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법화경·화엄경의 세계, 길잡이와 함께 거닐어볼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광출판사, '인문학 독자를 위한 불교 경전' 시리즈 출간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불교 신도가 아니더라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대표적 불교 경전이다. 하지만 불교 철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도 이런 경전을 읽어내려가기는 쉽지 않다. "아뇩다라 삼먁삼보리…" 인도 고대어인 산스크리트어 발음을 한자로 옮긴 이런 구절들은 본래 뜻을 짐작하기 어렵다.
이에 불광출판사는 주요 불교 경전의 내용을 쉽게 해설한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인문학 독자를 위한 법화경> <인문학 독자를 위한 화엄경>을 최근 출간했다.
불광출판사 관계자는 "독자들이 부담없이 읽을 수 있도록 한 손에 들어오는 작고 가벼운 판형을 택했다"며 "불교 경전을 한번쯤 읽어보고 싶었으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입문 독자들에게 유용한 안내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자는 각각 김성옥 동국대 다르마칼리지 부교수, 하영수 금강대 불교인문학부 조교수, 박보람 충북대 철학과 부교수. '인문학 독자를 위한 불교 경전' 기획 시리즈의 첫 3권이다.
4일 서울 종로구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출간 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김 교수는 "저 역시도 불교를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 개념어와 한자어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경전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알기 쉬운 시리즈를 내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게 됐다"고 집필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집필 취지에 걸맞게 '금강경'의 뜻부터 친절하게 풀이하며 책을 열었다. 존댓말로 적은 문장들은 일대일 눈높이 강의를 듣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이 경전의 본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 인도에서 만들어진 '바즈라 체디까 쁘라즈냐 파라미따 수뜨라'를 번역한 것입니다. 이름에 담긴 의미 하나하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뒤이어 '금강'은 '다이아몬드'라는 뜻이라는 설명이 이어진다. 다이아몬드는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 귀하고 값비싼 것이다. 반야는 '지혜', 바라밀은 '완성하다' 혹은 '저쪽(피안)으로 건너가다'는 뜻이다. 경은 '경전'을 의미한다.
결국 '금강반야바라밀경'은 '금강처럼 (무엇이든) 자를 수 있는 지혜로 피안으로 건너가는 경전'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제목이다.
'불교 경전의 핵심을 쉽게 해설한다'는 게 이번 시리즈의 공통적 특징이다. 하 교수는 "지인이 '불교에 입문하려면 무슨 경전부터 읽으면 좋냐'고 물어서 <법화경>을 추천했더니 '읽어도 무슨 소리인지 하나도 모르겠다'고 반응했다"며 "그 지인도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써보자는 목표를 두고 책을 집필했다"고 말했다.
세 권은 각각 네 개의 목차로 구성됐다. 공통적으로 △이 경전을 왜 알아야 하는지 △이 경전이 왜 만들어졌는지 △이 경전이 말하고자 하는 건 뭔지 △이 경전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풀어 썼다.
이 중에서도 마지막 목차에는 저자의 개인적 경험을 녹여낸 에세이에 가까워 좀더 친숙하게 경전 속 가르침을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화엄경>을 집필한 박 교수의 경우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했다. 이후 불교학에 관심을 갖고 화엄 사상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불교 철학을 가르치게 된 삶의 여정을 <화엄경> 이야기와 함께 풀어냈다.
류지호 불광출판사 대표는 "소위 'MZ세대'라 불리는 젊은층 가운데 불교에 관심 있는 이들을 유입하는 데 이 시리즈가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164쪽. <인문학 독자를 위한 법화경> 180쪽. <인문학 독자를 위한 화엄경> 168쪽. 각 1만6000원.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이에 불광출판사는 주요 불교 경전의 내용을 쉽게 해설한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인문학 독자를 위한 법화경> <인문학 독자를 위한 화엄경>을 최근 출간했다.
불광출판사 관계자는 "독자들이 부담없이 읽을 수 있도록 한 손에 들어오는 작고 가벼운 판형을 택했다"며 "불교 경전을 한번쯤 읽어보고 싶었으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입문 독자들에게 유용한 안내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자는 각각 김성옥 동국대 다르마칼리지 부교수, 하영수 금강대 불교인문학부 조교수, 박보람 충북대 철학과 부교수. '인문학 독자를 위한 불교 경전' 기획 시리즈의 첫 3권이다.
4일 서울 종로구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출간 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김 교수는 "저 역시도 불교를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 개념어와 한자어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경전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알기 쉬운 시리즈를 내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게 됐다"고 집필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집필 취지에 걸맞게 '금강경'의 뜻부터 친절하게 풀이하며 책을 열었다. 존댓말로 적은 문장들은 일대일 눈높이 강의를 듣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이 경전의 본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 인도에서 만들어진 '바즈라 체디까 쁘라즈냐 파라미따 수뜨라'를 번역한 것입니다. 이름에 담긴 의미 하나하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뒤이어 '금강'은 '다이아몬드'라는 뜻이라는 설명이 이어진다. 다이아몬드는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 귀하고 값비싼 것이다. 반야는 '지혜', 바라밀은 '완성하다' 혹은 '저쪽(피안)으로 건너가다'는 뜻이다. 경은 '경전'을 의미한다.
결국 '금강반야바라밀경'은 '금강처럼 (무엇이든) 자를 수 있는 지혜로 피안으로 건너가는 경전'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제목이다.
'불교 경전의 핵심을 쉽게 해설한다'는 게 이번 시리즈의 공통적 특징이다. 하 교수는 "지인이 '불교에 입문하려면 무슨 경전부터 읽으면 좋냐'고 물어서 <법화경>을 추천했더니 '읽어도 무슨 소리인지 하나도 모르겠다'고 반응했다"며 "그 지인도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써보자는 목표를 두고 책을 집필했다"고 말했다.
세 권은 각각 네 개의 목차로 구성됐다. 공통적으로 △이 경전을 왜 알아야 하는지 △이 경전이 왜 만들어졌는지 △이 경전이 말하고자 하는 건 뭔지 △이 경전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풀어 썼다.
이 중에서도 마지막 목차에는 저자의 개인적 경험을 녹여낸 에세이에 가까워 좀더 친숙하게 경전 속 가르침을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화엄경>을 집필한 박 교수의 경우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했다. 이후 불교학에 관심을 갖고 화엄 사상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불교 철학을 가르치게 된 삶의 여정을 <화엄경> 이야기와 함께 풀어냈다.
류지호 불광출판사 대표는 "소위 'MZ세대'라 불리는 젊은층 가운데 불교에 관심 있는 이들을 유입하는 데 이 시리즈가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164쪽. <인문학 독자를 위한 법화경> 180쪽. <인문학 독자를 위한 화엄경> 168쪽. 각 1만6000원.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