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꼬인 韓·日 경제…이젠 '복원의 시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韓재단이 日 강제징용 배상
정부 '제3자 변제'방식 확정
日 수출규제 해소위한 협의시작
WTO 분쟁 해결절차 잠정 중단
바이든 "최우방 동맹국간 새 장"
정부 '제3자 변제'방식 확정
日 수출규제 해소위한 협의시작
WTO 분쟁 해결절차 잠정 중단
바이든 "최우방 동맹국간 새 장"
![4년 꼬인 韓·日 경제…이젠 '복원의 시간'](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810276.1.jpg)
윤석열 대통령은 6일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해법 발표는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결단”이라고 밝혔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한·일 관계가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기 위해서는 미래 세대 중심으로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도 우리 정부의 발표 직후 약식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는 일본의 식민 지배에 대한 통절한 반성과 사죄를 담은 ‘김대중-오부치 선언’(1998년 한·일 공동선언)을 언급하며 “일본 정부는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역시 이날 참의원 예산위원회 질의에서 “역사 인식에 관해서는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해 왔고, 앞으로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미국도 한·일 정부의 조치를 평가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 간 파트너십의 획기적인 새로운 장을 장식했다”며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한국과 일본 국민의 미래를 위해 중대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제철·미쓰비시중공업 강제징용 피해자 소송 대리인단은 정부 해법 발표에 “식민지배의 불법성과 전범기업의 반인도적인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책임을 인정한 2018년 대법원 판결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김인엽/오형주/김소현 기자 inside@hankyung.com