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노총은 "사회적 책임 다하라"는 노동운동 선배 말 듣고 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국정감사에서 경사노위에 불참하고 있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에 대한 질의가 나오자 “(민노총도) 사회적 책임을 갖고 그에 맞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1993년 민노총 전신인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사무총장을 지내며 민노총 출범의 산파 역할을 한 ‘노동계 대부’로 통한다. 자신들의 생각과 조금이라도 다르면 사회적 대화를 거부하고 툭하면 불법·폭력을 자행하는 민노총이 노동운동 선배의 충고를 귀담아 들을지 의문이다.
문 위원장은 지난 5월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도 민노총을 향해 “사회적 대화의 첫 번째 덕목은 주고받는 것인데 이를 거부한다면 경사노위에 올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아들·딸 세대의 일자리를 위해서라도 대기업 정규직 노조가 임금 인상을 자제하고 기득권을 내려놔야 한다”고도 했다.
민노총에 쓴소리를 한 선배 노동운동가는 문 위원장만이 아니다. 1995년 민노총 출범 당시 준비위원회 멤버였던 홍영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항상 폭력적 방식이고 자기들 생각을 100% 강요하려 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민노총 위원장을 지낸 이석행 한국폴리텍대 이사장도 “일자리가 있어야 노동운동도 있다”고 에둘러 비판했지만 달라질 기미가 안 보인다.
문 위원장도 고백했듯이 민노총은 더 이상 사회적 약자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 사회에서 불법·폭력 시위를 일삼으며 무소불위 행태를 보이는 유일한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는 정부와 여당의 책임도 크다. 친노동 정책이 쏟아지면서 노사관계가 기울다 못해 뒤집어졌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민노총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앞선 노동운동가들의 말을 들으려 하겠는가. 민노총이 반대하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경사노위의 인적 구성과 의결구조, 편향된 노동정책부터 바로잡는 게 시급하다.
문 위원장은 지난 5월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도 민노총을 향해 “사회적 대화의 첫 번째 덕목은 주고받는 것인데 이를 거부한다면 경사노위에 올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아들·딸 세대의 일자리를 위해서라도 대기업 정규직 노조가 임금 인상을 자제하고 기득권을 내려놔야 한다”고도 했다.
민노총에 쓴소리를 한 선배 노동운동가는 문 위원장만이 아니다. 1995년 민노총 출범 당시 준비위원회 멤버였던 홍영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항상 폭력적 방식이고 자기들 생각을 100% 강요하려 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민노총 위원장을 지낸 이석행 한국폴리텍대 이사장도 “일자리가 있어야 노동운동도 있다”고 에둘러 비판했지만 달라질 기미가 안 보인다.
문 위원장도 고백했듯이 민노총은 더 이상 사회적 약자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 사회에서 불법·폭력 시위를 일삼으며 무소불위 행태를 보이는 유일한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는 정부와 여당의 책임도 크다. 친노동 정책이 쏟아지면서 노사관계가 기울다 못해 뒤집어졌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민노총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앞선 노동운동가들의 말을 들으려 하겠는가. 민노총이 반대하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경사노위의 인적 구성과 의결구조, 편향된 노동정책부터 바로잡는 게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