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등장으로 돈 되는 AI 시대 열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 AI경제연구소·공학한림원
'초거대AI 비즈니스' 웨비나 주최
'초거대AI 비즈니스' 웨비나 주최
“챗GPT 등장을 계기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하려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지불 가격’이 ‘공급 비용’을 넘어서는 사례가 적지 않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담당 이사는 13일 한경 AI경제연구소와 공학한림원이 함께 주최한 ‘초거대 AI 비즈니스 생태계에 관하여’ 웨비나에서 “돈 되는 AI 서비스의 시대가 열렸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개발자의 코딩을 도와주는 ‘코파일럿’ 같은 서비스는 아무리 적게 잡아도 개발률을 20% 이상 개선해준다”며 “AI를 생산성 도구로 ‘구독’하는 모델이 안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웨비나 참가자들은 AI 생태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 방식과 대상 등에 관해선 의견이 갈렸다. 김지현 임플로이랩스 대표는 “초거대 AI 활용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서는 많은 튜닝이 필요하고 비용도 들어가는데, 자본력이 강한 대기업이 독식할 수 있다”며 “스타트업이 시행착오만 겪다가 소모되지 않도록 정부가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하정우 네이버AI랩 소장은 “AI는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로 비즈니스 전망이 있는 곳이 중심이 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담당 이사는 13일 한경 AI경제연구소와 공학한림원이 함께 주최한 ‘초거대 AI 비즈니스 생태계에 관하여’ 웨비나에서 “돈 되는 AI 서비스의 시대가 열렸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개발자의 코딩을 도와주는 ‘코파일럿’ 같은 서비스는 아무리 적게 잡아도 개발률을 20% 이상 개선해준다”며 “AI를 생산성 도구로 ‘구독’하는 모델이 안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웨비나 참가자들은 AI 생태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 방식과 대상 등에 관해선 의견이 갈렸다. 김지현 임플로이랩스 대표는 “초거대 AI 활용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서는 많은 튜닝이 필요하고 비용도 들어가는데, 자본력이 강한 대기업이 독식할 수 있다”며 “스타트업이 시행착오만 겪다가 소모되지 않도록 정부가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하정우 네이버AI랩 소장은 “AI는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로 비즈니스 전망이 있는 곳이 중심이 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