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한국인은 왜 행복하지 않을까"…부유한 경제 가난한 행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지음
행복한 나라의 조건은…
국민총생산 아닌 '국민총행산' 필요
행복한 나라의 조건은…
국민총생산 아닌 '국민총행산' 필요
한국은 최단 기간에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도약했다. 정치적 민주화와 문화의 세방화도 이뤘다. 전 세계는 우리나라의 발전을 경이롭게 여기며 후발 개발도상국들은 한국을 발전 모델로 삼고 있다. 이렇게 잘사는 한국에서 국민들은 행복할까.
신간 <부유한 경제 가난한 행복>은 아니라고 말한다. 국민들의 행복과 삶의 질은 한국 경제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더 나은 삶 지수(BLI)'에서 한국의 삶의 질은 조사대상 35개국 가운데 29위(2017년 기준)에 그쳤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이는 주거와 소득, 직업, 건강 등을 국가별로 종합한 지표다. 행복한 삶이 경제 성장의 결실로 마땅히 주어질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이다.
저자인 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 성장으로 국가의 부가 증가한다고 해서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이 교수는 행복한 나라가 되기 위해선 사회구조적 환경의 질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OECD 행복지수를 확장·분석하며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위해 성장과 분배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자는 '국민총행산(GNHP·Gross National Happiness & Product)'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 국민총생산(GDP)에 '행복'이라는 지표를 포함한 개념이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됐다. 경제 성장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고찰했다. 삶의 질을 행복지수로 읽어냈으며 집단 속에서 소외되는 개인의 삶에 대해서 짚었다. 포용적 복지를 어떻게 구현할까 살피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행복을 수치화할 수 있을까’, ‘집단은 수평이 될 수 없을까’, ‘정부가 커지면 혜택도 커질까’와 같은 질문의 답을 얻을 수 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신간 <부유한 경제 가난한 행복>은 아니라고 말한다. 국민들의 행복과 삶의 질은 한국 경제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더 나은 삶 지수(BLI)'에서 한국의 삶의 질은 조사대상 35개국 가운데 29위(2017년 기준)에 그쳤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이는 주거와 소득, 직업, 건강 등을 국가별로 종합한 지표다. 행복한 삶이 경제 성장의 결실로 마땅히 주어질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이다.
저자인 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 성장으로 국가의 부가 증가한다고 해서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이 교수는 행복한 나라가 되기 위해선 사회구조적 환경의 질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OECD 행복지수를 확장·분석하며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위해 성장과 분배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자는 '국민총행산(GNHP·Gross National Happiness & Product)'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 국민총생산(GDP)에 '행복'이라는 지표를 포함한 개념이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됐다. 경제 성장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고찰했다. 삶의 질을 행복지수로 읽어냈으며 집단 속에서 소외되는 개인의 삶에 대해서 짚었다. 포용적 복지를 어떻게 구현할까 살피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행복을 수치화할 수 있을까’, ‘집단은 수평이 될 수 없을까’, ‘정부가 커지면 혜택도 커질까’와 같은 질문의 답을 얻을 수 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