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한양대, 면역항암제 효과 높이는 신물질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천 교수와 한양대 생명공학과 윤채옥 교수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시너지를 내는 '암세포 사멸 유도체'를 개발해 동물 실험으로 효과를 확인했다고 27일 발표했다.
화학항암제(1세대)와 표적항암제(2세대)에 이은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는 몸 속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잘 인식하고 공격하게 하는 약물이다. 면역항암제의 일종인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세포 활성을 저해하는 '면역관문'을 차단해 면역세포 작용을 높이는 치료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11년 처음 승인한 뒤 사용돼왔다. 그러나 투여 환자집단의 10~40% 정도밖에 효과를 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면역관문억제제(anti-PD-L1)와 함께 사용하면 암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펩타이드(아미노산 복합체) 'FHP-1'을 개발했다. 이 펩타이드는 암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붕괴시켜 활성산소 농도를 높임으로써 암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김 교수는 "대장암과 폐암 세포 2종을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면역관문억제제만 투여했을 때보다 면역관문억제제와 FHP-1을 병용 투여했을 때 암세포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표지논문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
화학항암제(1세대)와 표적항암제(2세대)에 이은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는 몸 속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잘 인식하고 공격하게 하는 약물이다. 면역항암제의 일종인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세포 활성을 저해하는 '면역관문'을 차단해 면역세포 작용을 높이는 치료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11년 처음 승인한 뒤 사용돼왔다. 그러나 투여 환자집단의 10~40% 정도밖에 효과를 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면역관문억제제(anti-PD-L1)와 함께 사용하면 암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펩타이드(아미노산 복합체) 'FHP-1'을 개발했다. 이 펩타이드는 암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붕괴시켜 활성산소 농도를 높임으로써 암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김 교수는 "대장암과 폐암 세포 2종을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면역관문억제제만 투여했을 때보다 면역관문억제제와 FHP-1을 병용 투여했을 때 암세포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표지논문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