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ttyimage
/ gettyimage
다국적 제약사 바이오젠과 에자이가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에 세계의 관심의 쏠리고 있다.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는 아직까지 치료제로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판매허가를 받은 약이 없다. 아두카누맙이 시판된다면 관련 거대 시장을 열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 1월 29일(현지시간) 바이오젠과 에자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아두카누맙의 생물학적제제 승인 신청(BLA) 심사기간을 3개월 연장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젠은 FDA의 추가 분석 및 임상 데이터 등의 정보제공 요청에 따라 관련 자료를 제출했다. FDA는 이 추가 자료를 검토하기 위해 심사기간을 연장키로 한 것이다. 심사종료 목표일은 오는 6월 7일이다.

이 같은 소식은 판매허가 기대감을 키웠다. FDA가 최종 허가를 위해 심사기간을 연장했다는 해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투자자문기업 에버코어 ISI는“FDA가 과거 자문위원회로부터 받은 압도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뒤집었을 때는 새롭고 의미 있는 데 이터를 받았다”고 했다. 이날 바이오젠의 주가는 5.5% 상승했다.

작년 11월 6일 FDA 말초중추신경계 약물자문위원회는 아두카누맙의 승인과 관련해 위원 11명 중 10 명이 반대를 권고했다. 이는 이틀 전인 11월 4일, FDA가 자문위 회의를 위해 발간한 자료에서 아두카누맙의 임상 3상(EMERGE) 결과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밝힌 것과는 다른 결과다.

자문위는 2 개의 임상 3상인 ENGAGE와 EMERGE가 상반된 결과를 보였으며, 유효성을 입 증한 EMERGE의 결과만으로 아두카누맙을 승인 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따라 FDA가 바이오젠에 추가 자료를 요청한 것이다.

FDA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분야별 자문위를 두고 이들의 권고를 최종 판매허가에 참고한다. 대부분 자문위의 권고를 따랐다. 그러나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권고를 뒤집은 경우가 적지 않다. 2008 년부터 2015년까지 자문위가 승인 반대를 권고한 사례는 110건이었다. 이 중 19%인 22건에서 FDA는 허가 결정을 내렸다.

아두카누맙은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로 개발된 단일클론 항체다.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의 올리고머에 결합해 응집체 형성을 방지하고, 증상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바이오젠은 지난해 7월 FDA에 아두카누맙의 BLA를 제출했다. 같은 해 8월 FDA는 아두카누맙을 우선심사품목으로 지정하며 심사를 시작했다. 아두카누맙이 오는 6월 신약 승인을 받으면 FDA에서 허가한 최초의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된다. 현재까지 FDA에서 허가된 알츠하이머 의약품은 6개다. 2003년 승인된 엘러간의 나멘다가 마지막 신약이며, 이들은 알츠하이머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다.

알츠하이머란?

알츠하이머는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치매의 약 70%가 알츠하이머에 의한 것이다. 매우 서서히 발병해 점진적으로 병이 진행된다. 초기에는 최근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고,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인지기능에 이상이 생긴다.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이유다. 다만 알츠하이머 사망자의 뇌 조직 검사를 통해 공통적인 특징을 관찰했다. 뇌 속에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모여 있고, 신경세포 안에 신경원 섬유들이 비정상적으로 꼬여있는 신경섬유매듭이 발견된다. 정상인에게서 수년 전부터 아밀로이드베타가 축적되고, 이후 타우 단백질도 쌓이면서 경도인지장애와 뇌 구조의 변형이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밀로이드베타의 축적이 알츠하이머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되면서 글로벌 제약사들의 초점도 아밀로이드베타에 맞춰졌다. 그러나 연이은 개발 실패로 아밀로이드베타 가설이 흔들리기도 됐다. MSD(베루베세스타트), 화이자·존슨앤드존슨(바피네주맙), 일라이릴리(솔라네주맙), 화이자(포네주맙), 로슈(크레네주맙) 등이 모두 손을 들었다. 이들 중 아밀로이드베타는 감소시켰지만 환자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아밀로이드베타 가설에 최근 힘을 실어주고 있는 곳이 바이오젠과 일라이릴리다. 바이오젠은 2019년 3월 EMERGE와 ENGAGE 연구에 대한 무용성 평가에 따라 두 임상을 모두 중단했다. 이후 8개월 뒤 결과 분석이 잘못됐다며 새로운 데이터를 공개했다. 바이오젠은 무용성 평가 분석은 고용량 아두카누맙을 투약받은 환자수가 적은 소규모 데이터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이오젠은 임상에 참여한 3285명의 환자 중 18개월 간 치료를 지속한 20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로 BLA를 제출했다.

릴리는 지난 1월 11일 N3pG를 표적으로 하는 도나네맙의 임상 2상에서 1차 평가변수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도나네맙은 N3pG를 표적해 아밀로이드베타 덩어리(플라크) 제거를 빠르게 유도했다. 그 결과 도나네맙 투여군은 치매 증상이 악화되는 속도가 위약군보다 32% 감소했다.
[글로벌 시장 분석] 아두카누맙, 알츠하이머 신(新)시장 개척하나
알츠하이머 치료제 시장, 14조 원 전망

알츠하이머 국제기구인 알츠하이머병 인터내셔널(ADI)이 2018년 작성한 세계 알츠하이머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500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 이에 따른 경제적 비용은 연간 1조 달러로 추산되고, 이 중 3분의 2가 알츠하이머다. ADI는 2050년에 치매 환자가 3배 이상인 1억5200만 명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증가하는 환자수에 따라 알츠하이머 의약품 시장도 성장이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인 글로벌데이터는 세계 주요 8개국(미국,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의 알츠하이머 시장이 2018년 22억300만 달러(약 2조4600억 원)에서 연평균 19.3% 성장해 2028년에는 128억9400만 달러(14조4000억 원)가 될 것으로 봤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이 기사는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1년 2월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