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의 사장 선임 문제를 둘러싼 문재인 대통령측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측의 갈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전날 청와대가 "인수위가 대우조선 사장 자리까지 욕심내는가"고 하자, 윤 당선인 인수위측은 "청와대가 화들짝 반응하는 모습에 의혹만 더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1일 윤 당선인측 관계자에 따르면, 전날 청와대가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현 정부든 다음 정부든 정부가 눈독을 들일 자리가 아니다"라며 "대우조선해양 사장 자리에 인수위가 눈독 들이고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다"는 입장을 밝히자 인수위 내부는 '부글부글' 끓고 있다.

윤 당선인측 관계자는 "문 대통령 동생의 대학 동창이 대우조선해양의 대표이사로 선임된 것을 임기말 청와대의 알박기 막장인사라고 비판하며 직권남용 소지가 있어 감사원에 조사를 요청하겠다고 밝히자 청와대가 화들짝 반응하는 모습에 뭐가 캥긴것이 있는지 의혹이 더 커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잘못한 점을 시정하라고 감사원에 요청한 것을 두고 인수위가 무슨 인사에 눈독을 드린다는 말로 자신들의 탐욕과 부정부패를 빠져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했다.

대우조선 '인사 알박기' 논란을 시작으로 김정숙 여사 옷값 문제 등을 두고서도 양측의 갈등은 깊어지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도대체 대통령 부인의 사치에 국고가 얼마나 탕진됐는지 비밀에 부친다는 것이 가당찮은 일인가"라며 "법원에서 밝히라고 명령한 것을 왜 감추고 덮고 묻는가? 그런다고 진실이 덮히는가?"라고 말했다. 이어 "여기에 김정숙 여사의 단골 디자이너 딸이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한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막장 인사의 전형 아닌가"라며 "이런것이 적폐가 아니고 국정농단이 아니면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문대통령의 매곡동 집을 8억대에 사서 직거래로 26억에 매각했다는 보도가 나오는데 이것을 누가 믿겠는가"라며 "누구에게 팔았는지 아직 등기도 안된 집매매를 정상적인 매매로 보는 사람이 있겠나"라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