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소리 둥둥 울려 사람 목숨 재촉하네. 고개 돌려 바라보니 해도 지려 하는구나. 황천에는 주막 한 곳 없다 하니 오늘 밤은 뉘 집에서 묵어갈꼬.
* 성삼문(成三問, 1418~1456) : 조선 전기 문신, 학자. ---------------------------------------------
폭설 속에 절명시를 읽다
성삼문의 절명시는 서늘하면서 뜻이 깊고 여운도 깁니다. 알다시피 그는 집현전 학사 출신으로 목숨 바쳐 신의를 지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죠. 어릴 때부터 문재가 뛰어났고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 창제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신숙주와 함께 당시 요동에 유배 중인 명나라 한림학사 황찬(黃瓚)을 13번이나 찾아가 음운(音韻)을 배워오기도 했지요. 그렇게 연구를 주도하며 1446년 훈민정음 반포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인물입니다.
그러나 운명은 기구했지요. 어린 세손을 부탁한다는 세종의 유지를 받든 그는 수양대군이 단종을 내쫓고 왕위에 오르자 단종 복위 운동을 추진하다 김질의 밀고로 붙잡혀 참수됐습니다. 온 집안이 멸족의 참화를 당했죠. 이 과정에서 평생의 벗이었던 신숙주와 정인지 등은 세조 편으로 돌아섰습니다.
사슬에 묶인 그는 모진 고문을 당하면서도 세조를 ‘진사(進賜, 종친에 대한 호칭)’라 부르며 나무라고 “새 정권의 녹봉은 먹지 않고 별도로 놔두었으니 다시 가져가라”고 호통쳤지요. 고개를 주억거리고 서 있는 신숙주에게도 선왕의 신신당부를 배신한 불충을 꾸짖었습니다.
‘절명시’는 그가 처형을 당하러 가면서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본디 제목은 없지만, 후세 사람들이 절명시라고 이름을 붙였지요. 형장의 북소리가 둥둥 울리는 첫 행은 사형이 집행되기 직전의 음산한 풍경을 보여줍니다. 해가 서산으로 막 넘어가는 일몰의 시간을 통해서는 삶의 마지막 순간을 상징적으로 그리고 있지요.
이 쓸쓸하고 황량한 생의 말미에서 그는 왜 황천길의 주막을 떠올렸을까요? 아마도 이 허망한 세상의 끝을 지나 저승까지 이어지는 길을 또 다른 삶의 여정으로 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살육과 정쟁의 회오리 속에서 온갖 풍상을 겪은 그에게는 역설적이게도 삶과 죽음의 세계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자연스레 연결된 것이었죠. 죽기 전 옛 동료들에게 “너희는 어진 임금을 만나 태평성대를 만들라. 나는 돌아가 옛 임금을 지하에서 뵙겠다”고 한 충절의 뿌리도 여기에 닿아 있습니다.
그러니 현세의 영달도 후세의 명리도 그에겐 한낱 껍데기에 불과했겠죠. 형이 집행된 뒤 집을 살펴보니 세조가 준 녹은 고스란히 쌓여 있었고, 가재라고는 아무것도 없었으며, 방바닥에는 거적자리만 깔려 있었다고 합니다.
이 시가 다른 사람의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패관잡기』의 편자인 어숙권(魚叔權)이 『금헌휘언(今獻彙言)』을 인용하며 “명나라의 손궤(孫蕢)라는 인물이 남옥(藍玉)의 옥사 때 형장으로 끌려가면서 쓴 시”라고 했다는 것인데, 앞부분 한자들은 상당히 다르고 뒷부분 2행만 비슷하군요. 생육신인 남효온(南孝溫)이 『육신전(六臣傳)』을 남기면서 이 시가 성삼문의 것이라고 주석을 단 데서 논란이 시작됐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삼문의 절의(絶義)는 변함없지요. 그가 남긴 시조에도 그 전형이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어 있어/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하리라.’ 오죽하면 매화와 대나무의 강직한 군자 기질을 좋아해 매죽헌(梅竹軒)이라고 호를 지었던 그가 죽어서는 한 그루 키 큰 소나무로 독야청청하겠다고 했을까요.
시인의 언어는 자신의 운명을 담는 성배라고 했는데, 죽음으로 완성한 그의 절명시야말로 가장 슬픈 몸짓으로 빚은 비애의 성배가 아닌가 싶습니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세조: … 저희가 그 옛날 사람들의 입장으로 돌아가 … 세조: 잘 안 되는데요. … 세조: (서류를 들썩이며) 피곤한가?연극에서 ‘객석’과 구분되는 ‘무대’는 ‘극’이 전개되는 공간이다. 극은 등장인물들이 사건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객석에 있는 ‘관객’은 극 밖에서 극을 보는 사람들이다. 관객은 배우가 극에서 인물로 등장했을 때 무대 위에 있는 사람을 배우로 보지 않고 인물로 여긴다. 그런데 이 작품은 극중극의 구조를 보인다. 즉 극 속에 또 다른 극이 펼쳐지는 것이다. 이를 전문용어로 틀극 속에 내부극이 삽입돼 있다고 한다. (가)는 일반 극이고, (나)는 극중극이다.극중극인 경우 배우, 인물, 관객의 관계가 실타래처럼 얽혀 있다. (가)와 달리 (나)의 인물 B, C는 틀극에 있다가 각각 내부극의 인물 D, E가 된다. 물론 D, E는 각각 B, C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한 배우가 틀극과 내부극을 오가며 여러 인물을 연기하는 것이다. 윗글에서 ㉠~㉢의 ‘세조’를 보자. 결론부터 말하면 ㉠, ㉡은 틀극의 인물이고, ㉢은 내부극의 인물로서 ㉢은 ㉠, ㉡과 같은 배우지만 전혀 다른 인물이다. (이 작품에서 ‘학자’를 제외한 나머지 인물들은 ‘학생’이지만, 여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배우’라고 하겠다.) ㉡의 ‘잘 안 되는데요’는 틀극에서 배우라는 인물이 ‘학자’의 지시에 따라 내부극의 세조라는 인물이 되려 했다가 뜻대로 되지 않자 틀극의 배우라는 인물로 다시 돌아와 한 말이다. 학자: … 세조 역은 자네가 맡도록 하게. … 정찬손: (손으로 스위치를 끄는 시늉을 한다.) … (세조와 숙주를 제외한 사람들 퇴장한다.) … 숙주: 전하, 이젠 돌아가 볼 때가 된 것 같습니다.‘숙주’라는 인물도 마찬가지이다. ‘전하, 이젠 돌아가 볼 때가 된 것 같습니다’라는 대사는 내부극에서 말한 것이다. 그러나 이전까지는 틀극에서 배우라는 인물이었을 것이다. ‘정찬손’ ‘성삼문’은 틀극에서 배우라는 인물이었다가, 어느 순간에 내부극에서 각각의 인물로 전환될 것이다. 특히 ‘(손으로 스위치를 끄는 시늉을 한다)’라는 지시문으로 보아, ‘정찬손’은 틀극에서 조명 담당자라는 인물로서도 연기를 한다.한편 틀극이나 내부극에만 존재하는 인물이 있을 수 있다. (나)의 내부극이 인물 D, E로만 구성된다면 A는 내부극으로 들어가지 않은 채 틀극에만 존재할 것이다. 이 작품에서 ‘학자’는 틀극에만 등장하는 인물일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세조 역은 자네가 맡도록 하게. 때는 세조가 즉위한 지 일 년 후로 하지. 자넨 저 위로 올라가게. … 표정이 좀 더 침울했으면 좋겠네.’ ‘정말 배우 같은데? 정군 불이 좀 밝잖아?’라는 대사로 보아, 학자는 연출가(극 밖에서 배우의 연기, 무대 장치, 의상, 조명, 분장 따위의 여러 부분을 종합적으로 지도하여 작품을 완성하는 사람)라는 인물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그리고 내부극이 진행되는 동안 틀극에 남아 있는 인물은 관객이 된다. ‘세조와 숙주를 제외한 사람들 퇴장한다’고 했는데, 내부극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은 극을 바라보는 존재, 관객이 된다. 즉 ‘틀극을 보는 관객’들처럼 ‘내부극을 보는 관객’이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찬손, 학자라는 인물 등은 조명 담당자 또는 연출가이면서 내부극이 전개되는 동안은 관객이 된다. 세조: … 저흰 옛날 의상 같은 것의 준비가 전혀 없잖습니까? … (전원 퇴장한다. … 시계 소리 한 시를 친다. 이어서 음악이 엷게 흐른다.)관객과 배우 사이에 미리 정해 놓은 암묵적 약속이 있는데, 그것을 컨벤션이라 한다. 관객은 그것에 따라 극의 상황을 실제 상황인 것처럼 받아들이게 된다. 이 작품에서 ‘옛날 의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내부극에서 ‘세조’와 ‘숙주’가 대화를 나눈다. 관객들은 컨벤션에 따라 내부극의 배경이 조선 시대임을 암묵적으로 동의하게 된다.흔히 효과음은 장면의 실감을 더하기 위하여 넣는 소리인데, 이 작품에서 효과음 ‘시계 소리’ ‘음악’은 그런 기능 외에 독특한 기능을 보여준다. 즉 그 효과음을 기점으로 틀극에서 내부극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를 이해하면 효과음 이전에 인물들이 ‘퇴장’하는 것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인물들의 퇴장은 틀극에서 내부극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자네의 발은 자네가 명령한 질서를 잃어버린 채로도 이렇게 길을 잘 가고 있잖아? … 여하튼 굳이 그 질서라는 것이 거슬리면 교통순경한테 가서 물어보게. (… 성삼문 고개를 갸우뚱한다. … )‘성삼문’이라는 인물은 내부극을 보는 관객이면서 내부극에 대해 평가하는 비평가와 같은 존재다. 내부극이 어떤 ‘어떤 정해진 얘기 줄거리’ ‘어떤 질서’를 가져야 한다고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비판에 대해 학자라는 인물은 ‘자네의 발은 자네가 명령한 질서를 잃어버린 채로도 이렇게 길을 잘 가고 있’다고 말하면서, 줄거리나 질서가 필요없다고 한다. 그러면서 ‘그 질서라는 것이 거슬리면 교통순경한테 가서 물어보게’라고 조롱 섞인 말을 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학자의 생각은 내부극에서 인물들이 자율적으로 연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내부극 인물들이 역사적 인물에 대해 자유롭게 평가하며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학자의 말에 성삼문은 ‘고개를 갸우뚱’하며 수긍하지 못하고 있다. 역사적 인물에 대한 자율적 해석에 의문을 갖는 것이다. ☞ 포인트① 무대-객석, 무대-극, 배우-인물-관객 등의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자.② 틀극 속에 내부극이 삽입된 극중극의 구조를 이해하자.③ 틀극과 내부극을 오가는 인물과 틀극 또는 내부극에만 등장하는 인물들을 구별하자.④ 관객과 배우 사이에 미리 정해 놓은 암묵적 약속인 컨벤션에 대해 알아 두자.⑤ 효과음이 장면의 실감을 더하는 기능 외에도 극의 전환을 암시하는 기능이 있음을 알아 두자.※여기에 제시된 그림들은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실제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낮고 어두운 곳에서, 억눌러두었던 말들이 아름다운 글로 승화되길 간절히 기도했다.”(‘작가의 말’ 중)전군표 전 국세청장(67·사진)이 사육신(死六臣) 중 한 명인 성삼문의 딸을 주인공으로 삼은 장편소설 《효옥》(난다 펴냄)을 출간했다. 공직에서 물러난 이후 10여 년간 퇴고를 거듭한 끝에 내놓은 첫 작품이다.소설은 “난신(亂臣) 성삼문의 아내 차산과 딸 효옥은…(중략)…운성부원군 박종우에게 노비로 주고…(成三問妻次山,女孝玉,…賜雲城府院君朴從愚…)”라는 조선왕조실록(세조 2년·1456년 9월 7일)의 한 문장에서 비롯했다. 충신 성삼문의 이름 석 자만 남은 딸을 통해 격동의 시절, 파란만장한 한 인간의 삶을 그렸다. 양반집 규수에서 한순간 노비가 된 효옥이 수많은 곡절 속에서도 맑은 눈으로 세상을 직시하고 삶을 이어가는 여정을 단문의 대화체 중심으로 명료하고도 아름답게 풀어냈다.양반의 삶부터 노비의 삶까지 겪은 효옥의 일생에서 조선 백성의 삶을 읽어낼 수 있다고 작가는 강조한다.저자는 2007년 뇌물수수 혐의로 불명예 퇴진한 뒤 50대 중반에 뒤늦게 역사와 문학의 재미에 빠져 글을 쓰기 시작했다. 실록과 사료를 종횡으로 오가며 연필로 쓰고 지우기를 거듭하며 1000여 쪽의 원고가 책으로 엮이기까지 10년이 넘게 걸렸다. 저자의 인생 이력을 살피면 ‘먼저 치지 않으면 죽을 수밖에 없습니다’, ‘내게 오는 사람은 이제부터 다 내 편이다’ 같은 각 장의 소제목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온다. 저자는 작품 자체로만 평가받고 싶다며 인터뷰 요청을 정중히 사양했다.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성균관대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가 올해 사육신 중 한 명인 성삼문의 탄생 600주년을 맞아 특별 강연회를 마련했다. ‘매죽헌 성삼문 선생 탄신 600주년 기념 특별 강연회’가 14일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다.집현전 학사였던 성삼문(1418∼1456)은 고려사 편찬과 한글 창제 등 세종대왕 업적에 크게 기여했다. 안평대군으로부터 그의 학문과 인품을 전해 들은 세종대왕이 직접 집현전 학사로 발탁했다. 요동을 오가며 신숙주 박팽년 이개 등과 함께 한자 음을 정리한 ‘동국정운’을 편찬하기도 했다. 목숨을 바쳐 단종 복위 운동을 주도한 사육신 중 한 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1453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왕위에 오르자 이듬해 단종 복위를 계획하다 발각돼 능지처참을 당했다. 이후 숙종 때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고 영조 때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사후에 관료의 직급을 높이는 일)됐다. 저서로 ‘매죽헌집’이 있다.이번 특별 강연회에서는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성삼문 선생과 민족정기’를,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최일범 성균관대 유학대학 교수는 ‘매죽헌 선생의 도학정신’을 주제로 강단에 오른다. 도학(道學)과 절의(節義)를 기반으로 한 선비 정신을 돌아보고 오늘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짚어볼 예정이다. 축사는 이용태 한국정신문화재단 이사장과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장이 맡았다.김 명예교수는 “성삼문 선생은 자신을 희생해 대의를 지키고 충절의 표상이 됐다”며 “인륜의 도가 끊어지고 정기가 흩어져 파편화하고 있는 오늘, 탄생 600주년 강연회가 선생이 보여준 민족정기를 되새기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