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의 제롬 파월 의장이 잇달아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것임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28일(현지시간) 상원청문회에 이어 29일 유럽중앙은행(ECB) 주최 포럼에서도 “물가상승이 예측했던 것보다 강도가 세고 지속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경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확실히 대응할 것”이라고도 했다.

“인플레는 일시적”이라는 견해를 되풀이했던 그가 이처럼 입장을 바꾼 것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은 물론 금리인상 시기도 당초 예상보다 당겨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최근 미 국채금리가 급등하고 글로벌 증시가 출렁거리는 것도 유동성이 조만간 말라버릴지 모른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혹시 미국 경제가 ‘긴축 발작’이라도 일으킨다면 이는 우리 경제에도 직격탄이 된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마침 정부는 어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가계부채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고 실수요자들도 상환 범위 내에서 대출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가 이 자리에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금리인상 리스크를 언급하고 위험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거론한 것은 나름 시의적절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가계부채 억제에만 초점을 맞춘 게 타당했는지는 의문이다. 내년이면 국가채무가 1000조원을 돌파하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도 50%를 넘게 된다. 가계 기업 등 민간부문 빚은 이미 3000조원을 넘어섰다. ‘빚 주도 경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경기침체와 코로나 충격을 천문학적 빚을 내 잠시 무마시키고 있을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글로벌 긴축 발작으로 금리인상이 본격화하면 부채 이자부담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이는 경제에 치명적일 수 있다. 홍 부총리는 “우리 경제가 비교적 견조한 회복 흐름을 보여왔다”고 자화자찬했지만 그렇게 여유 부릴 때가 아니다. 8월 중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전월보다 감소했고, 특히 생산은 두 달 연속 줄었다. 최근 증시 부진이 부동산 등 자산시장 전체로 확산될 경우 상상 못 할 충격이 올 수도 있다.

그런데도 선거를 앞두고 이익집단 눈치를 보는지, 정부는 구조조정이나 경제 체질개선에는 관심이 없는 듯하다. ‘현 정부 출범 후 경제가 악화됐다’는 응답이 62%라는 여론조사(추경호 국민의힘 의원)가 나온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 유동성 수축기를 맞아 거시·금융정책의 전반적 재점검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