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보다 더 센 '엔플레이션'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 탄소배출권·친환경 인재 채용
ESG 경영 집중할수록 부담 커져
결국 소비자 가격에 전가 불가피
각국 탄소중립 전환 비용도 늘어
2030년까지 32조달러 안팎 예상
"금리 올려도 高물가 안꺾일 듯"
ESG 경영 집중할수록 부담 커져
결국 소비자 가격에 전가 불가피
각국 탄소중립 전환 비용도 늘어
2030년까지 32조달러 안팎 예상
"금리 올려도 高물가 안꺾일 듯"
세계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집중할수록 소비자물가가 오를 것이란 주장이 나왔다. 기업이 친환경사업 등에 투자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 상품 가격에까지 영향을 받을 것이란 의미다. ESG의 환경(environment)과 인플레이션을 결합한 ‘엔플레이션’ 시대다. 엔플레이션이 본격화하면 물가 상승세가 일시적으로 끝나긴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샤는 이달 중순 보고서를 통해 엔플레이션 위험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기업의 환경 비용이 늘었지만 투자자들이 이를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항공사 전력회사 제조회사 등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유럽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비용을 부과하는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그동안 면제 대상이던 유럽연합(EU) 내 기업도 2026년부터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새 조치에 따라 EU 소속 철강기업은 이익의 60% 정도를 지출해야 한다고 자산운용사 라자드는 분석했다. 탄소배출권 가격이 오르는 것도 문제다. 런던대 연구팀은 2030년 탄소배출권 구입 비용이 지금의 10배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ESG 맞춤형 인재를 찾는 데도 어려움이 많다. 영국 고용 분야 싱크탱크인 온워드에 따르면 순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신규 일자리에 채용된 근로자는 영국 평균보다 18% 높은 임금을 받았다. 연구개발(R&D) 투자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부담이다.
기업들이 이런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면 비싼 상품 가격을 바꿔 붙이는 ‘스티커 쇼크’가 가계 경제를 위협할 수 있다. 매출 감소를 우려해 가격을 동결하면 단기적으로 기업 수익과 주주 배당금 등이 줄어든다. 기업 가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각국이 2050~207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히면서 순제로 비용도 베일을 벗고 있다. 2030년까지 세계적으로 32조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문제가 해소돼 유무형 이익이 생기지만 이를 위한 사회 비용도 늘어난다. 필 올란도 페더레이티드에르메스 수석전략가는 “ESG 혁명은 Fed가 금리를 올리더라도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녹색 전환 비용이 인플레 부채질”
미국 자산운용사인 프린서플글로벌인베스터스의 시마 샤 수석전략가는 23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많은 중앙은행이 물가를 논할 때 기후문제 해결 비용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ESG 전환 비용이 소비자물가를 높일 것이란 뜻이다. 그는 “미 중앙은행(Fed)이 물가 전망에서 ‘E(환경)’의 영향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고도 했다.샤는 이달 중순 보고서를 통해 엔플레이션 위험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기업의 환경 비용이 늘었지만 투자자들이 이를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항공사 전력회사 제조회사 등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유럽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비용을 부과하는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그동안 면제 대상이던 유럽연합(EU) 내 기업도 2026년부터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새 조치에 따라 EU 소속 철강기업은 이익의 60% 정도를 지출해야 한다고 자산운용사 라자드는 분석했다. 탄소배출권 가격이 오르는 것도 문제다. 런던대 연구팀은 2030년 탄소배출권 구입 비용이 지금의 10배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친환경 인재, 인건비 부담 높아
기후 변화 목표에 미달한 기업엔 처벌이 강화돼 경영환경이 악화할 위험도 있다. 모건스탠리의 순제로추적기에 따르면 기업 생산활동 등은 지구 온도를 3도 높이고 있다. 2015년 파리협정에서 약속한 지구 온도 상승 제한폭(1.5도)의 두 배다. 환경문제 책임을 기업에 묻는 판결도 늘었다. 올해 5월 네덜란드 법원으로부터 탄소배출량 감소 명령을 받은 로열더치셸이 대표적이다.ESG 맞춤형 인재를 찾는 데도 어려움이 많다. 영국 고용 분야 싱크탱크인 온워드에 따르면 순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신규 일자리에 채용된 근로자는 영국 평균보다 18% 높은 임금을 받았다. 연구개발(R&D) 투자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부담이다.
기업들이 이런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면 비싼 상품 가격을 바꿔 붙이는 ‘스티커 쇼크’가 가계 경제를 위협할 수 있다. 매출 감소를 우려해 가격을 동결하면 단기적으로 기업 수익과 주주 배당금 등이 줄어든다. 기업 가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탄소중립 전환 국가 비용도 증가
코로나19 이후 유럽이 천연가스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 가격이 치솟았다. 녹색에너지 전환으로 화석연료 투자가 줄어든 것은 가격 상승을 부채질한 원인 중 하나다. 유가가 오르자 상품 가격도 급등했다. 그린플레이션이다. 여기에 엔플레이션까지 더해지면 물가가 안정을 찾는 건 요원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세바스티안 갈리 노르디아자산운용 수석전략가는 “ESG 비용 부담이 늘고 석유와 천연가스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10년간 물가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각국이 2050~207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히면서 순제로 비용도 베일을 벗고 있다. 2030년까지 세계적으로 32조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문제가 해소돼 유무형 이익이 생기지만 이를 위한 사회 비용도 늘어난다. 필 올란도 페더레이티드에르메스 수석전략가는 “ESG 혁명은 Fed가 금리를 올리더라도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