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성류굴서 신라 진흥왕 560년 행차 銘文 발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심현용·이용현 학예사 판독
2.3m 높이 굴곡면에 25자 새겨
"배 타고 이동…50명 보좌"
2.3m 높이 굴곡면에 25자 새겨
"배 타고 이동…50명 보좌"
최근 신라 중고기(6~7세기) 금석문이 대거 발견된 경북 울진 성류굴(천연기념물 제155호)에서 신라 24대 임금 진흥왕(재위 540~576년)이 560년에 다녀갔다는 명문(銘文·사진)이 나왔다.
울진군은 심현용 울진군 학예연구사와 이용현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가 함께 판독한 ‘庚辰六月日(경진육월일)/ 柵作익<木+益>父飽(책작익부포)/女二交右伸(여이교우신)/ 眞興(진흥)/ 王擧(왕거)/ 世益者五十人(세익자오십인)’이란 성류굴 명문을 23일 공개했다. 이 명문은 “경진년(560년·진흥왕 21년) 6월O일, 잔교를 만들고 뱃사공을 배불리 먹였다. 여자 둘이 교대로 보좌하며 펼쳤다. 진흥왕이 다녀가셨다(행차하셨다). 세상에 도움이 된 이(보좌한 이)가 50인이었다”로 해석된다.
진흥왕은 북한산과 마운령, 황초령에 순수비를 남긴 것으로 유명한 신라시대 정복 군주다. 이번에 확인된 명문을 통해 560년에 진흥왕이 성류굴에 행차했고 이동에는 선박이 활용됐으며 행차에는 50인이 보좌했고 동굴 내부를 잇는 잔교가 설치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삼국사기를 비롯한 기존 문헌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으로 신라사를 새롭게 구성하고 울진 성류굴의 역사적 위상을 밝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명문이 있는 장소는 지난 3월 신라시대 문자 자료가 무더기로 확인된 제8광장이다. 명문은 지표 기준으로 약 2.3m 높이에 가로 35㎝, 세로 40㎝인 굴곡진 면에 음각했다. 세로 6행으로 1행에 5자, 2행 5자, 3행 5자, 4행 2자, 5행 2자, 6행 6자로 모두 25자를 새겼다. 글자 크기는 가로 7~8㎝, 세로 7~12㎝로 ‘眞興王擧(진흥왕거)’라는 네 글자는 다른 글씨보다 유독 크게 써서 강조했다.
조사단은 특히 ‘진흥(眞興)’이라는 글자를 통해 다양한 역사적 사실이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568년 북한산·황초령·마운령 진흥왕 순수비에는 진흥태왕(眞興太王)으로 기록된 왕명이 560년에는 진흥왕이어서 왕명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심현용 연구사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조에는 진흥왕 20~22년 기록이 비어 있다”며 “성류굴 명문은 공백기로 남은 진흥왕대 역사상을 알려주는 엄청난 자료”라고 주장했다. 그는 “앞으로 울진에서 진흥왕 순수비가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며 “성류굴 신라 명문들은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제147호)에 버금가는 신라 금석문의 보고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울진군과 문화재청은 지난달 성류굴에서 신라 원성왕 14년(798년)에 화랑과 승려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동굴 내부에서 명문이 발견되기는 국내 처음으로 입구에서 230여m 떨어진 지점 주변에서 각석(刻石) 명문 30여 개가 확인됐다.
서화동 문화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울진군은 심현용 울진군 학예연구사와 이용현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가 함께 판독한 ‘庚辰六月日(경진육월일)/ 柵作익<木+益>父飽(책작익부포)/女二交右伸(여이교우신)/ 眞興(진흥)/ 王擧(왕거)/ 世益者五十人(세익자오십인)’이란 성류굴 명문을 23일 공개했다. 이 명문은 “경진년(560년·진흥왕 21년) 6월O일, 잔교를 만들고 뱃사공을 배불리 먹였다. 여자 둘이 교대로 보좌하며 펼쳤다. 진흥왕이 다녀가셨다(행차하셨다). 세상에 도움이 된 이(보좌한 이)가 50인이었다”로 해석된다.
진흥왕은 북한산과 마운령, 황초령에 순수비를 남긴 것으로 유명한 신라시대 정복 군주다. 이번에 확인된 명문을 통해 560년에 진흥왕이 성류굴에 행차했고 이동에는 선박이 활용됐으며 행차에는 50인이 보좌했고 동굴 내부를 잇는 잔교가 설치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삼국사기를 비롯한 기존 문헌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으로 신라사를 새롭게 구성하고 울진 성류굴의 역사적 위상을 밝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명문이 있는 장소는 지난 3월 신라시대 문자 자료가 무더기로 확인된 제8광장이다. 명문은 지표 기준으로 약 2.3m 높이에 가로 35㎝, 세로 40㎝인 굴곡진 면에 음각했다. 세로 6행으로 1행에 5자, 2행 5자, 3행 5자, 4행 2자, 5행 2자, 6행 6자로 모두 25자를 새겼다. 글자 크기는 가로 7~8㎝, 세로 7~12㎝로 ‘眞興王擧(진흥왕거)’라는 네 글자는 다른 글씨보다 유독 크게 써서 강조했다.
조사단은 특히 ‘진흥(眞興)’이라는 글자를 통해 다양한 역사적 사실이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568년 북한산·황초령·마운령 진흥왕 순수비에는 진흥태왕(眞興太王)으로 기록된 왕명이 560년에는 진흥왕이어서 왕명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심현용 연구사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조에는 진흥왕 20~22년 기록이 비어 있다”며 “성류굴 명문은 공백기로 남은 진흥왕대 역사상을 알려주는 엄청난 자료”라고 주장했다. 그는 “앞으로 울진에서 진흥왕 순수비가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며 “성류굴 신라 명문들은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제147호)에 버금가는 신라 금석문의 보고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울진군과 문화재청은 지난달 성류굴에서 신라 원성왕 14년(798년)에 화랑과 승려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동굴 내부에서 명문이 발견되기는 국내 처음으로 입구에서 230여m 떨어진 지점 주변에서 각석(刻石) 명문 30여 개가 확인됐다.
서화동 문화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