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 열심히 모았는데 잘못 생각했다. 망했다"…30대의 후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년층 가계부채 증가율 12.8%로 '압도적'
주담대도 증가세…상반기 아파트 거래비중 36%
"투기 수요층에 대해선 자금공급 차단 등 필요"
주담대도 증가세…상반기 아파트 거래비중 36%
"투기 수요층에 대해선 자금공급 차단 등 필요"
# 30대 후반 A씨는 되도록 대출을 적게 받기 위해 직장생활을 시작한 후 알뜰살뜰하게 살며 3억원을 모았다. 하지만 최근 대출규제가 쏟아지면서 "잘못 생각했다. 망했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그는 이제라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에 나서기 위해 실거주 주택을 알아보고 있다.
# 최근 공기업에 취업한 20대 B씨는 빚투(빚내서 투자)를 위해 대출을 알아보고 있다. 공제회는 물론 시중은행에서도 연봉 만큼의 대출을 받아 9000만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렇게 모인 투자금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채권 비중이 높은 포트폴리오로 굴릴 예정이다. 그는 연 수익률이 7%를 기록한다면 한 두달치 월급을 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30 청년층이 영끌과 빚투에 나서면서 전체 가계부채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25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2021년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청년층(20~30대) 가계부채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2.8%를 기록했다. 다른 연령층의 증가율(7.8%)을 크게 뛰어넘은 수준이다.
청년층의 가계대출은 은행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올해 2분기 기준 은행권 대출은 전체 대출의 69.8%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대출서비스 경쟁이 심화되면서 모바일 활용도가 높은 청년층의 은행권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상반기 신규 신용대출 중 비대면 비중은 하나은행(88%),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이 각각 67.3%, 61%로 높은 편이었다.
전세자금대출 비중은 25.2%로 다른 연령층(7.8%)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청년층의 전월세 거주 비중이 높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증가세도 확대되고 있다. 청년층의 주담대 및 신용대출 증가 기여율은 2018~2019년 1.5%에서 지난해 이후 6.6%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 증가 기여율은 8.3%에서 13.7%로 대폭 확대됐다. 올해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 중 청년층의 거래비중은 36.6%를 기록했다.
이정욱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은 "전세자금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외에 신용대출 증가세도 확대되고 있다"며 "주담대의 경우 주택가격 상승세가 지속된 영향으로, 매입거래 비중이 높은 점을 볼 때 상당 부분 주담대 증가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래·KB·NH·한투·키움·유안타 등 주요 증권사에서 지난해 신규계좌(723만개) 중 20~30대 비중은 54%(392만개)나 차지한다.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투자 등과 같은 기타 목적의 비중(20대 25.3%, 30대 20.7%)도 확대되는 양상이다.
문제는 청년층의 경우, 대출을 갚기 위해 쓸 돈을 줄여야 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는 점이다. 가계부채가 소비를 제약하는 임계수준에 이르렀는 지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소득대비부채비율(LTI)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2030대의 경우 DSR 기준으로 임계수준을 넘은 차주의 비중은 9.0%에 달했다. 청년 10명 중 1명은 대출금을 부담하기 위해선 소비까지 줄여야 한다는 의미다. 다른 연령층인 40대(5.6%), 50대(5.4%), 60·70대(4.4%)와 비교하면 청년 층의 임계차주 비중이 높다는 점이 더 두드러진다.
추가로 청년층의 경우 취약차주 비중도 다른 연령층보다 높다는 점에서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이 더 크다. 청년층 취약차주 비중은 올해 2분기 기준 6.8%다. 저소득 차주 비중은 올해 2분기 24.1%로 다른 연령층(14.4%)에 비해 높은 편이다. 취약차주는 3건 이상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차주를 의미한다.
이정욱 금융안정국장은 "청년층 가계부채의 경우 금리가 낮은 은행 비중이 높지만, 가계부채가 소득증가세에 비해 과도하다"며 "다른 계층보다 소득수준도 낮고 자산가격 조정 위험에 대비한 금융자산 축적 정도도 낮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짚었다.
빚투와 같은 투기수요는 금융당국이 직접 차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은 (다른 연령에 비해) 상환 능력이 낮아 자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 청년층의 파산이 이어질 수 있다"며 "투기적 수요층에 대해선 자금공급 차단 및 금융교육 강화 등 투기수요 차단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추가로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높아지면서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은은 "과도한 위험·수익추구 성향을 완화하기 위해 금융완화 정도를 축소하는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금융 불균형 심화, 경기회복 움직임 등 달라진 금융·경제여건에 맞춰 일부 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해야 한다"며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 최근 공기업에 취업한 20대 B씨는 빚투(빚내서 투자)를 위해 대출을 알아보고 있다. 공제회는 물론 시중은행에서도 연봉 만큼의 대출을 받아 9000만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렇게 모인 투자금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채권 비중이 높은 포트폴리오로 굴릴 예정이다. 그는 연 수익률이 7%를 기록한다면 한 두달치 월급을 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30 청년층이 영끌과 빚투에 나서면서 전체 가계부채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25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2021년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청년층(20~30대) 가계부채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2.8%를 기록했다. 다른 연령층의 증가율(7.8%)을 크게 뛰어넘은 수준이다.
청년층의 가계대출은 은행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올해 2분기 기준 은행권 대출은 전체 대출의 69.8%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대출서비스 경쟁이 심화되면서 모바일 활용도가 높은 청년층의 은행권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상반기 신규 신용대출 중 비대면 비중은 하나은행(88%),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이 각각 67.3%, 61%로 높은 편이었다.
전세자금대출 비중은 25.2%로 다른 연령층(7.8%)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청년층의 전월세 거주 비중이 높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증가세도 확대되고 있다. 청년층의 주담대 및 신용대출 증가 기여율은 2018~2019년 1.5%에서 지난해 이후 6.6%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 증가 기여율은 8.3%에서 13.7%로 대폭 확대됐다. 올해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 중 청년층의 거래비중은 36.6%를 기록했다.
이정욱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은 "전세자금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외에 신용대출 증가세도 확대되고 있다"며 "주담대의 경우 주택가격 상승세가 지속된 영향으로, 매입거래 비중이 높은 점을 볼 때 상당 부분 주담대 증가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2분기 신용대출, '빚투'로 20.1% 늘어…청년 임계차주 비중은 9% 달해
청년층은 주식투자를 위해 신용대출도 늘리고 있다. 청년층의 신용대출 증가율은 올해 2분기 기준 20.1%를 기록했다. 2020년 이후 주가 상승 및 주요 기업의 기업공개(IPO) 등 영향으로 개인의 주식투자가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실제로 미래·KB·NH·한투·키움·유안타 등 주요 증권사에서 지난해 신규계좌(723만개) 중 20~30대 비중은 54%(392만개)나 차지한다.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투자 등과 같은 기타 목적의 비중(20대 25.3%, 30대 20.7%)도 확대되는 양상이다.
문제는 청년층의 경우, 대출을 갚기 위해 쓸 돈을 줄여야 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는 점이다. 가계부채가 소비를 제약하는 임계수준에 이르렀는 지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소득대비부채비율(LTI)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2030대의 경우 DSR 기준으로 임계수준을 넘은 차주의 비중은 9.0%에 달했다. 청년 10명 중 1명은 대출금을 부담하기 위해선 소비까지 줄여야 한다는 의미다. 다른 연령층인 40대(5.6%), 50대(5.4%), 60·70대(4.4%)와 비교하면 청년 층의 임계차주 비중이 높다는 점이 더 두드러진다.
추가로 청년층의 경우 취약차주 비중도 다른 연령층보다 높다는 점에서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이 더 크다. 청년층 취약차주 비중은 올해 2분기 기준 6.8%다. 저소득 차주 비중은 올해 2분기 24.1%로 다른 연령층(14.4%)에 비해 높은 편이다. 취약차주는 3건 이상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차주를 의미한다.
이정욱 금융안정국장은 "청년층 가계부채의 경우 금리가 낮은 은행 비중이 높지만, 가계부채가 소득증가세에 비해 과도하다"며 "다른 계층보다 소득수준도 낮고 자산가격 조정 위험에 대비한 금융자산 축적 정도도 낮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짚었다.
빚투와 같은 투기수요는 금융당국이 직접 차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은 (다른 연령에 비해) 상환 능력이 낮아 자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 청년층의 파산이 이어질 수 있다"며 "투기적 수요층에 대해선 자금공급 차단 및 금융교육 강화 등 투기수요 차단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추가로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높아지면서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은은 "과도한 위험·수익추구 성향을 완화하기 위해 금융완화 정도를 축소하는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금융 불균형 심화, 경기회복 움직임 등 달라진 금융·경제여건에 맞춰 일부 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해야 한다"며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