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기후위기는 환경뿐 아니라 일자리 문제이자 생존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 홍종호 서울대 교수
<기후 위기 부의 대전환> 출간
<기후 위기 부의 대전환> 출간
“세상의 흐름을 통찰하고 싶은 모든 청년에게 일독을 권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최근 출간된 책 한 권에 이런 추천사를 실었다. 저명한 역사서, 산업 지형도를 뒤흔들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DX)에 대한 책이 아니다. 환경경제학자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사진)가 쓴 <기후 위기 부의 대전환>이다. 쉬운 문장 덕에 술술 읽히지만 책의 메시지는 무겁다. “기후정책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경제구조를 구축할 기회라는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홍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도 이제는 기후변화 대응이 환경뿐만 아니라 산업·경제 이슈라는 걸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에너지 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각국 친환경 정책이 ‘그린플레이션(환경+인플레이션)’을 일으켰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와중에 ‘탈(脫)탄소’를 서두르자는 책을 낸 이유는 뭘까. 홍 교수는 “이제 기후위기 대응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기 때문”이라며 “유럽연합(EU)이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관세를 매기는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오는 4월 상장사의 탄소배출량 공시 의무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선진국 중심 기후대응 움직임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지적도 있다. 홍 교수는 “대한민국은 이제 그런 말을 하기에는 국제적 위상이 너무 높아져 버렸다”고 했다. 이어 “주요국 기후정책이 한국에 무역장벽으로 작용한다면 더더욱 대응을 서둘러야 하는 것”이라며 “삼성, SK 등 글로벌 기업이 기후위기 대응에 관심을 쏟는 이유”라고 했다.
그는 “기후위기는 이제 환경 문제를 넘어 산업·일자리·인구 이슈”라고 봤다. 예컨대 탄소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석탄발전소를 점차 퇴출시키면 발전소가 밀집된 충남 지역에서는 일자리가 대거 사라진다. 인구절벽 시대, 지역 일자리 감소는 지방 소멸을 부추긴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려면 ‘왜(why)’가 아니라 ‘어떻게(how)’를 묻는 기후대응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DX에 대해 얘기할 때를 보세요. 로봇이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며 거부하는 대신 반도체 지원 등 대응책을 찾으려고 하죠. ‘성장이냐, 분배냐’ 양자택일하기보다는 조화를 위한 정책을 고민하고요. 환경과 산업도 이제는 기후문제 앞에서 지속가능한 공존을 고민해야 합니다.”
책은 홍 교수가 환경경제학을 연구한 지 약 30년 만에 내놓은 첫 번째 대중서다. 책 1부는 경제학 관점에서 환경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 설명한다. 2부에서는 좀 더 직접적으로 경제·사회 현안을 다뤘다. “한국은 오랫동안 전기와 난방 공급에 필요한 생산 원가를 가격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 왜곡된 에너지 정책을 시행해왔다. 경제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이 낮은 건 우연이 아니다”는 지적은 시의적절하게 읽힌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홍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도 이제는 기후변화 대응이 환경뿐만 아니라 산업·경제 이슈라는 걸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에너지 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각국 친환경 정책이 ‘그린플레이션(환경+인플레이션)’을 일으켰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와중에 ‘탈(脫)탄소’를 서두르자는 책을 낸 이유는 뭘까. 홍 교수는 “이제 기후위기 대응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기 때문”이라며 “유럽연합(EU)이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관세를 매기는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오는 4월 상장사의 탄소배출량 공시 의무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선진국 중심 기후대응 움직임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지적도 있다. 홍 교수는 “대한민국은 이제 그런 말을 하기에는 국제적 위상이 너무 높아져 버렸다”고 했다. 이어 “주요국 기후정책이 한국에 무역장벽으로 작용한다면 더더욱 대응을 서둘러야 하는 것”이라며 “삼성, SK 등 글로벌 기업이 기후위기 대응에 관심을 쏟는 이유”라고 했다.
그는 “기후위기는 이제 환경 문제를 넘어 산업·일자리·인구 이슈”라고 봤다. 예컨대 탄소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석탄발전소를 점차 퇴출시키면 발전소가 밀집된 충남 지역에서는 일자리가 대거 사라진다. 인구절벽 시대, 지역 일자리 감소는 지방 소멸을 부추긴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려면 ‘왜(why)’가 아니라 ‘어떻게(how)’를 묻는 기후대응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DX에 대해 얘기할 때를 보세요. 로봇이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며 거부하는 대신 반도체 지원 등 대응책을 찾으려고 하죠. ‘성장이냐, 분배냐’ 양자택일하기보다는 조화를 위한 정책을 고민하고요. 환경과 산업도 이제는 기후문제 앞에서 지속가능한 공존을 고민해야 합니다.”
책은 홍 교수가 환경경제학을 연구한 지 약 30년 만에 내놓은 첫 번째 대중서다. 책 1부는 경제학 관점에서 환경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 설명한다. 2부에서는 좀 더 직접적으로 경제·사회 현안을 다뤘다. “한국은 오랫동안 전기와 난방 공급에 필요한 생산 원가를 가격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 왜곡된 에너지 정책을 시행해왔다. 경제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이 낮은 건 우연이 아니다”는 지적은 시의적절하게 읽힌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