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에서 산업찾기] 완경 시기를 늦추는 유전자 발견, 불임 치료 시장 새 길 열릴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젊은 남녀의 결혼 시기, 출산 시기가 늦어지며 난자와 정자 동결 시술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차병원그룹에 따르면 차병원에서 미혼여성의 난자 동결보관 시술 건수는 2010년 14건에서 2019년 493건으로 10년간 35배가 늘었습니다. 시술을 받은 여성의 70%는 35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른 완경 일어나는 여성에서 공통적인 유전자 변이 발견
여성은 태어날 때 약 200만 개의 난자(난모세포)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2차 성징이 일어난 이후에는 40만여 개로 줄고, 한 달에 1개씩 건강한 난자가 배출되죠. 보관된 난모세포 중 손상된 DNA를 가진 경우는 체내에서 알아서 제거됩니다. 난모세포는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이 제거되는데요. 노화에 의해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고, 손상된 DNA가 더 많이 축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점점 난모세포의 곳간이 줄어들고 완전히 고갈되면 완경에 이르게 됩니다.
평균적으로는 47~52세 정도에 완경을 맞이하는데요. 약 4%의 여성은 40~45세 정도에 조금 이르게 완경을 하기도 하고, 평균을 훌쩍 넘은 나이에 이 일을 맞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차이는 유전과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서 비롯된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른 완경의 약 50%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나머지 절반은 어린 시절의 영양 부족이나 흡연, 과체중 등의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40~60세의 유럽 여성 20만 명의 완경 시기와 유전자를 모두 분석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4일 자에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이른 완경을 한 이들에게서 약 290개의 공통된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생식 수명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유전자의 5배에 해당하는 수입니다.
연구진은 이후 또 다른 30만 명의 여성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해 완경 시기를 결정하는 유전자 변이가 일치하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연구진은 그중 ‘CHEK’이라는 유전자에 주목했습니다. 이 유전자는 손상된 DNA를 가진 세포의 분열을 막고 사멸을 유도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입니다. 크게 CHEK1과 CHEK2로 나뉘는데요, CHEK1은 손상된 DNA를 복구해 세포를 살려내는 데 관여했으며, CHEK2는 손상된 DNA를 가진 난모세포를 제거하는 것과 연관돼 있었습니다. 분석 결과, CHEK2 유전자의 기능을 상실한 여성의 경우 평균 3.5년 정도 완경이 늦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진은 CHEK 유전자의 기능을 좀 더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해 쥐 동물모델에서 CHEK1 유전자를 더 넣어주거나, CHEK2 유전자를 아예 제거하는 두 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러자 CHEK1 유전자의 양이 늘어난 쥐와 CHEK2 유전자가 제거된 쥐 모두 난소에 난자가 좀 더 오래 남아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만큼 완경 시기가 늦춰진 것이죠. 또 난자의 방출을 유도하는 호르몬에도 더 강하게 반응하는 모습이 관찰됐습니다. 완경 늦춰 불임에 새로운 치료법 제시할까
불임 전문가인 쿠틀룩 옥타이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가 완경 시기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옥타이 교수는 “(CHEK1을 추가하는 것과 같이) DNA 복구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은 완경을 지연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CHEK2를 제거하는 것은 위험한 제안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CHEK2와 같은 유전자는 저장된 난모세포 중 DNA에 문제가 생긴 난모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런 유전자의 활성을 낮추거나 제거하는 경우 손상된 난모세포를 사전에 제거하는 일종의 ‘검문소’를 없애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또 한 가지 우려되는 사항은 유방암과 같이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으면 유방암 발생 확률도 함께 높아지는데요. 완경 시기가 늦춰지면 그만큼 에스트로겐이 활발히 분비되는 시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유방암 발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죠.
연구를 주도한 캐서린 루스 영국 엑서터대 교수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조기 완경을 진단할 수 있는 유전자 변이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완경을 늦추는 치료는 좀 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지원 기자
*이 기사는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1년 9월호에 실렸습니다.
차병원그룹에 따르면 차병원에서 미혼여성의 난자 동결보관 시술 건수는 2010년 14건에서 2019년 493건으로 10년간 35배가 늘었습니다. 시술을 받은 여성의 70%는 35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른 완경 일어나는 여성에서 공통적인 유전자 변이 발견
여성은 태어날 때 약 200만 개의 난자(난모세포)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2차 성징이 일어난 이후에는 40만여 개로 줄고, 한 달에 1개씩 건강한 난자가 배출되죠. 보관된 난모세포 중 손상된 DNA를 가진 경우는 체내에서 알아서 제거됩니다. 난모세포는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이 제거되는데요. 노화에 의해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고, 손상된 DNA가 더 많이 축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점점 난모세포의 곳간이 줄어들고 완전히 고갈되면 완경에 이르게 됩니다.
평균적으로는 47~52세 정도에 완경을 맞이하는데요. 약 4%의 여성은 40~45세 정도에 조금 이르게 완경을 하기도 하고, 평균을 훌쩍 넘은 나이에 이 일을 맞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차이는 유전과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서 비롯된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른 완경의 약 50%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나머지 절반은 어린 시절의 영양 부족이나 흡연, 과체중 등의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40~60세의 유럽 여성 20만 명의 완경 시기와 유전자를 모두 분석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4일 자에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이른 완경을 한 이들에게서 약 290개의 공통된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생식 수명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유전자의 5배에 해당하는 수입니다.
연구진은 이후 또 다른 30만 명의 여성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해 완경 시기를 결정하는 유전자 변이가 일치하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연구진은 그중 ‘CHEK’이라는 유전자에 주목했습니다. 이 유전자는 손상된 DNA를 가진 세포의 분열을 막고 사멸을 유도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입니다. 크게 CHEK1과 CHEK2로 나뉘는데요, CHEK1은 손상된 DNA를 복구해 세포를 살려내는 데 관여했으며, CHEK2는 손상된 DNA를 가진 난모세포를 제거하는 것과 연관돼 있었습니다. 분석 결과, CHEK2 유전자의 기능을 상실한 여성의 경우 평균 3.5년 정도 완경이 늦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진은 CHEK 유전자의 기능을 좀 더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해 쥐 동물모델에서 CHEK1 유전자를 더 넣어주거나, CHEK2 유전자를 아예 제거하는 두 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러자 CHEK1 유전자의 양이 늘어난 쥐와 CHEK2 유전자가 제거된 쥐 모두 난소에 난자가 좀 더 오래 남아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만큼 완경 시기가 늦춰진 것이죠. 또 난자의 방출을 유도하는 호르몬에도 더 강하게 반응하는 모습이 관찰됐습니다. 완경 늦춰 불임에 새로운 치료법 제시할까
불임 전문가인 쿠틀룩 옥타이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가 완경 시기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옥타이 교수는 “(CHEK1을 추가하는 것과 같이) DNA 복구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은 완경을 지연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CHEK2를 제거하는 것은 위험한 제안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CHEK2와 같은 유전자는 저장된 난모세포 중 DNA에 문제가 생긴 난모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런 유전자의 활성을 낮추거나 제거하는 경우 손상된 난모세포를 사전에 제거하는 일종의 ‘검문소’를 없애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또 한 가지 우려되는 사항은 유방암과 같이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으면 유방암 발생 확률도 함께 높아지는데요. 완경 시기가 늦춰지면 그만큼 에스트로겐이 활발히 분비되는 시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유방암 발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죠.
연구를 주도한 캐서린 루스 영국 엑서터대 교수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조기 완경을 진단할 수 있는 유전자 변이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완경을 늦추는 치료는 좀 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지원 기자
*이 기사는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1년 9월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