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이어령 손끝에서 어느덧 600호…<문학사상> 50년 역사를 빚어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72년 "만인의 문학" 선언하며 창간
기성작가 소개 아닌 신인 발굴 힘써
윤동주·이상 등의 미발표작 소개도
기성작가 소개 아닌 신인 발굴 힘써
윤동주·이상 등의 미발표작 소개도
“문단의 문학을 철저히 파괴해 만인의 문학이 될 수 있게 하겠다.”
1972년 10월, 30대의 ‘젊은 문학평론가’ 이어령 선생(사진)은 문예지 <문학사상> 창간호에 이 같은 문장을 적었다. 기성 작가들의 글을 단순 소개하지 않고, 신인을 적극 발굴하며 새로운 문학의 장을 열겠다는 선언이었다. ‘모두의 문학’을 표방한 <문학사상>은 창간호부터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표지는 구본웅 화백이 그린 ‘천재시인’ 이상의 초상화. 발행 1주일 만에 초판 2만 부가 소진돼 부랴부랴 재판을 찍었다.
이렇게 시작된 <문학사상>이 600호를 맞았다. 1972년 10월 첫 호를 낸 지 50년 만이다. 국내에서 월간 문예지가 600호를 발행한 건 <현대문학>에 이어 두 번째다.
50년간 <문학사상>은 창간 일성대로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데 공을 들였다. 소설가 강석경, 성석제, 윤대녕과 시인 정끝별 등이 이 잡지 신인상을 통해 문단에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1970~1980년대 <문학사상>은 문단의 ‘특종’ 매체로도 이름이 났다.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으로 소실된 문학 관련 자료를 대거 발굴하면서다. <문학사상>은 자체 자료조사연구실을 두고 윤동주, 이상, 김소월의 미발굴·미발표 작품을 찾아 소개했다. 해외에 나가 있는 작가나 문학 연구자를 ‘특파원’으로 임명해 해외 문단 소식을 전하도록 한 것도 당시에는 파격적인 시도였다. 영문학자 고(故) 최월희 뉴욕대 명예교수, 불문학자 고(故) 유평근 서울대 명예교수 등이 한때 <문학사상> 특파원을 지냈다.
화가들이 문인의 얼굴을 그린 특유의 표지도 유명하다. 이제는 미술관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들이다. 요즘은 매달 문인 한 사람의 사진으로 표지를 장식한다.
마침내 <문학사상>은 반세기의 금자탑을 쌓았지만 앞길은 녹록지 않다. 출판 시장 위축으로 문예지를 찾는 독자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여서다. 2020년에는 <문학사상>을 발행하는 문학사상사의 ‘이상문학상’ 수상작이 저작권 부당 계약 논란에 휩싸였고, 작가들이 <문학사상> 기고를 ‘보이콧’하는 일까지 겪었다.
편집주간을 맡고 있는 권영민 문학평론가(서울대 명예교수)가 이번 600호에 실은 글 제목은 ‘새로운 50년을 위한 도전’이다. 권 주간은 “우리 문학을 이끌어 온 순수 문예지가 대부분 경영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만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사실”이라며 “우리 문학의 위상은 문학에 대한 사회문화적 지원과 관심과 참여로 더욱 높아지고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학사상>은 600호 첫 페이지에 창간호의 창간사를 다시 실으며 발행 취지를 되새겼다. “상처진 자에게는 붕대와 같은 언어가 될 것이며, 폐를 앓고 있는 자에게는 신선한 초원의 바람 같은 언어가 될 것이며, 역사와 생을 배반하는 자들에겐 창끝 같은 도전의 언어, 불의 언어가 될 것이다.”
<문학사상>은 앞으로 정보기술(IT) 발전에 따른 작가와 독자의 실시간 연결, 한국문학의 세계화 등 문학과 사상에 대한 폭넓은 고찰을 담아내겠다는 계획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1972년 10월, 30대의 ‘젊은 문학평론가’ 이어령 선생(사진)은 문예지 <문학사상> 창간호에 이 같은 문장을 적었다. 기성 작가들의 글을 단순 소개하지 않고, 신인을 적극 발굴하며 새로운 문학의 장을 열겠다는 선언이었다. ‘모두의 문학’을 표방한 <문학사상>은 창간호부터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표지는 구본웅 화백이 그린 ‘천재시인’ 이상의 초상화. 발행 1주일 만에 초판 2만 부가 소진돼 부랴부랴 재판을 찍었다.
이렇게 시작된 <문학사상>이 600호를 맞았다. 1972년 10월 첫 호를 낸 지 50년 만이다. 국내에서 월간 문예지가 600호를 발행한 건 <현대문학>에 이어 두 번째다.
50년간 <문학사상>은 창간 일성대로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데 공을 들였다. 소설가 강석경, 성석제, 윤대녕과 시인 정끝별 등이 이 잡지 신인상을 통해 문단에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1970~1980년대 <문학사상>은 문단의 ‘특종’ 매체로도 이름이 났다.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으로 소실된 문학 관련 자료를 대거 발굴하면서다. <문학사상>은 자체 자료조사연구실을 두고 윤동주, 이상, 김소월의 미발굴·미발표 작품을 찾아 소개했다. 해외에 나가 있는 작가나 문학 연구자를 ‘특파원’으로 임명해 해외 문단 소식을 전하도록 한 것도 당시에는 파격적인 시도였다. 영문학자 고(故) 최월희 뉴욕대 명예교수, 불문학자 고(故) 유평근 서울대 명예교수 등이 한때 <문학사상> 특파원을 지냈다.
화가들이 문인의 얼굴을 그린 특유의 표지도 유명하다. 이제는 미술관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들이다. 요즘은 매달 문인 한 사람의 사진으로 표지를 장식한다.
마침내 <문학사상>은 반세기의 금자탑을 쌓았지만 앞길은 녹록지 않다. 출판 시장 위축으로 문예지를 찾는 독자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여서다. 2020년에는 <문학사상>을 발행하는 문학사상사의 ‘이상문학상’ 수상작이 저작권 부당 계약 논란에 휩싸였고, 작가들이 <문학사상> 기고를 ‘보이콧’하는 일까지 겪었다.
편집주간을 맡고 있는 권영민 문학평론가(서울대 명예교수)가 이번 600호에 실은 글 제목은 ‘새로운 50년을 위한 도전’이다. 권 주간은 “우리 문학을 이끌어 온 순수 문예지가 대부분 경영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만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사실”이라며 “우리 문학의 위상은 문학에 대한 사회문화적 지원과 관심과 참여로 더욱 높아지고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학사상>은 600호 첫 페이지에 창간호의 창간사를 다시 실으며 발행 취지를 되새겼다. “상처진 자에게는 붕대와 같은 언어가 될 것이며, 폐를 앓고 있는 자에게는 신선한 초원의 바람 같은 언어가 될 것이며, 역사와 생을 배반하는 자들에겐 창끝 같은 도전의 언어, 불의 언어가 될 것이다.”
<문학사상>은 앞으로 정보기술(IT) 발전에 따른 작가와 독자의 실시간 연결, 한국문학의 세계화 등 문학과 사상에 대한 폭넓은 고찰을 담아내겠다는 계획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