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급제 돌풍에 속수무책…'휴대폰 매장' 절반, 3년 못 버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로 손님 끊겼던 오프라인 매장
하반기 스마트폰 신제품 잇따라 출시됐지만
"온라인·자급제 활황으로 기대치 못 미쳐"
하반기 스마트폰 신제품 잇따라 출시됐지만
"온라인·자급제 활황으로 기대치 못 미쳐"
동네 휴대폰 대리점이 울상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스마트폰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는 데다, 자급제폰에 대한 수요까지 증가하고 있어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오프라인 휴대폰 대리점과 유통점 종사자는 5만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전 역대 최정점(20만명)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휴대폰 골목 상권의 생존율도 낮아지고 있다.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분석에 따르면 서울 시내 휴대전화 매장의 3년 생존율(2분기 기준)은 2018년 54.1%에서 지난해 53%, 올해 52.1%로 계속 줄고 있다. 개점한 지 3년 안에 매장 2곳 중 1곳은 문을 닫는다는 얘기다.
올 하반기 들어 삼성전자와 LG전자, 애플 등 제조업체가 앞다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신제품을 출시했지만 오프라인 매장에선 당초 기대보다 실제로 매장을 찾는 손님은 적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한 휴대폰 대리점 관계자는 "올해는 전반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손님이 줄었다"며 "최근 새로운 스마트폰 여럿이 출시됐지만 평소보다 유의미하게 손님이 늘었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오프라인 매장의 판매가 저조한 것과 달리 온라인을 통한 스마트폰 판매는 늘고 있다. 한 이커머스 관계자는 "스마트폰 구매 횟수는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동통신 3사의 공식 온라인몰 구매 건수 역시 전년 대비 최대 2배가량 증가했다.
특히 자급제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다. 코로나19 여파와 단통법 등의 이유로 이통 3사가 최근 출시되는 신제품에 '짠물' 공시지원금을 뿌리는 가운데 개인이 통신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구매하는 자급제 모델 판매 비율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18년 383만3000대 수준으로 추정된 자급제폰 비중은 올 7월엔 584만9000여대로 증가했다. 국내 이동통신가입자 중 자급제폰 사용자 비중이 10%에 육박한 것이다. 쿠팡에서 판매된 자급제 단말기 수는 2018년 5000여대에서 2019년 8만대 수준으로 약 1600% 증가하기도 했다.
이통사를 통해 5세대 통신(5G) 스마트폰을 개통할 경우, 5G 요금제 가입이 강제되지만, 자급제 모델을 구매할 경우 5G 폰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4G 롱텀에볼루션(LTE)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전체 알뜰폰 가입자도 늘고 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의하면 지난달 이통 3사에서 알뜰폰으로 넘어온 순증 가입자 수는 1만3039명이다. 5개월 연속(6월 5138명, 7월 6967명, 8월 9909명, 9월 1만2433명, 10월 1만3039명) 증가세다. 이같은 추세에 맞춰 쿠팡 11번가 위메프 등 이커머스 업체는 소비자 혜택을 강화하며 자급제폰 판매량을 늘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실제 일부 이커머스 업체는 애플이 지난달 30일 사전판매를 진행한 아이폰12와 아이폰12 프로에 최대 18% 카드 할인과 24개월 무이자 할부, 새벽 배송을 내걸기도 했다.
이처럼 이커머스 업체의 혜택 강화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의 입지가 위축되자, 한국이동통신판매점협회는 최근 "쿠팡은 대기업의 힘을 중소상인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데 쓰지 말라"며 "정부와 통신사의 골목상권 영세 판매점의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긴급 입장문을 내기도 했다.
최근 국정감사에선 스마트폰 등 단말기 판매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을 분리하는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도 논의된 바 있다. 완전자급제가 시행되면 통신사는 오프라인 판매점에 판매점의 사실상 유일한 수익원인 판매장려금을 지원하지 않아도 된다.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완전자급제를 통해 경쟁시장 투명화를 이끌어야, 이용자 효용이 커질 수 있다"고 완전자급제 도입 이유를 설명했지만, 업계 관계자는 "완전자급제 도입은 오프라인 매장은 사실상 문을 닫으라는 얘기"라고 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
16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오프라인 휴대폰 대리점과 유통점 종사자는 5만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전 역대 최정점(20만명)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휴대폰 골목 상권의 생존율도 낮아지고 있다.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분석에 따르면 서울 시내 휴대전화 매장의 3년 생존율(2분기 기준)은 2018년 54.1%에서 지난해 53%, 올해 52.1%로 계속 줄고 있다. 개점한 지 3년 안에 매장 2곳 중 1곳은 문을 닫는다는 얘기다.
올 하반기 들어 삼성전자와 LG전자, 애플 등 제조업체가 앞다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신제품을 출시했지만 오프라인 매장에선 당초 기대보다 실제로 매장을 찾는 손님은 적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한 휴대폰 대리점 관계자는 "올해는 전반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손님이 줄었다"며 "최근 새로운 스마트폰 여럿이 출시됐지만 평소보다 유의미하게 손님이 늘었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오프라인 매장의 판매가 저조한 것과 달리 온라인을 통한 스마트폰 판매는 늘고 있다. 한 이커머스 관계자는 "스마트폰 구매 횟수는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동통신 3사의 공식 온라인몰 구매 건수 역시 전년 대비 최대 2배가량 증가했다.
특히 자급제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다. 코로나19 여파와 단통법 등의 이유로 이통 3사가 최근 출시되는 신제품에 '짠물' 공시지원금을 뿌리는 가운데 개인이 통신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구매하는 자급제 모델 판매 비율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18년 383만3000대 수준으로 추정된 자급제폰 비중은 올 7월엔 584만9000여대로 증가했다. 국내 이동통신가입자 중 자급제폰 사용자 비중이 10%에 육박한 것이다. 쿠팡에서 판매된 자급제 단말기 수는 2018년 5000여대에서 2019년 8만대 수준으로 약 1600% 증가하기도 했다.
이통사를 통해 5세대 통신(5G) 스마트폰을 개통할 경우, 5G 요금제 가입이 강제되지만, 자급제 모델을 구매할 경우 5G 폰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4G 롱텀에볼루션(LTE)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전체 알뜰폰 가입자도 늘고 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의하면 지난달 이통 3사에서 알뜰폰으로 넘어온 순증 가입자 수는 1만3039명이다. 5개월 연속(6월 5138명, 7월 6967명, 8월 9909명, 9월 1만2433명, 10월 1만3039명) 증가세다. 이같은 추세에 맞춰 쿠팡 11번가 위메프 등 이커머스 업체는 소비자 혜택을 강화하며 자급제폰 판매량을 늘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실제 일부 이커머스 업체는 애플이 지난달 30일 사전판매를 진행한 아이폰12와 아이폰12 프로에 최대 18% 카드 할인과 24개월 무이자 할부, 새벽 배송을 내걸기도 했다.
이처럼 이커머스 업체의 혜택 강화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의 입지가 위축되자, 한국이동통신판매점협회는 최근 "쿠팡은 대기업의 힘을 중소상인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데 쓰지 말라"며 "정부와 통신사의 골목상권 영세 판매점의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긴급 입장문을 내기도 했다.
최근 국정감사에선 스마트폰 등 단말기 판매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을 분리하는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도 논의된 바 있다. 완전자급제가 시행되면 통신사는 오프라인 판매점에 판매점의 사실상 유일한 수익원인 판매장려금을 지원하지 않아도 된다.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완전자급제를 통해 경쟁시장 투명화를 이끌어야, 이용자 효용이 커질 수 있다"고 완전자급제 도입 이유를 설명했지만, 업계 관계자는 "완전자급제 도입은 오프라인 매장은 사실상 문을 닫으라는 얘기"라고 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