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속속 진용을 갖춰 가고 있다. 어제까지 총 7개 분과 중 기획조정, 경제1, 외교안보, 정무사법행정 등 4개 분과 간사와 인수위원 인선을 매듭지었다. 나머지 3개 분과도 곧 마무리해 이르면 주말부터 새 정부 구성 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윤 당선인은 “일 잘하는 정부, 능력 있는 정부로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며 각 분야 최고의 경륜과 실력 있는 사람들로 인수위를 구성하겠다는 원칙을 선언한 바 있다. 특히 여성 할당·지역 안배 등 기계적 형평을 배제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올바른 방향이며, 지금까지 임명된 인사들 면면을 볼 때 이런 원칙이 잘 지켜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제1분과 간사를 맡은 최상목 농협대 총장은 30년간 경제부처 요직을 두루 거치고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 경험도 있는 정통 경제관료다. 함께 인수위원으로 참여한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신성환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는 강단 외에도 다양한 경험을 쌓은 금융 전문가들이다. 이 중 김 교수만 윤 당선인의 선대본부 출신으로, 정실을 벗어나 인재 발탁의 외연을 넓히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이던 시절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부정 의혹’ 사건 수사를 비판한 회계 전문가 최종학 서울대 교수를 기획조정분과위원에 임명한 것은 ‘실력만 본다’는 원칙의 좋은 예로 꼽히고 있다. 진보 진영에서조차 비선(秘線) 인맥이나 ‘깜짝 인사’에 기대지 않고 검증된 인물들로 납득할 만한 인사를 하고 있다는 긍정적 반응이 나온다.

문제는 이런 인사 원칙을 향후 내각 및 대통령실 참모 구성 과정에서도 견지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선거 논공행상의 잡음과 정실인사의 유혹은 늘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가 유능한 인재를 삼고초려 한다고 해 놓고는, 실제론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등 정실과 논공행상으로 인사를 그르친 사례를 숱하게 봐온 터라 더욱 그렇다. 이런 점에서 윤 당선인이 정치 입문 1년도 안 됐다는 사실은 장점이 될 수 있다. ‘여의도 셈법’을 모르는 그는 기존 정치권에 빚진 게 덜한 만큼 구태의연한 인사에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인사만사(人事萬事)’ ‘초심불망(初心不忘)’을 임기 내 좌우명으로 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