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스타트업 '바우', 암스테르담 과학전시관서 공개
'4천년전 멸종' 매머드 DNA 바탕으로 세포 배양해 만든 미트볼
약 4천년 전에 멸종한 매머드의 DNA를 바탕으로 만든 세포배양육 미트볼(고기완자)이 공개됐다.

AP·로이터 등에 따르면 배양육을 개발하는 호주 스타트업 '바우'는 28일(현지시간) 암스테르담의 '네모' 과학전시관에서 이런 미트볼을 공개했다.

세포배양육은 동물 개체를 사냥하거나 사육하거나 양식하지 않고 세포를 배양해 얻는 육류를 가리킨다.

배양육을 개발하는 기업은 전세계에 100개가 넘으며, 이 중에는 바우와 같은 스타트업이 많다.

배양육은 일반 육류와 달리 동물을 대규모로 사육하거나 죽일 필요가 없으며 친환경적이라는 게 일부 동물보호운동가와 환경운동가의 주장이다.

바우 창업자인 팀 노크스미스는 "만우절 장난이 아니다"며 "이는 진정한 혁신"이라고 말했다.

바우는 매머드 세포의 유전정보에 관한 공개 자료를 활용해 복원에 사용했다.

정보가 비어 있는 부분은 멸종하지 않은 동물 중 매머드의 가장 가까운 친척인 아프리카코끼리의 유전정보로 보충했다.

매머스 세포의 유전정보를 양 세포에 넣고 실험실에서 적절한 조건을 만들어 배양했더니 미트볼을 만드는 데 충분한 양의 육류가 만들어졌다는 게 노크스미스의 설명이다.
'4천년전 멸종' 매머드 DNA 바탕으로 세포 배양해 만든 미트볼
이번에 만들어진 '매머드 미트볼'은 1회성 프로젝트로, 이를 맛본 사람은 없으며 상업적 생산 계획도 없다고 바우는 밝혔다.

육류의 미래에 관한 관심을 일으키고 공론화를 독려하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였다는 게 노크스미스의 설명이다.

그는 AP통신에 "털이 북슬북슬한 매머드는 전통적으로 상실의 상징이었다.

이제 우리는 매머드가 기후변화로 죽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우리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지구를 위해서도 더 나은 흥미진진한 미래의 상징이 될만한 것"을 만드는 것이 이번 매머드 미트볼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

CNN은 이 미트볼에 대해 "매머드 고기라고 부르는 것도 좀 무리"라며 "극소량의 매머드 DNA가 포함된 실험실 배양 양고기라고 하는 게 더 정확하다"고 설명했다.

바우 소속 연구자들은 포유류 동물에서 나오는 육류의 질감, 빛깔, 맛을 만들어내는 미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을 재현하는 데 노력을 집중했다고 CNN는 전했다.

연구자들이 이렇게 만들어 낸 고기의 총량은 약 400g이며, 이로 만든 미트볼은 소프트볼보다는 크고 축구공보다는 작다.

바우의 최고과학책임자인 제임스 라이올은 "우리가 식품을 어떻게 얻는지에 대해 생각을 다시 해 보기 시작할 때"라며 전세계에 배양육이 더 널리 알려지기를 희망한다고 CNN에 말했다.

호주 바이오공학 및 나노기술 연구소에서 선임 그룹 책임자를 맡고 있으며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한 언스트 울프탱 호주 퀸즐랜드대 교수는 "게놈의 관점에서 보면 다른 온갖 양 유전자 속에 매머스 유전자 딱 하나가 들어 있는 것"이라며 "2만5천개 유전자 중 한 개"라고 설명했다.
'4천년전 멸종' 매머드 DNA 바탕으로 세포 배양해 만든 미트볼
라이올은 매머드 미오글로빈이 배양에 쓰인 양 근육 세포의 물리적 외형에 변화를 주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석기시대 인간들은 매머드를 사냥해서 고기를 포식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미트볼을 맛본 사람은 아직 단 한 사람도 없다.

라이올과 울프탱 등 이를 만든 연구자들도 먹어보지는 않았다.

라이올은 "보통 경우는 우리가 우리 제품을 맛보고 여러 가지 시도를 해 본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즉각 맛보기가 꺼려졌다.

5천년간 존재하지 않았던 단백질에 관해 얘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특정 단백질이 어떤 잠재적 알레르기 유발 요인이 될 수 있을지는 전혀 모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 점이 우리가 이를 제품으로 내놓지는 않으려는 이유"라며 "이 특정 제품(매머드 DNA 기반 배양육)의 안전성에 관해 우리가 아는 바가 전혀 없기 때문에 판매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러브 데일런 스톡홀름대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 과학적 가치는 크지 않다면서도 "당연히 맛보고 싶다!"며 "진짜 매머드 고기보다 더 나쁜 맛이 날 리는 없다"고 CNN에 말했다.

그는 2012년 시베리아의 야나강(江)에 현지조사를 갔을 때 자연 냉동 상태로 수천년간 보존된 새끼 매머드의 사체 일부에서 나온 고기 조각을 맛본 적이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