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정의 교육과세상] 5.96% 대 100%, 코로나 시대 학습격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사고는 온라인 양방향 수업에 과제 피드백까지
일반고는 강의 동영상 혼자 보고 과제하는 형태
상호작용 없는 강의 위주 교육 패러다임을 바꿔야
이혜정 < 교육과혁신연구소장 >
일반고는 강의 동영상 혼자 보고 과제하는 형태
상호작용 없는 강의 위주 교육 패러다임을 바꿔야
이혜정 < 교육과혁신연구소장 >
5.96% 대 100%. 코로나19 사태로 전국의 학교가 온라인 학습 체제로 바뀐 이후 일반학교와 학비를 내고 선택해서 가는 비일반학교(자율형사립고·특수목적고·사립초·국제학교 등)의 실시간 수업 비율이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지난해 9월 발표한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 교사·학생·학부모 85만여 명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실시간 양방향 온라인 수업은 5.96%에 불과했다. 대다수 수업이 강의 동영상을 혼자 보고 과제를 하는 형태였다. 물론 상호작용은 비실시간으로도 가능하다. 제출한 과제에 대해 교사가 이메일로 피드백을 하면 그것도 좋은 상호작용일 수 있다. 문제는 이 같은 피드백이 제대로 안 된다는 것이다.
서울교육청이 지난달 공개한 ‘서울시 초·중등학교 코로나19 대응 원격교육 현황 조사 연구’에 의하면, 서울 시내 교사들(1311명 대상 설문조사)은 원격수업으로 부여하는 과제가 늘었지만 실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은 4분의 1 정도라 했다. 이들 교사의 84%는 학습 격차가 커졌다고 응답했다.
반면, 상당수 자사고·특목고·사립초·국제학교 등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해 학비를 내고 가는 비일반학교들은 온라인 교육 전환 이후 100% 실시간 양방향 수업을 하고, 과제에 대해 100% 피드백을 제공했다. 일반학교 내 중하위권과 상위권의 학습 격차도 심각하지만, 일반학교와 비일반학교의 학습 격차는 더욱 심각하다. 원인이 뭘까?
일반학교는 ‘그래도 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현재 대다수 일반학교의 수업은 실시간 양방향 상호작용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 평가 방식이 실시간 상호작용 없이 혼자 EBS 강의나 인터넷 강의를 듣고 시험을 봐도 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비판적·창의적 사고력을 요하는 시험이 아니라 주어진 내용을 잘 이해하고 문제풀이만 반복하면 되는 시험은 실시간 상호작용 없이 ‘1타 강사’의 설명을 듣는 것이 더 낫다.
그래서 학생들도, 특히 고학년일수록 실시간 수업이 필요없다는 인식이 높다. 지난해 10월 서울경제와 종로학원하늘교육이 초·중·고 학생 16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고등학생의 61%가 실시간 원격수업에 부정적이었다. 교사들조차 실시간 수업이 꼭 효과적이지만은 않다는 입장이다. 수업 형태가 일방향 강의 전달 위주이면 양방향 상호작용은 필요 없으니 굳이 실시간일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열심인 교사들은 EBS 동영상만 아니라 본인이 자체 제작한 강의 동영상을 보라고 한다. 하지만 강의 영상 제작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써서 정작 수업 시간에는 아이들에게 집중하지 못한다고 고백하기도 한다. 교사들은 원격교육 전환 이후 가장 큰 고충이 콘텐츠 제작이라고 할 정도로 고생을 많이 한다. 그런데 100% 실시간 상호작용 수업을 하는 비일반학교 교사들은 자체 강의 동영상 제작률이 0%다. 일선의 교사들은 강의 영상을 제작하느라 열심히 뛰고 있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맞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걸까?
시스템도 거든다. 대면 수업에서는 EBS 동영상 링크와 과제만 내주고 교사가 교실을 떠나면 수업시수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일방향 전달 강의라도 교실을 떠나지 않고 수업한다. 그런데 온라인 환경에서는 과제만 내주고 수업을 안 해도 수업시수로 인정해 준다. 즉, 실시간 양방향 수업이 5.96%밖에 안 되는 것은 우리 교육이 지식을 ‘집어넣는’ 패러다임이라 굳이 ‘꺼내는’ 상호작용 수업이 필요 없기 때문이고, 동영상 링크만 전달해줘도 수업으로 인정되기 때문이며, 학생들의 과제에 피드백해주지 않아도 허용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교육부는 실시간 양방향 수업이 부족하다며 해결책으로 원격교육 기간에 조·종례를 실시간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진단도 처방도 완전히 틀렸다. 국가 교육과정이 목표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려면 교육 패러다임 자체가 지식을 일방향으로 ‘집어넣는 교육’에서 생각을 ‘꺼내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시간 수업도, 상호작용 수업도 절실하지 않다. 그러니 교육부가 실시간 양방향 수업을 고작 20~30% 늘리겠다는 지침에 학생도, 학부모도, 교사도 반발하는 것이다.
서울교육청이 지난달 공개한 ‘서울시 초·중등학교 코로나19 대응 원격교육 현황 조사 연구’에 의하면, 서울 시내 교사들(1311명 대상 설문조사)은 원격수업으로 부여하는 과제가 늘었지만 실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은 4분의 1 정도라 했다. 이들 교사의 84%는 학습 격차가 커졌다고 응답했다.
반면, 상당수 자사고·특목고·사립초·국제학교 등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해 학비를 내고 가는 비일반학교들은 온라인 교육 전환 이후 100% 실시간 양방향 수업을 하고, 과제에 대해 100% 피드백을 제공했다. 일반학교 내 중하위권과 상위권의 학습 격차도 심각하지만, 일반학교와 비일반학교의 학습 격차는 더욱 심각하다. 원인이 뭘까?
일반학교는 ‘그래도 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현재 대다수 일반학교의 수업은 실시간 양방향 상호작용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 평가 방식이 실시간 상호작용 없이 혼자 EBS 강의나 인터넷 강의를 듣고 시험을 봐도 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비판적·창의적 사고력을 요하는 시험이 아니라 주어진 내용을 잘 이해하고 문제풀이만 반복하면 되는 시험은 실시간 상호작용 없이 ‘1타 강사’의 설명을 듣는 것이 더 낫다.
그래서 학생들도, 특히 고학년일수록 실시간 수업이 필요없다는 인식이 높다. 지난해 10월 서울경제와 종로학원하늘교육이 초·중·고 학생 16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고등학생의 61%가 실시간 원격수업에 부정적이었다. 교사들조차 실시간 수업이 꼭 효과적이지만은 않다는 입장이다. 수업 형태가 일방향 강의 전달 위주이면 양방향 상호작용은 필요 없으니 굳이 실시간일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열심인 교사들은 EBS 동영상만 아니라 본인이 자체 제작한 강의 동영상을 보라고 한다. 하지만 강의 영상 제작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써서 정작 수업 시간에는 아이들에게 집중하지 못한다고 고백하기도 한다. 교사들은 원격교육 전환 이후 가장 큰 고충이 콘텐츠 제작이라고 할 정도로 고생을 많이 한다. 그런데 100% 실시간 상호작용 수업을 하는 비일반학교 교사들은 자체 강의 동영상 제작률이 0%다. 일선의 교사들은 강의 영상을 제작하느라 열심히 뛰고 있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맞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걸까?
시스템도 거든다. 대면 수업에서는 EBS 동영상 링크와 과제만 내주고 교사가 교실을 떠나면 수업시수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일방향 전달 강의라도 교실을 떠나지 않고 수업한다. 그런데 온라인 환경에서는 과제만 내주고 수업을 안 해도 수업시수로 인정해 준다. 즉, 실시간 양방향 수업이 5.96%밖에 안 되는 것은 우리 교육이 지식을 ‘집어넣는’ 패러다임이라 굳이 ‘꺼내는’ 상호작용 수업이 필요 없기 때문이고, 동영상 링크만 전달해줘도 수업으로 인정되기 때문이며, 학생들의 과제에 피드백해주지 않아도 허용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교육부는 실시간 양방향 수업이 부족하다며 해결책으로 원격교육 기간에 조·종례를 실시간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진단도 처방도 완전히 틀렸다. 국가 교육과정이 목표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려면 교육 패러다임 자체가 지식을 일방향으로 ‘집어넣는 교육’에서 생각을 ‘꺼내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시간 수업도, 상호작용 수업도 절실하지 않다. 그러니 교육부가 실시간 양방향 수업을 고작 20~30% 늘리겠다는 지침에 학생도, 학부모도, 교사도 반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