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였던 태영호 서울 강남갑 미래통합당 당선인은 김정은 신변 이상설에 대해 "북한의 무반응이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였던 태영호 서울 강남갑 미래통합당 당선인은 김정은 신변 이상설에 대해 "북한의 무반응이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탈북민 최초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태영호 서울 강남갑 미래통합당 당선자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변 이상설에 대해 "북한의 무반응이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였던 태 당선인은 지난 21일 입장문을 통해 "북한에서 '최고 존엄'이라 불리는 김씨 일가의 동선과 신변은 극비 사안으로 일반 주민들은 물론 최고위 간부도 거의 알 수 없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과거 김일성이 1994년 7월8일 오전 2시 사망해을 때 당시 북한에서 이를 알고 있던 사람이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였다. 이후 북한은 김일성이 숨진 지 34시간 만인 7월9일 정오에 관련 소식을 발표했다"고 덧붙였다.

또 "2008년 9월 김정일이 뇌졸중으로 쓰러졌을 때도 최초 일주일 동안 누구도 눈치 채지 못했다"면서 "2011년 12월17일 김정일이 사망했을 때도 사망 후 51시간 30분 만인 19일 오후 12시에 발표했다"고 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심혈관 수술'을 했다는 건상 이상설로 국제사회가 시끄럽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심혈관 수술'을 했다는 건상 이상설로 국제사회가 시끄럽다. 사진=연합뉴스
태 당선인은 "이처럼 북한에서 '최고 존엄'의 동선과 신변은 외교부장과 같은 최고위 간부들도 알 수 없는 사안으로 김정은의 신변이상설이 북한과 중국 국경에까지 전해진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다만 이번 김정은 신변이상설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주목할만 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은 체제 특성상 '최고 존엄'에 논란이 있을 때마다 건재하다는 행보를 수일 내로 보여왔다"면서 "하지만 현재 김정은의 신변이상설이 보도된 후 일주일이 넘은 지금까지 북한이 아무런 반응을 내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또 "특히 지난 4월15일 김정은이 태양절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지 않은 것은 전례가 없었던 일"이라고 강조하고, "우리 정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북한 이상 징후에 대한 파악과 혹시 모를 급변사태에 대해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