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지고 싶다"던 문재인, 제주서 다시 편가르기 나서나 [사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제 제주 4·3 사건 75주년을 맞았다. 4·3 사건은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현대사다. 이를 바라보는 좌우 간 시각차가 너무나 커 역사적인 정의에 대한 합일점을 찾지 못하고 여전히 우리 사회 분열의 씨앗이 되고 있어 안타깝다. 4·3 사건은 1948년 5·10 총선과 건국을 저지하려는 남로당 공산주의자들의 무장 폭동으로 시작됐다. 군경이 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한덕수 총리가 대독한 추념사에서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그 유가족의 아픔을 어루만지는 일은 자유와 인권을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의무”라고 했다. 국가가 억울한 희생에 대해 사과하는 것은 비극적인 현대사의 매듭을 풀어나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다고 북한과 남로당에 의한 폭동이라는 본질 자체는 사라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4·3 사건에 대해 이념적 잣대를 확증편향적으로 들이대면서 사회를 분열시키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은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김일성 사주설 등에 대해 “여전히 4·3을 모독하는 행위들이 이어지고 있어 개탄스럽고,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잊혀지고 싶다던 과거의 발언은 어디 갔나 싶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정부·여당의 극우적인 행태가 4·3 정신을 모독하고 있다”며 갈라치기에 나섰다. 민주당이 4·3 추념식에 윤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은 것을 강하게 비판한 것도 그렇다.
4·3 추념식은 희생자와 가족들의 아픔을 보듬는 행사다. 그 자리에서 대통령의 참석 여부를 두고 논란을 벌이는 데 급급한 정치인들을 어떻게 봐야 할까. 양극단으로 분열된 한국 사회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저마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정치인들이 갈등을 부추겨선 미래로 나아가는 게 요원하다. 희생자를 기리는 것과 동시에 정부 탄생을 막으려 한 남로당의 폭동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 북한과 남로당에 의한 폭동이라는 본질 자체는 사라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4·3 사건에 대해 이념적 잣대를 확증편향적으로 들이대면서 사회를 분열시키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은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김일성 사주설 등에 대해 “여전히 4·3을 모독하는 행위들이 이어지고 있어 개탄스럽고,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잊혀지고 싶다던 과거의 발언은 어디 갔나 싶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정부·여당의 극우적인 행태가 4·3 정신을 모독하고 있다”며 갈라치기에 나섰다. 민주당이 4·3 추념식에 윤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은 것을 강하게 비판한 것도 그렇다.
4·3 추념식은 희생자와 가족들의 아픔을 보듬는 행사다. 그 자리에서 대통령의 참석 여부를 두고 논란을 벌이는 데 급급한 정치인들을 어떻게 봐야 할까. 양극단으로 분열된 한국 사회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저마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정치인들이 갈등을 부추겨선 미래로 나아가는 게 요원하다. 희생자를 기리는 것과 동시에 정부 탄생을 막으려 한 남로당의 폭동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