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감염 확산세가 악화일로다. 어제 신규 확진자(5123명)와 위중증 환자(723명) 모두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세계로 빠르게 퍼지고 있는 새 변이 오미크론 감염 확진자도 나와 국내 확산은 시간문제라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그런데도 정부의 대응능력은 갈수록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걱정이 크다.

확진자 수 증가는 정부가 지난달부터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를 시행하면서 예견됐던 것이다. 문제는 인공호흡기, 인공심폐장치 등이 필요한 위중증 환자가 폭증하면서 병실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서울의 코로나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비상계획 긴급검토 조건인 75%를 넘어 91%에 다다랐다. 의료체계가 붕괴 직전이다. 정부는 ‘위드 코로나’ 전환 때 ‘5000명, 1만 명 확진까지 대비한다’고 장담해 놓고 대체 뭘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전문가들은 지난해부터 넓은 공터를 활용해 임시병상을 늘리자고 숱하게 제안했으나 아무런 대비를 하지 않은 정부의 무능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

백신 접종도 마찬가지다. 위중증 환자의 84.4%, 어제 사망자(34명) 전원이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이들의 백신 접종 완료율은 95%에 달하지만 대부분 돌파감염이다. 이들이 주로 맞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은 3개월만 지나면 항체 수치가 절반 이하로 떨어지는데도 정부는 추가 접종(부스터샷) 간격을 6개월로 고수하다 최근에야 4개월로 단축했다. 백신 도입이 뒷북이더니 부스터샷도 실기(失機)한 것이다.

그런데도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라곤 ‘신규 확진자 재택치료’ 이외에 눈에 띄는 게 없다. ‘무대책이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재택치료 자체도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집안에서 가족과 거리두기가 쉽지 않고, 아파트 엘리베이터·환풍구나 의료폐기물을 통한 감염, 재택치료 중 증상 악화 시 신속한 응급병상 확보 등 우려되는 게 한둘이 아니다. 희망자에 한해 시행한 재택치료 중 병세가 악화됐는데도 제때 병원에 못 가 숨지는 사례까지 나온 마당이다.

정부는 상황이 악화되면 거리두기 강화 등의 조정이 있을 수 있다고 하지만 자영업자들의 고통을 감안한다면 ‘위드 코로나’를 되돌리는 게 쉽지 않다. 요양병원 등 집단감염 위험이 큰 곳에 대한 철저한 방역과 부스터샷 조기 접종, 적극적인 병상 확보, 청소년 접종률 높이기 등에 만전을 기하는 게 급선무다. 국민 개개인도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지켜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