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중 관계, 새로운 미래 30년을 연다’ 정책 세미나를 마친 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중 관계, 새로운 미래 30년을 연다’ 정책 세미나를 마친 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당 혁신위원회가 '1호 혁신안'으로 공천 후보자의 부적격 심사 권한을 중앙윤리위원회로 부여하는 방안을 발표한 데 대해 "비대위와 의원총회에서 논의해 확정 짓겠다"고 밝혔다.

주 위원장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다.

주 위원장은 "혁신위 1호 안은 공천관리위원회가 공천 때마다 독선적으로 전횡해서 공천 대란이 일어난 측면이 있다는 (것에 대한) 반성적 차원"이라고 부연했다.

주 위원장은 "(혁신안에) 전반적으로 윤리위 권한 강화도 들어 있는 것 같다"며 "윤리위원들의 임기를 더 늘리고 또 윤리위원들 구성 자체도 일정한 자격을 요구하고 그다음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인준받도록 하는 등 윤리위 강화도 그 방향으로 가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주 위원장은 윤리위가 수해 복구 자원봉사 현장에서 실언해 논란을 빚은 김성원 의원에 대한 징계 절차를 개시한 데 대해선 "심사해서 결정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최재형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 사진=연합뉴스
최재형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 사진=연합뉴스
앞서 국민의힘 혁신위는 전날 약 3시간 30분에 걸친 회의 끝에 공관위로 일원화된 공천 기능 중 '후보자의 부적격 심사' 권한을 분산해 그 기능을 윤리위에 부여하도록 하는 1호 혁신안을 발표했다.

또 윤리위원장의 임기를 3년으로 늘리며, 윤리위원장과 윤리위원 임명은 당 최고위원회 의결뿐 아니라 상임전국위원회로부터 추인받도록 했다. 2024년 총선에서의 공직 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 시험 적용 여부도 논의됐으나, 이번 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최재형 혁신위원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리위 기능을 강화했다기보다 공관위에 집중된 (공직 후보자의) 부적격 심사 권한을 분산했다는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