보기술)업의 특성으로 보나 전문성과 통찰력을 갖춘 최고 수준 경영만이 생존을 담보할 수 있다. 제가 갖고 있는 절박한 위기의식”이라고 설명했다.
노사 문제와 관련해서도 “더 이상 삼성에서 무노조 경영이란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 노동 3권을 확실히 보장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준법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가치”라며 “저와 관련한 재판이 끝나더라도 삼성 준법감시위는 독립적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는 삼성 준법감시위 권고에 따른 것이다. 삼성은 당초 지난달 △경영권 승계 △노조 △시민사회 소통 관련 반성 및 사과를 요구하는 준법감시위 권고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려 했지만,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발 경영환경 위기 등을 이유로 기한을 한 달가량 미뤄 이날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올해 1월 출범한 준법감시위는 삼성이 자체적으로 만든 태생적 한계 탓에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반신반의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경영권 승계 의혹 관련 재판에서의 이 부회장 감형을 위한 ‘면피용’일 뿐이란 시각도 상당수였다.
하지만 김지형 준법감시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삼성의 경영권 승계, 노조 문제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며 각을 세웠다. 삼성의 ‘가장 아픈 곳’도 건드리겠다는 것이었다. 그는 당시 위원장 수락 조건으로 자율성과 독립성을 전적으로 보장해달라고 요구, 이 부회장이 수용했다는 에피소드를 밝히기도 했다.
이날 이 부회장이 원론적 수준 사과를 넘어 자녀의 경영권 승계 포기까지 언급하면서 준법감시위 출범 4개월 만에 뚜렷한 존재감을 입증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사진=최혁 한경닷컴 기자 chokob@hankyung.com
영상=조상현 한경닷컴 기자 doyttt@hankyung.com
이 부회장은 이날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사과를 통해 “저와 삼성을 둘러싸고 제기된 많은 논란은 근본적으로 승계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제는 경영권 승계 문제로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분명히 약속드린다”면서 “제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 대해 “삼성전자는 기업 규모로 보나 IT(정보기술)업의 특성으로 보나 전문성과 통찰력을 갖춘 최고 수준 경영만이 생존을 담보할 수 있다. 제가 갖고 있는 절박한 위기의식”이라고 설명했다.
노사 문제와 관련해서도 “더 이상 삼성에서 무노조 경영이란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 노동 3권을 확실히 보장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준법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가치”라며 “저와 관련한 재판이 끝나더라도 삼성 준법감시위는 독립적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는 삼성 준법감시위 권고에 따른 것이다. 삼성은 당초 지난달 △경영권 승계 △노조 △시민사회 소통 관련 반성 및 사과를 요구하는 준법감시위 권고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려 했지만,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발 경영환경 위기 등을 이유로 기한을 한 달가량 미뤄 이날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올해 1월 출범한 준법감시위는 삼성이 자체적으로 만든 태생적 한계 탓에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반신반의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경영권 승계 의혹 관련 재판에서의 이 부회장 감형을 위한 ‘면피용’일 뿐이란 시각도 상당수였다.
하지만 김지형 준법감시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삼성의 경영권 승계, 노조 문제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며 각을 세웠다. 삼성의 ‘가장 아픈 곳’도 건드리겠다는 것이었다. 그는 당시 위원장 수락 조건으로 자율성과 독립성을 전적으로 보장해달라고 요구, 이 부회장이 수용했다는 에피소드를 밝히기도 했다.
이날 이 부회장이 원론적 수준 사과를 넘어 자녀의 경영권 승계 포기까지 언급하면서 준법감시위 출범 4개월 만에 뚜렷한 존재감을 입증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사진=최혁 한경닷컴 기자 chokob@hankyung.com
영상=조상현 한경닷컴 기자 doyt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