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파월 쇼크'…금리 인상폭·환율방어 이중 고민 커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중앙은행(Fed) 제롬 파월 의장의 “또 한 번 이례적으로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는 발언으로 미국 증시가 요동쳤다. 지난 26일 열린 연례 국제경제 심포지엄 ‘잭슨홀 회의’에서 그는 9분간의 짧은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라는 말을 46차례나 언급했다. 시장에선 다음달 3회 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단행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돼 뉴욕증시가 3% 이상 급락했다.
Fed가 이렇게 움직이면 한국은행도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수 없다. Fed가 다음달 0.75%포인트 인상에 나선다면 현재 미국과 비슷한 수준인 한국 기준금리(연 2.5%)를 훌쩍 뛰어넘기 때문이다. 한·미 간 금리 역전 폭이 벌어지면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한은도 연말까지 두 차례 남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지나갈 ‘여유’가 사라진 셈이다. 하지만 집값 하락세 등 한층 뚜렷해진 경기 침체를 고려할 때 미국처럼 자이언트스텝을 밟기 어렵다는 게 한은의 고민일 것이다.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으로 미국과의 간격을 줄이면서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하고 신축적인 기조를 유지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어 보인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잭슨홀 회의 직후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 발언 때문에 한국 기준금리를 더 빠르게 올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당초 경제 전망대로 간다면 현재 금리 인상 속도를 유지하겠다”고 한 말에서 여러 상황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금리 문제는 한은이 가계부채와 한계기업의 실상을 함께 고려하면서 좀 더 책임감 있게 풀어갈 수밖에 없다.
이처럼 통화정책 운용 폭이 제한된 데다 정부 재정마저 한계에 이른 상황에선 안정적 환율 운용이 현실적으로 더 중요할 수 있다. 원·달러 환율은 이미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데,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 상승 압력이 더 커진다. 환율 상승은 예전과 같은 수출 증대 효과보다는 수입 비용을 늘려 물가를 끌어올리는 부작용을 더 크게 내고 있다. 환율이 과도하게 치솟지 않도록 외환당국이 좀 더 긴장해야 한다. 가수요나 투기적 움직임에는 적극적으로 선제적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원론적으로 환율은 한 나라의 대외적 역량과 경제 체력에 달린 문제다. 원화가 불필요하게 저평가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동시에 과감한 구조개혁과 규제혁신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것도 주요한 외환대책이 된다.
Fed가 이렇게 움직이면 한국은행도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수 없다. Fed가 다음달 0.75%포인트 인상에 나선다면 현재 미국과 비슷한 수준인 한국 기준금리(연 2.5%)를 훌쩍 뛰어넘기 때문이다. 한·미 간 금리 역전 폭이 벌어지면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한은도 연말까지 두 차례 남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지나갈 ‘여유’가 사라진 셈이다. 하지만 집값 하락세 등 한층 뚜렷해진 경기 침체를 고려할 때 미국처럼 자이언트스텝을 밟기 어렵다는 게 한은의 고민일 것이다.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으로 미국과의 간격을 줄이면서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하고 신축적인 기조를 유지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어 보인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잭슨홀 회의 직후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 발언 때문에 한국 기준금리를 더 빠르게 올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당초 경제 전망대로 간다면 현재 금리 인상 속도를 유지하겠다”고 한 말에서 여러 상황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금리 문제는 한은이 가계부채와 한계기업의 실상을 함께 고려하면서 좀 더 책임감 있게 풀어갈 수밖에 없다.
이처럼 통화정책 운용 폭이 제한된 데다 정부 재정마저 한계에 이른 상황에선 안정적 환율 운용이 현실적으로 더 중요할 수 있다. 원·달러 환율은 이미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데,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 상승 압력이 더 커진다. 환율 상승은 예전과 같은 수출 증대 효과보다는 수입 비용을 늘려 물가를 끌어올리는 부작용을 더 크게 내고 있다. 환율이 과도하게 치솟지 않도록 외환당국이 좀 더 긴장해야 한다. 가수요나 투기적 움직임에는 적극적으로 선제적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원론적으로 환율은 한 나라의 대외적 역량과 경제 체력에 달린 문제다. 원화가 불필요하게 저평가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동시에 과감한 구조개혁과 규제혁신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것도 주요한 외환대책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