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적 검사로 방역시스템 개선…코로나 출구전략 세울 때 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학내 검사소 제안한 이현숙 서울대 연구처장
“막기만 하는 방역으로는 언제 대학을 열 수 있을지 모릅니다. 방역당국만 쳐다보기보다 자체적으로 코로나19 출구전략을 세울 때라고 판단했습니다.”
‘서울대식 방역’을 작년 말 처음으로 학교 측에 제안한 이현숙 서울대 연구처장(생명과학부 교수·사진)은 집단감염 위험이 상존하는 와중에도 자체 방역 시스템을 구축해 한발 앞서 캠퍼스 정상화에 나선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 처장은 ‘마크로젠 여성 과학자상’(2014년)을 받은 암세포 생물학 전문가다.
이 처장은 “2020학년도 신입생들은 벌써 2학년이 됐지만, 거의 학교에 오지 못했다”며 “1년 넘게 이어진 비대면 수업으로 대학교육이 후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컸다”고 설명했다. 이런 문제의식하에 학교 측에 자체 방역 시스템을 제안한 뒤 올해 초부터 관련 교수들과 난상토론을 벌였다. 그는 “‘가지 않은 길’을 간다는 데 대한 두려움이 컸지만, 많은 교수의 공감대를 이끌어낸 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관악구보건소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기까지 3개월이 걸렸다”고 소개했다.
이 처장은 선진국 유수 대학의 사례도 벤치마킹했다. 미국에서는 스탠퍼드대, 매사추세츠공대(MIT), 영국에서는 케임브리지대, 옥스퍼드대 등이 학내 동일집단을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방식으로 팬데믹 와중에도 대면 수업을 이어갔다. 1주일에 두 번 의무적으로 검사를 시행해 음성 확인을 받은 구성원들이 캠퍼스 생활을 하는 방식이다. 미국은 한국보다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해 지난해 4월 록다운에 들어가기도 했지만, 이런 검사를 앞세워 9월부터 문을 연 대학이 많다.
해외 대학과 달리 서울대는 아직 검사가 의무사항은 아니다. 서울대는 주기적이고 선제적인 진단 방법의 효용성을 홍보하고 구성원의 참여를 독려하는 자율적 방역 방침을 세웠다. 그런 만큼 집단감염 우려가 만만치 않은 게 사실이다. 지난 4월에는 서울대 골프동아리를 중심으로 한주간 16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구성원 전체가 모두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기 때문에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난 사람에 대해서만 검사하는 기존 방역에 비해 더 안전하다는 게 서울대 입장이다. 이 처장은 “학내에서 양성 의심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청의 지침을 따라 인근 보건소에서 확인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게 된다”며 “여기에 주기적 검사 시스템을 더하면 바이러스 감염을 초기에 잡아낼 확률이 커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자신했다.
최예린 기자
‘서울대식 방역’을 작년 말 처음으로 학교 측에 제안한 이현숙 서울대 연구처장(생명과학부 교수·사진)은 집단감염 위험이 상존하는 와중에도 자체 방역 시스템을 구축해 한발 앞서 캠퍼스 정상화에 나선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 처장은 ‘마크로젠 여성 과학자상’(2014년)을 받은 암세포 생물학 전문가다.
이 처장은 “2020학년도 신입생들은 벌써 2학년이 됐지만, 거의 학교에 오지 못했다”며 “1년 넘게 이어진 비대면 수업으로 대학교육이 후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컸다”고 설명했다. 이런 문제의식하에 학교 측에 자체 방역 시스템을 제안한 뒤 올해 초부터 관련 교수들과 난상토론을 벌였다. 그는 “‘가지 않은 길’을 간다는 데 대한 두려움이 컸지만, 많은 교수의 공감대를 이끌어낸 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관악구보건소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기까지 3개월이 걸렸다”고 소개했다.
이 처장은 선진국 유수 대학의 사례도 벤치마킹했다. 미국에서는 스탠퍼드대, 매사추세츠공대(MIT), 영국에서는 케임브리지대, 옥스퍼드대 등이 학내 동일집단을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방식으로 팬데믹 와중에도 대면 수업을 이어갔다. 1주일에 두 번 의무적으로 검사를 시행해 음성 확인을 받은 구성원들이 캠퍼스 생활을 하는 방식이다. 미국은 한국보다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해 지난해 4월 록다운에 들어가기도 했지만, 이런 검사를 앞세워 9월부터 문을 연 대학이 많다.
해외 대학과 달리 서울대는 아직 검사가 의무사항은 아니다. 서울대는 주기적이고 선제적인 진단 방법의 효용성을 홍보하고 구성원의 참여를 독려하는 자율적 방역 방침을 세웠다. 그런 만큼 집단감염 우려가 만만치 않은 게 사실이다. 지난 4월에는 서울대 골프동아리를 중심으로 한주간 16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구성원 전체가 모두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기 때문에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난 사람에 대해서만 검사하는 기존 방역에 비해 더 안전하다는 게 서울대 입장이다. 이 처장은 “학내에서 양성 의심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청의 지침을 따라 인근 보건소에서 확인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게 된다”며 “여기에 주기적 검사 시스템을 더하면 바이러스 감염을 초기에 잡아낼 확률이 커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자신했다.
최예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