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기업 부채도 500조…1000조 나랏빚만큼 위험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전력과 6개 발전자회사 등 에너지공기업 일곱 곳의 부채가 문재인 정부 들어 급증하고 있다는 한경 보도(9월 4일자 A 1·8면 참조)다. 박근혜 정부 4년(2014~2017년) 내내 100조원대 초반에서 횡보하던 부채가 돌연 급증세로 전환해 작년 말 130조4700억원까지 치솟았다. 탈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으로 인해 60원 선이던 ㎾h당 전력 생산비용이 120원으로 두 배가량 뛰며 적자가 누적된 결과다.
에너지 전환의 본격 후폭풍은 이제 막 시작이다. 권명호 의원이 7개 에너지공기업의 중장기 재무 전망을 받아 보니 2025년 예상 부채가 165조원에 달했다. 작년 말 187%이던 부채비율이 2025년 237%로 더욱 뜀박질한다는 의미다.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의 추가 비용이 8조원이고, ‘한전공대’ 설립비 8000억원과 개교 후 운영비 6100억원도 한전과 자회사 몫이다.
에너지를 넘어 공기업 전반의 상황을 보면 더 암울하다. 기획재정부는 주요 공공기관 50곳의 올해 말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30%에 가까운 549조6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을 지난 주말 국회에 제출했다. 부동산정책 실패의 방패막이로 공공주택 개발에 동원되고 있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부채만도 141조원으로 추정했다. 이처럼 빚에 허덕이다 보니 2016년 약 9조원이던 공기업(36곳 기준) 순이익도 작년에는 6000억원 적자로 추락했다. ‘알짜 공기업’ 인천공항공사가 코로나 팬데믹(대유행)과 무리한 정규직 전환 등이 겹치며 지난해 4000억원대 손실을 입은 데서 보듯 공기업 부실은 확산일로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몇 달 전에도 ‘수술 대상’인 LH에 무경력 청와대 비서관 등을 꽂는 등 낙하산 투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공기업 정상화 의지는 눈을 씻고 봐도 찾기 힘들다.
공기업 부채는 공식 통계에는 빠지지만 엄연한 국가부채다. 부실 공기업이 빚을 낼 수 있는 이유도 정부의 사실상 지급보증이 있기에 가능하다. 지난 4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공기업 부채로 재정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한국은 공기업 비중이 기형적으로 높아 국가부채 분식 통로로 악용된다는 비판이 나온 지 오래다. 정부가 2017년 ‘공사채 총량제’를 전격 폐지했고, 이후 부채가 급증하는 양상도 뚜렷하다. 올해 1000조원 돌파가 예고된 나랏빚 못지않게 위험한 공기업 채무를 국가부채 체계에 넣어 고강도 억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에너지 전환의 본격 후폭풍은 이제 막 시작이다. 권명호 의원이 7개 에너지공기업의 중장기 재무 전망을 받아 보니 2025년 예상 부채가 165조원에 달했다. 작년 말 187%이던 부채비율이 2025년 237%로 더욱 뜀박질한다는 의미다.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의 추가 비용이 8조원이고, ‘한전공대’ 설립비 8000억원과 개교 후 운영비 6100억원도 한전과 자회사 몫이다.
에너지를 넘어 공기업 전반의 상황을 보면 더 암울하다. 기획재정부는 주요 공공기관 50곳의 올해 말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30%에 가까운 549조6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을 지난 주말 국회에 제출했다. 부동산정책 실패의 방패막이로 공공주택 개발에 동원되고 있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부채만도 141조원으로 추정했다. 이처럼 빚에 허덕이다 보니 2016년 약 9조원이던 공기업(36곳 기준) 순이익도 작년에는 6000억원 적자로 추락했다. ‘알짜 공기업’ 인천공항공사가 코로나 팬데믹(대유행)과 무리한 정규직 전환 등이 겹치며 지난해 4000억원대 손실을 입은 데서 보듯 공기업 부실은 확산일로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몇 달 전에도 ‘수술 대상’인 LH에 무경력 청와대 비서관 등을 꽂는 등 낙하산 투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공기업 정상화 의지는 눈을 씻고 봐도 찾기 힘들다.
공기업 부채는 공식 통계에는 빠지지만 엄연한 국가부채다. 부실 공기업이 빚을 낼 수 있는 이유도 정부의 사실상 지급보증이 있기에 가능하다. 지난 4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공기업 부채로 재정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한국은 공기업 비중이 기형적으로 높아 국가부채 분식 통로로 악용된다는 비판이 나온 지 오래다. 정부가 2017년 ‘공사채 총량제’를 전격 폐지했고, 이후 부채가 급증하는 양상도 뚜렷하다. 올해 1000조원 돌파가 예고된 나랏빚 못지않게 위험한 공기업 채무를 국가부채 체계에 넣어 고강도 억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