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항아리에 담은 평화 염원…강익중 설치작품 '광화문 아리랑' 공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25전쟁 70주년 기념해 제작…15~30일 서울 광화문광장서 전시
23개국 어린이 1만2000명 그림 모아 달항아리 구성
상하 분리돼 70초마다 90도씩 회전하는 '키네틱 아트'
23개국 어린이 1만2000명 그림 모아 달항아리 구성
상하 분리돼 70초마다 90도씩 회전하는 '키네틱 아트'
서울 광화문광장에 거대한 키네틱 조형물이 등장했다. 설치작가 강익중 씨(60)가 6·25전쟁 70주년을 기념해 만든 설치작품 '광화문 아리랑'이다. 강 작가가 6·25전쟁 유엔 참전국 어린이 1만2000명과 협업해 만든 공공미술 작품으로, 6·25전쟁 70주년사업추진위원회가 '평화를 위한 기억, 그리고 한걸음'을 주제로 여는 특별전 형식으로 오는 15일부터 일반에 공개된다.
6·25 전사자들을 추모하고 어린이들의 꿈과 통일 염원을 담은 '광화문 아리랑'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8m인 정육면체 형태다. 각 면의 한가운데에 커다란 달항아리 그림이 있고, 달항아리 표면은 어린이들의 그림으로 채웠다. 한국과 22개 참전국 등 23개국 어린이들이 그려서 보내온 그림들은 가로, 세로 3인치(7.62㎝)의 정사각형 종이에 그린 것. 참전용사들의 희생 덕분에 현재 평화롭게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과 어린이들이 꿈꾸는 미래의 모습, 호국 영령에게 쓴 감사의 메시지 등이 들어 있다. 항아리 주변은 강 작가가 직접 쓴 한글작품 '아리랑'이 둘러싸고 있다. '아리랑'은 우리 민족을 하나로 묶어주고 소통하게 해주는 노래라는 점에서 한국과 참전국을 이어주고, 전쟁에서 희생된 참전국 전사자들의 넋을 위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게 강 작가의 설명이다. 한글작품 '아리랑'의 글자와 글자 사이에는 국내외 전사자 17만5801명의 이름을 새겨 넋을 기억하도록 했다.
강 작가는 "전통적으로 달항아리를 빚을 때에도 상하를 따로 제작해 붙여서 만든다"며 "위와 아래가 만나 하나의 자연스러운 작품이 되는 것은 대한민국의 화합과 통일을 기원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달항아리 속에서 화음을 이루는 23개국 아이들의 그림을 보면 전 세계 어린이들이 하나가 된 느낌을 받는다"며 "자신들이 태어나지도 않았던 시대에 먼 나라 한국에서 일어났던 6·25전쟁에 대해 아이들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을 보면서 전 세계와 우리나라가 연결돼 있음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작가는 또 "코로나19로 인해 '물리적 거리'는 생겼어도 정서적으로는 사회적 공감이 더 잘 형성되고 있다"며 "전 세계 사람들이 거대한 그물을 만들어 평화라는 대어를 잡는다는 의미를 이 작품에 담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강 작가는 평화와 통일의 꿈을 꾸준히 작품에 담아왔다. 남과 북의 사람들이 함께 그리는 '꿈의 다리'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이는 남북을 갈라놓은 임진강 위에 원형 미술관 모양의 다리를 만들어 남북한 사람들의 꿈과 실향민들의 꿈이 담긴 그림 100만장으로 내부를 꾸미고 남북이 함께 부르는 노랫말로 외벽을 장식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이다. '꿈의 다리'가 완성되면 그림을 통해 사람들이 마음이 연결되고 그 다리를 걸으면서 통일의 염원이 커질 것이라는 얘기다.
광화문 아리랑에 사용된 정사각형 그림들은 강 작가가 만들어온 '3인치 작품'의 연장선에 있다. 뉴욕 유학 시절 하루 12시간씩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면서 공부하느라 그림 그릴 시간이 없어서 3인치짜리 정사각형 캔버스를 여러 개 만들어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지하철과 버스에서 그림을 그렸던 것이 3인치 작품의 시작이라고 한다.
1997년 베니스 비엔랄레 특별상을 받은 강 작가는 2010년 상하이엑스포 한국관, 2003년 뉴욕 유엔본부 등에서 초청받아 작품을 선보였고, 2016년에는 영국 런던 템스강 페스티벌에 메인 작가로 초청돼 실향민들의 그림을 모아 만든 설치작품 '집으로 가는 길'을 템스강 위에 한 달 동안 띄웠다. 구겐하임미술관, 휘트니미술관, 영국박물관, 국립현대박물관, 삼성미술관 리움 등에 작품이 소장돼 있다.
광화문 아리랑은 2007년 광화문 복원 현장에 가림막으로 '광화문에 뜬 달'을 설치한 데 이은 그의 두 번째 공공미술 프로젝트다. 전시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지며 이후에는 부산 유엔평화기념관 야외광장으로 옮겨 전시하게 된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6·25 전사자들을 추모하고 어린이들의 꿈과 통일 염원을 담은 '광화문 아리랑'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8m인 정육면체 형태다. 각 면의 한가운데에 커다란 달항아리 그림이 있고, 달항아리 표면은 어린이들의 그림으로 채웠다. 한국과 22개 참전국 등 23개국 어린이들이 그려서 보내온 그림들은 가로, 세로 3인치(7.62㎝)의 정사각형 종이에 그린 것. 참전용사들의 희생 덕분에 현재 평화롭게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과 어린이들이 꿈꾸는 미래의 모습, 호국 영령에게 쓴 감사의 메시지 등이 들어 있다. 항아리 주변은 강 작가가 직접 쓴 한글작품 '아리랑'이 둘러싸고 있다. '아리랑'은 우리 민족을 하나로 묶어주고 소통하게 해주는 노래라는 점에서 한국과 참전국을 이어주고, 전쟁에서 희생된 참전국 전사자들의 넋을 위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게 강 작가의 설명이다. 한글작품 '아리랑'의 글자와 글자 사이에는 국내외 전사자 17만5801명의 이름을 새겨 넋을 기억하도록 했다.
광화문 아리랑은 정육면체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제작해 위와 아래로 나뉘어 있으며, 6·25전쟁 70주년을 상징하는 뜻에서 70초마다 90도씩 회전한다. 움직이는 '키네틱 조각' 형태의 작품은 강 작가가 처음 시도한 것으로, 거대한 조형물이 천천히 움직이는 것을 통해 역사가 과거에서 미래로 서서히 흐르는 것을 암시한다.
강 작가는 "전통적으로 달항아리를 빚을 때에도 상하를 따로 제작해 붙여서 만든다"며 "위와 아래가 만나 하나의 자연스러운 작품이 되는 것은 대한민국의 화합과 통일을 기원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달항아리 속에서 화음을 이루는 23개국 아이들의 그림을 보면 전 세계 어린이들이 하나가 된 느낌을 받는다"며 "자신들이 태어나지도 않았던 시대에 먼 나라 한국에서 일어났던 6·25전쟁에 대해 아이들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을 보면서 전 세계와 우리나라가 연결돼 있음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작가는 또 "코로나19로 인해 '물리적 거리'는 생겼어도 정서적으로는 사회적 공감이 더 잘 형성되고 있다"며 "전 세계 사람들이 거대한 그물을 만들어 평화라는 대어를 잡는다는 의미를 이 작품에 담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강 작가는 평화와 통일의 꿈을 꾸준히 작품에 담아왔다. 남과 북의 사람들이 함께 그리는 '꿈의 다리'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이는 남북을 갈라놓은 임진강 위에 원형 미술관 모양의 다리를 만들어 남북한 사람들의 꿈과 실향민들의 꿈이 담긴 그림 100만장으로 내부를 꾸미고 남북이 함께 부르는 노랫말로 외벽을 장식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이다. '꿈의 다리'가 완성되면 그림을 통해 사람들이 마음이 연결되고 그 다리를 걸으면서 통일의 염원이 커질 것이라는 얘기다.
광화문 아리랑에 사용된 정사각형 그림들은 강 작가가 만들어온 '3인치 작품'의 연장선에 있다. 뉴욕 유학 시절 하루 12시간씩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면서 공부하느라 그림 그릴 시간이 없어서 3인치짜리 정사각형 캔버스를 여러 개 만들어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지하철과 버스에서 그림을 그렸던 것이 3인치 작품의 시작이라고 한다.
광화문 아리랑은 2007년 광화문 복원 현장에 가림막으로 '광화문에 뜬 달'을 설치한 데 이은 그의 두 번째 공공미술 프로젝트다. 전시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지며 이후에는 부산 유엔평화기념관 야외광장으로 옮겨 전시하게 된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