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에어택시’ 실증 성공…"UAM 시장 공략 파란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통체증·매연 없는 UAM
도입엔 고도화된 통신인프라 '필수'
"SK텔레콤이 핵심 역할 맡을 것"
도입엔 고도화된 통신인프라 '필수'
"SK텔레콤이 핵심 역할 맡을 것"
SK텔레콤 등이 도심 교통체증에서 자유로운 차세대 도심항공교통(UAM) 종합 실증에 성공했다. 2025년 ‘에어택시’ 상용화를 위한 전초작업이다.
UAM은 비행기와 달리 넓은 활주로가 필요치 않고, 헬리콥터보다 훨씬 적은 소음과 주변 진동을 낸다. 현실화하면 서울 강남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 단 10여분만에 도달할 수 있다. 전기가 동력원이라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도 않는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지상과 비행체간 통신을 책임지는 상공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날 실증 시연에선 상공에 있는 UAM 조종사와 지상통제소 간 통신을 안정적으로 연결했다. 다수의 드론 간 안전비행을 지원하는 K-드론시스템과 연계해 자율비행 드론 관제에도 성공했다.
UAM 상용화를 위해선 통신 기반 정보공유 체계도 필요하다. 이용자들이 UAM을 예약해 탑승하고, 이후 육상 교통수단으로 갈아탈 수 있는 플랫폼이 있어야 해서다. SK텔레콤은 탑승 수속·환승 서비스 등을 위한 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SK텔레콤에서 SK스퀘어의 자회사로 지난 1일 분리된 티맵모빌리티와 함께한다.
티맵모빌리티는 이날 QR코드 방식으로 버스·철도·개인용 교통수단을 아우르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가상현실(VR)로 시연했다. UAM을 타고 비행한 승객의 착륙 시간에 맞춰 배정된 환승 차량이 도착하는 식이다.
SK텔레콤은 K-UAM 드림팀에 참여해 지난 1월부터 UAM 사업을 키우고 있다. 2024년까지 실증을 마쳐 2025년 상용화를 시작하고, 2030년엔 10개 노선을 본격 운영하는 게 목표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UAM이 본격 도입되면 교통혼잡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매연 환경 부담이 줄어든다”며 “SK텔레콤은 통신·디지털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상과 상공 통신을 연결해 UAM 구축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UAM 항공교통관리 실증 성공
11일 SK텔레콤은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티맵모빌리티 등 ‘K-UAM 드림팀’과 함께 김포국제공항에서 UAM 운용 모델을 실증했다. 2인승 비행체인 독일 ‘볼로콥터’의 실시간 비행정보를 기존 국내·국제선 항공기 중심 항공교통관리체계에 연계해 약 3분간 1.2km 구간 시범 운행을 선보였다. UAM은 프로펠러와 날개를 달아 수직 이·착륙하는 전기동력 비행체에 사람이 타 이동하는 교통 체계다. 드론·헬리콥터·비행기의 ‘하이브리드’ 격인 셈이다.UAM은 비행기와 달리 넓은 활주로가 필요치 않고, 헬리콥터보다 훨씬 적은 소음과 주변 진동을 낸다. 현실화하면 서울 강남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 단 10여분만에 도달할 수 있다. 전기가 동력원이라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도 않는다.
통신 기반 UAM 서비스·인프라 공략
통신사인 SK텔레콤이 UAM 사업에 참여한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다. 일단 UAM 운용엔 고도화된 항공교통 통신 네트워크가 필수다. UAM끼리 혹은 UAM과 다른 교통수단이 충돌 위험 없이 안전 운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SK텔레콤은 이를 위해 지상과 비행체간 통신을 책임지는 상공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날 실증 시연에선 상공에 있는 UAM 조종사와 지상통제소 간 통신을 안정적으로 연결했다. 다수의 드론 간 안전비행을 지원하는 K-드론시스템과 연계해 자율비행 드론 관제에도 성공했다.
UAM 상용화를 위해선 통신 기반 정보공유 체계도 필요하다. 이용자들이 UAM을 예약해 탑승하고, 이후 육상 교통수단으로 갈아탈 수 있는 플랫폼이 있어야 해서다. SK텔레콤은 탑승 수속·환승 서비스 등을 위한 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SK텔레콤에서 SK스퀘어의 자회사로 지난 1일 분리된 티맵모빌리티와 함께한다.
티맵모빌리티는 이날 QR코드 방식으로 버스·철도·개인용 교통수단을 아우르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가상현실(VR)로 시연했다. UAM을 타고 비행한 승객의 착륙 시간에 맞춰 배정된 환승 차량이 도착하는 식이다.
2030년 노선 운영 목표…"새 먹거리 될 것"
이번 실증 시연은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SK텔레콤 수장을 맡게 된 이후 공식적으로 처음 보인 외부 행보다. SK텔레콤은 통신 기반 UAM 서비스·인프라 사업이 향후 성장성 높은 새 먹거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작년 70억원 수준이었던 글로벌 UAM 시장 규모는 2040년 약 1650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SK텔레콤은 K-UAM 드림팀에 참여해 지난 1월부터 UAM 사업을 키우고 있다. 2024년까지 실증을 마쳐 2025년 상용화를 시작하고, 2030년엔 10개 노선을 본격 운영하는 게 목표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UAM이 본격 도입되면 교통혼잡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매연 환경 부담이 줄어든다”며 “SK텔레콤은 통신·디지털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상과 상공 통신을 연결해 UAM 구축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