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신분증' 시장 주도권 경쟁 불 붙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K텔레콤 vs 라온시큐어 vs 아이콘루프
올해부터 신분증 스마트폰 속으로
블록체인 기반…해킹 우려 적어
올해부터 신분증 스마트폰 속으로
블록체인 기반…해킹 우려 적어
플라스틱 카드 형태 신분증 대신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로 신분을 증명하는 ‘모바일 신분증’ 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 특히 공인인증서의 우월한 법적 효력을 폐지하는 전자서명법 개정안 통과를 계기로 모바일 신분증 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탈중앙화 신원증명(DID)’ 서비스를 통해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이르면 올해부터 플라스틱 카드로만 발급하던 공무원증과 도민증을 디지털로 발급한다. 정보기술(IT) 기업, 보안 기업, 금융회사들은 합종연횡을 통해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플라스틱 카드 디지털로 대체
DID는 스마트폰 등 개인 기기에 신원정보를 분산해 관리하는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이다. 투명성, 탈중앙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했다. DID는 각자의 정보를 제3의 기관이나 기업에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가 인증이 필요할 때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를 필요한 것만 골라서 제출하면 블록체인 시스템이 이를 검증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를 주로 노리는 해커의 공격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 개인이 자신의 정보 통제권을 가지는 셈이다.
이런 이점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들은 플라스틱 카드 신분증을 대체하는 모바일 신분증 도입에 DID를 활용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말까지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일 우선사업대상자로 IT 기업 아이티센·삼성SDS컨소시엄을 선정했다. 내년부터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각자의 스마트폰에 모바일 공무원증을 발급받아 정부청사를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 신분증은 오프라인 공간뿐만 아니라 온라인 출입 통제에서도 활용된다. 공무원이 DID 인증을 통해 내부 업무시스템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보안 기업 라온시큐어와 IT 기업 애드뱅크는 경상남도 DID 기반 모바일 도민카드 서비스를 이르면 올해 12월 상용화한다. 행안부는 내년에 장애인등록증 등 복지카드, 2022년에는 운전면허증으로 모바일 신분증 발급 범위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금융, 숙박에도 활용
금융 거래에 모바일 신분증을 도입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공인인증서를 대체하는 신원인증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신한은행과 기업은행 등은 자사 앱에서 DID 인증서를 발급할 예정이다. 숙박 예약 플랫폼을 운영하는 야놀자는 블록체인 기술기업 람다256과 협력해 DID로 숙박시설 체크인 절차를 개선할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DID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은행, IT 기업, 보안 기업, 블록체인 기술 기업들이 연합체를 꾸려 서비스 생태계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라온시큐어를 주축으로 하는 ‘DID얼라이언스’, 아이콘루프가 주도하는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SK텔레콤 등 통신 3사를 주축으로 하는 ‘이니셜 DID 연합’이 대표적이다.
한 기업이 여러 연합에 가입한 경우도 많다. 블록체인 서비스 ‘넥스레저’를 내놓은 삼성SDS는 DID얼라이언스와 이니셜 DID 연합에 가입돼 있다. 최근에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개발자회사 그라운드X와의 협력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 CNS는 최근 캐나다의 DID 기술 전문기업 에버님과 손잡고 글로벌 표준 공략에 나섰다.
블록체인 업계는 최근 DID 서비스가 조명받는 분위기에 반색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가상화폐 투기 열풍으로 관심을 끌었지만 이를 통한 상용화된 서비스는 많지 않았다. 모바일 신분증이 블록체인 기술 대중화의 첫발을 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DID는 스마트폰 등 개인 기기에 신원정보를 분산해 관리하는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이다. 투명성, 탈중앙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했다. DID는 각자의 정보를 제3의 기관이나 기업에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가 인증이 필요할 때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를 필요한 것만 골라서 제출하면 블록체인 시스템이 이를 검증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를 주로 노리는 해커의 공격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 개인이 자신의 정보 통제권을 가지는 셈이다.
이런 이점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들은 플라스틱 카드 신분증을 대체하는 모바일 신분증 도입에 DID를 활용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말까지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일 우선사업대상자로 IT 기업 아이티센·삼성SDS컨소시엄을 선정했다. 내년부터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각자의 스마트폰에 모바일 공무원증을 발급받아 정부청사를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 신분증은 오프라인 공간뿐만 아니라 온라인 출입 통제에서도 활용된다. 공무원이 DID 인증을 통해 내부 업무시스템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보안 기업 라온시큐어와 IT 기업 애드뱅크는 경상남도 DID 기반 모바일 도민카드 서비스를 이르면 올해 12월 상용화한다. 행안부는 내년에 장애인등록증 등 복지카드, 2022년에는 운전면허증으로 모바일 신분증 발급 범위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금융, 숙박에도 활용
금융 거래에 모바일 신분증을 도입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공인인증서를 대체하는 신원인증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신한은행과 기업은행 등은 자사 앱에서 DID 인증서를 발급할 예정이다. 숙박 예약 플랫폼을 운영하는 야놀자는 블록체인 기술기업 람다256과 협력해 DID로 숙박시설 체크인 절차를 개선할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DID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은행, IT 기업, 보안 기업, 블록체인 기술 기업들이 연합체를 꾸려 서비스 생태계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라온시큐어를 주축으로 하는 ‘DID얼라이언스’, 아이콘루프가 주도하는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SK텔레콤 등 통신 3사를 주축으로 하는 ‘이니셜 DID 연합’이 대표적이다.
한 기업이 여러 연합에 가입한 경우도 많다. 블록체인 서비스 ‘넥스레저’를 내놓은 삼성SDS는 DID얼라이언스와 이니셜 DID 연합에 가입돼 있다. 최근에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개발자회사 그라운드X와의 협력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 CNS는 최근 캐나다의 DID 기술 전문기업 에버님과 손잡고 글로벌 표준 공략에 나섰다.
블록체인 업계는 최근 DID 서비스가 조명받는 분위기에 반색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가상화폐 투기 열풍으로 관심을 끌었지만 이를 통한 상용화된 서비스는 많지 않았다. 모바일 신분증이 블록체인 기술 대중화의 첫발을 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