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넘어 6G 대비…기술개발·국제 표준 선점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해외 연구기관과 기술동향 공유
정부가 2028년 상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6G(세대) 통신 시대에 대비해 기술 개발과 표준 선점을 준비한다.
정부는 6일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조성 등 3개 전략 8개 과제를 제시했다.
2021년부터 5년간 약 2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6G는 1Tbps(테라비트)급 전송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저궤도 위성 통신을 통해 공중 10㎞까지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6G 서비스가 상용화하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의 융합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지난해 4월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상용화했지만, 핵심 부품 대부분이 외국산이고 5G 기반 융합서비스(B2B) 성적은 저조하다.
이에 정부는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6G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선도 연구기관들과 기술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특허청 등 국내외 표준화 기구와 협력해 표준 특허를 확보한다.
표준 전문조직을 육성하고 국내에 국제 표준화 회의를 유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내 기술로 6G 핵심부품과 장비를 만들기 위해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6G가 상용화하는 시점에는 유망 중소기업에 바우처를 활용한 R&D를 지원한다.
6G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R&D 참여 대학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등을 제공한다.
이 밖에 정부는 민관이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꾸려 전문가들과 6G 사업 목표와 추진현황, 국제 표준화 동향 등을 논의한다.
/연합뉴스
정부가 2028년 상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6G(세대) 통신 시대에 대비해 기술 개발과 표준 선점을 준비한다.
정부는 6일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조성 등 3개 전략 8개 과제를 제시했다.
2021년부터 5년간 약 2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6G는 1Tbps(테라비트)급 전송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저궤도 위성 통신을 통해 공중 10㎞까지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6G 서비스가 상용화하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의 융합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지난해 4월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상용화했지만, 핵심 부품 대부분이 외국산이고 5G 기반 융합서비스(B2B) 성적은 저조하다.
이에 정부는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6G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선도 연구기관들과 기술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특허청 등 국내외 표준화 기구와 협력해 표준 특허를 확보한다.
표준 전문조직을 육성하고 국내에 국제 표준화 회의를 유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내 기술로 6G 핵심부품과 장비를 만들기 위해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6G가 상용화하는 시점에는 유망 중소기업에 바우처를 활용한 R&D를 지원한다.
6G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R&D 참여 대학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등을 제공한다.
이 밖에 정부는 민관이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꾸려 전문가들과 6G 사업 목표와 추진현황, 국제 표준화 동향 등을 논의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